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d라이브러리
"
생물
"(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4호
거쳐 다 자란 나비들이 숲으로 돌아가 살 수 있도록 하고 있답니다.”이어서 박물관과
생물
다양성 센터도 둘러봤어요. 애벌레와 곤충 500여 종(약 13만 개체)의 표본이 썩지 않도록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고 있었답니다. 애벌레는 한 가지 식물만 먹는 ‘스페셜리스트’다양한 종의 애벌레를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비밀과학수사대의 시작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4호
눈에 보이지 않는 작은 식물성 플랑크톤이 살고 있어요. 광합성으로 에너지를 얻는
생물
이라서 수온이 높고, 햇빛의 양이 많은 여름에 가장 잘 번식하지요.식물성 플랑크톤은 종류에 따라 색이 달라요. 물속에 녹색인 녹조류가 늘어나 물이 녹색으로 변하면 녹조, 붉은 색인 규조류가 늘어나면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3호
복제된 동물이에요.체세포는 난자나 정자 등 후손에게 전해지는 ‘생식세포’를 제외한,
생물
의 몸을 구성하는 모든 세포를 말해요. 돌리는 6살 된 암컷 양의 체세포를 복제했기 때문에 이 양과 똑같은 유전자를 갖고 있지요.돌리를 만든 사람들은 영국 에든버러대학교 로슬린 연구소의 ‘이안 ... ...
[지사탐 우수 대원 소개] 곤충사업가를 꿈꿔요! 열혈 신규대원 ‘알럽곤충’팀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3호
안 되니까요.우리는
생물
을 좋아한다는 같은 관심사를 가지고 모였어요. 주변의 많은
생물
을 서로 돕고 사는 친구라고 생각하며, 즐겁게 탐사해 보아요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결정짓는 이 관계를 ‘반응 확산 모델(reaction diffusion model)’이라고 부릅니다. 이 모델은
생물
학자가 아닌, 영국의 수학자이자 암호해독학자였던 앨런 튜링이 처음 제안했습니다. 영화 ‘이미테이션 게임’에서 베네딕트 컴버배치가 열연했던 인물이죠. 정리하면, 시계방향으로 도는 섬모에 의해 ... ...
[Career] 슈퍼컴퓨터로 단백질 연구하는 물리학자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어떻게 전파되는지 양자역학적으로 계산했다. 2년 이상 연구에 매달린 김 연구원은 “
생물
학적인 현상을 물리학적인 문제로 정의하는 게 가장 어려웠다”고 말했다. 문제를 제대로 정의해야 올바른 답을 얻을 수 있는 만큼 이 과정이 핵심이다. 김 연구원은 “동일한 신경세포에서 신호가 발생해도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부모님을 구출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초록색 머리카락! 해캄해캄은 호수나 늪, 물살이 느린 하천 등에 사는 식물이에요. 봄부터 여름에 걸쳐 수온이 높은 계절 동안 볼 수 있지요. 가늘고 긴 초록색 머리카락처럼 생겼는데, 여러 개체가 한데 모여 살기 때문에 마치 하천에 떠 있는 초록색 실뭉치처럼 보여요. 해캄은 표면이 점액으로 덮 ... ...
[과학뉴스] 플라스틱이 물벼룩 생존 위협한다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분해된 미세 플라스틱이 수중
생물
인 물벼룩의 생존을 위협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안윤주 건국대 보건환경과학과 교수팀은 미세 플라스틱이 물벼룩의 알주머니에 침투해 생식과 발달을 저해한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9월 21일자에 발표했다. 미세 플라스틱은 ... ...
[Future] 남극 펭귄 ‘제니’ 관찰카메라 24시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이번에는 우리가 주로 어디에서 무엇을 사냥하는지가 궁금했나 봐. 우리는 다양한
생물
들을 촬영해줬어. 크릴은 보통 먼 바다와 해저 양쪽에서 모두 살지만 멍게와 친척뻘인 살프는 먼 바다에 많이 살고 있어. 그런데 바다에 사냥감이 많다고 해서 아무거나 먹지는 않아. 우리는 살프 보다는 ... ...
[Origin] 그 많던 개미는 다 어디로 갔을까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펴낸 동민수 씨(강원대 응용
생물
학과 2학년)와 개미를 찾아 나섰다. 그는 중학생 때부터
생물
학연구정보센터(BRIC)의 곤충 종 동정위원으로 활동하면서 개미를 알리고자 노력해 온 ‘개미 마니아’다. 겨울 개미 찾기 TIP 1: 사람 발길 적은 곳으로 떠나라스산한 바람이 불던 11월 10일 금요일 오전 ... ...
이전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