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d라이브러리
"
생물
"(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소라게야, 새집 줄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우리도 쓰레기 집에 살고 싶어서 사는 건 아냐. 우릴 안전하게 지켜 줄 깨끗한 고둥껍데기가 부족해서어쩔 수 없이 살게 된 거지. 어? 그런데 해변에 못 보던 예쁜 초록색 집이 있네? 누가 갖다 놓은 걸까?몸에도 잘 맞을 것 같은데…. 어디 한번 이사해 볼까?일본의 소라게 주택 마련 프로젝트일본의 ... ...
[과학뉴스] 전세계 꿀 75%에서 살충제 성분 검출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10월 6일자에 발표했다. 에드와르드 미첼 스위스 노이샤텔대
생물
학연구소 교수팀은 전 세계에서 수집한 198종의 꿀 샘플에서 네오니코티노이드 계열의 살충제 성분이 남아 있는 지 조사했다. 네오니코티노이드는 니코틴계의 신경자극성 살충제로 다섯 종류가 가장 널리 ... ...
Part 6. 사이보그의 캐논포 바이오닉 팔로 해결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궁극적인 목표도 역시 머리 밖에서 뇌로 직접 지식과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다.
생물
학적인 뇌 신경망과 반도체 회로망을 연결하는 것은 간단한 일은 아니다. 우리 뇌는 신경세포의 전기적 활동에 의해 작동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복잡한 뇌의 활동을 전기적인 현상만으로 설명하기는 어렵다. ... ...
Part 2. [화학상] 현미경의 ‘혁명’을 이끌다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함께. 이병길고려대에서 구조
생물
학을 전공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영국 MRC 분자
생물
학연구소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일하며 세포분열과 관련된 생체분자의 구조를 연구하고 있다.blee@mrc-lmb.cam.ac.uk ‘과학동아’가 1년 먼저 알아본 리처드 헨더슨 박사 리처드 헨더슨 박사는 1996년부터 2 ... ...
[Origin] 미라가 알려주는 조선 양반 사망 사건의 전말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살아 있을 때 건강 상태와 사망 원인 등을 추정할 수 있다. 신동훈 서울대 의대
생물
인류학및고병리연구실 교수는 2003년부터 미라를 의학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묘에서 갓 발굴한 미라를 컴퓨터단층촬영(CT)하면 내부 장기까지 확인할 수 있다. 신 교수는 “미라의 장기는 수분이 하나도 없이 바짝 ... ...
[현장취재] 지사탐 봄 현장교육 꿀벌이 윙윙, 각시붕어가 펄떡!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0호
현장교육은 6월까지 계속 진행될 예정이에요. 수원청개구리, 귀화식물, 제비 등 다양한
생물
이 탐사대원들을 기다리고 있답니다. 앞으로 이어질 현장교육도 기대해 주세요!※ 현장교육과 개별 탐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어린이과학동아 홈페이지(kids.dongascience.com)와 어린이과학동아 앱에서 확인할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원주민 마을의 위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0호
미역국이나 곰국을 먹을 때 국 위에 기름이 떠 있는 것을 본 적 있죠? 이렇게 물과 기름은 서로 섞이지 않는 대표적인 액체예요. 물과 기름이 섞이려면 서로 끌어당기 ... ‘유화제’를 뿌려 기름을 제거하는 화학적인 방법과, 기름을 먹는 세균을 이용하는
생물
학적인 방법 등이 있답니다 ... ...
[Interview] ‘빅 히스토리’ 창시자 데이비드 크리스천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이 행성에서는 몹시 중요한 존재다. 46억 년에 달하는 역사에서 지구 전체를 바꾼 최초의
생물
이다. 이런 관점을 통해 우리 종, 바로 인류가 하는 이상한 일들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다. 그는 “우리는 이야기의 아주 끝에 등장하지만, 지구를 바꿀 정도의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으므로 이제 이 ... ...
[Career] 태평양해양과학기지에서 미래 해양과학자를 외치다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해양
생물
의 DNA를 분석해
생물
다양성을 연구하는 김충곤 책임연구원은 “예전에는
생물
종 하나에 대한 정보를 찾기 위해 아주 많은 시간이 필요했지만 DNA 분석을 이용하면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나한나 KIOST 해양순환·기후연구센터 연구원은 해양 물리학에 대해 소개하며 ... ...
[수학뉴스]
생물
다양성 위해 내부 경쟁은 필수?!
수학동아
l
2017년 10호
실험실에서는 비슷한 자원으로 여럿이 경쟁하면 가장 센 종이 살아남아요. 그런데 자연에서는 꼭 그렇지 않아요. 힘이 약한 종도 힘이 센 종과 함께 더불어 살아가지요. 최근 장봉수 울산과학기술원(UNIST) 수리학과 교수팀이 이런 생태계 현상을 잘 설명하는 수학 방정식을 만들었어요. 교수팀은 ... ...
이전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