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물"(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드라큘라의 저주 3] 태양이 없어지면 빙하시대가 올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멈춰도 한동안 산소가 부족하지는 않을 거예요. 지구 대기에는 동물과 곤충, 호기성 미생물이 1000년 이상 쓸 수 있는 산소가 있거든요. 하지만 식물이 사라지면 초식동물과 육식동물이 차례로 사라져 결국 생태계가 무너지고 말 거랍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우리 가족이 ... ...
- Part 4. 과학으로 빛 공해를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좋은 LED 조명의 수명은 5만 시간 이상이지만, 글로위의 조명은 수명이 짧아요. 발광 생물이 계속 빛을 내게 하려면 때마다 먹이를 주고 노폐물을 제거해야 하거든요. 지난 12월에 처음 시연했을 때는 3일 밖에 지속되지 못했어요. 현재 조명의 지속시간을 늘리기 위한 연구가 계속 이뤄지고 있답니다 ... ...
- [과학뉴스] 배부른 먹이를 찾아라! 갯민숭달팽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생물들은 먹이를 얻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세워요. 거미줄에 걸린 곤충을 훔쳐 먹는 파리나 다른 육식동물들이 버린 고기를 먹는 하이에나 등 동물마다 사냥법도 제각각이지요. 최근 미국 포츠머스대학교 연구팀은 바다에 사는 갯민숭달팽이를 관찰해 새로운 사냥법을 발견했어요. 화려한 색과 ... ...
- [현장취재] 지구에서 떠나는 화성 여행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초기 지구에 산소가 어떻게 생겨났는지 궁금해졌지요. 그래서 이 분야를 연구하는 우주생물학자인 NASA의 마틴 반 크라네동크 박사에게 무작정 메일을 보냈어요. 결국 박사를 만나게 되었고, 이것이 인연이 되어 NASA의 과학자들과 함께 서호주를 탐사하게 된거예요.” 마지막으로, 문경수 ... ...
- Part 2. 독침에 농장 파괴까지, 악동 개미 습격 사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외래 생물보다도 더 많은 관심을 받았어요. 독으로 사람에게 직접 피해를 입히는 외래 생물은 우리나라에 처음이거든요. 외래 붉은불개미는 독특한 독성분을 갖고 있어요. 바로 ‘솔레놉신’이에요. 이 독에 쏘이면 순간 뜨겁게 느껴지고, 가려움증이나 통증이 찾아오지요. 이보다 더 중요한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연구일지에 적힌 수수께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글을 쓴 사람은 혈관 속에 DNA가 없다고 주장했죠. 정말 가사가 잘못된 걸까요? DNA는 생물체에 관한 유전 정보를 담고 있는 물질이에요. 쌍꺼풀의 유무, 코와 입, 귀의 모양 등이 몸속 DNA에 저장돼 있지요. DNA는 주로 세포의 핵 속에 포함되어 있답니다. 그런데 혈액을 구성하는 성분인 적혈구와 ... ...
- Intro. 항구가 발칵! 외래 붉은불개미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따르르르릉~!”“네~, 곤충 탐정 앤트 홈즈입니다. 뭐라구욧?부산에 수상한 개미가 나타났고요? 바로 갈게요!”부산항에서 신고가 들어왔어. 처음 보는 개미가 나타났다는데 움직이는 게 심상치 않다네? 얼른 와서 무슨 개미인지, 또 어떡해야 하는지 알려 달라는군. 서둘러 부산으로 가 보자! ... ...
- Part 1. 남미산 개미가 부산항에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외래 붉은불개미, 넌 누구냐?지난 9월 28일 오후 5시, 부산 감만부두에서 수상한 개미들이 발견됐어요. 콘크리트 바닥 틈새로 작고, 붉은 개미 1000여 마리가 모여 있었지요. 전국의 개미 전문가들이 즉시 모여 분석한 결과, 그 개미는 바로 전세계의 골칫덩어리인 ‘외래 붉은불개미’로 밝혀졌답 ... ...
- Part 1. 작지만 강한 큐브샛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2014년부터는 기술 검증을 위해 만들어지는 비율이 20% 정도로 줄었고, 지구 관측이나 우주 생물학 실험에 사용되고 있지요. 실제로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2020년 화성에서 식물을 재배하는 실험실로 큐브샛을 사용할 예정이에요. 탐사선에 큐브샛을 실어 화성에 보낸 뒤, 지구에서 챙겨간 공기와 물을 ... ...
- Part 3. [활약2] 지구를 넘어 화성까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찾을 예정이에요. 또 ‘바이오센티넬’이란 큐브샛은 효모를 사용해 생물체를 찾고, 미생물이 우주의 방사선에 노출됐을 때 얼마나 오래 생활할 수 있는지 알아볼 거예요. 소행성을 관측하는 큐브샛도 있어요. ‘지구 근접 소행성 정찰 프로젝트’는 지구로부터 1●AU안에 있는 소행성을 관측할 ... ...
이전1481491501511521531541551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