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물"(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유전학, 발생학 등을 가르치며 새로운 대학 과학교육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생물학에서는 유전자 또는 기작이 내는 효과를 크게 둘로 분류합니다. 기준은 그것이 세포의 자율적인 효과(cell autonomous effect)인가, 비자율적인 효과(cell non-autonomous e ect)인가죠. 예를 들어 볼게요. 세포 A에 유전자 X가 ...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고등학교 과학 활동 완전정복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수 있는데, 책에서만 보던 지질 구조나 암석을 직접 볼 수 있는 기회가 됩니다. 환경이나 생물 탐사의 경우에는 갯벌 탐사를 통해 생명을 관찰하고 환경의 소중함을 함께 생각하기도 하고, 식물원처럼 많은 식물이 모인 곳에서 식물의 특징을 관찰하고 구별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 ...
- 학생부의 의미와 중요성, ‘학종’ 선발 왜 늘어나나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새로 도입이 예고된 고교학점제도 이런 취지의 연장선에 있다. 통합과학은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이 아니라 과목이 서로 녹아들어 융합적·통합적 사고를 할 수 있게 한다는 취지다. 고교학점제는 대학처럼 학생들이 교과를 선택하고 강의실을 다니며 수업을 듣는 방식인 과목선택제를 토대로, ...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생태를 들여다보는 창문’ 쯤 된다. 존스 회장은 “대변은 더러운 단어가 아니다. 생물학적 관점에서 볼 때 배변 활동은 멋진 과정이며 배설한 이후에도 배설물의 생태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말했다. 책 전반에서 이렇게 혐오스러운 이미지를 갖춘 대변(大便)을 대변(代辯)한다. 인간이 ... ...
- [Career] 분자기계와 배터리의 효율적인 만남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중 한 명인 프레이저 스토더트 미국 노스웨스턴대 교수의 제자인 최장욱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였다. 합금반응 선택했더니 에너지밀도 50% up⇧최 교수는 박사과정에서부터 꾸준히 배터리를 연구해왔다. 그의 관심은 여느 배터리 연구자들처럼 배터리 효율을 올릴 수 있도록 에너지 밀도를 ... ...
- [인터뷰] 위상수학, 느낌 아니까~수학동아 l2018년 01호
- 개념이 참 신기했거든요. 어렴풋이 남아있던 토폴로지 행성 우주인의 모습이 새로운 생물의 형태를 디자인할 때 영향을 끼친 것 같아요. 앞으로는 위상수학을 비롯한 수학 원리를 작품에 직접 적용해볼 생각이에요. 작업할 때 수학을 직접 활용하기도 하나요?컴퓨터 그래픽과 관련된 알고리즘은 ... ...
- Part 1. 30대 중반, 제 건강 상태는요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정보가 해킹돼 유출되지 못하도록 보안 기술이 같이 발전해야 한다. 또 유전자와 미생물 분석 결과의 신뢰도도 지금보다 더 끌어올려야 한다. 이를 위해 더 많은 데이터를 쌓아야 한다. 신 대표는 “사물인터넷(IoT)과 웨어러블 기술을 접목해서 개인의 유전체 정보와 생활습관, 질병 이력 등을 꾸준히 ... ...
- [과학뉴스] 초소형 벌 로봇, 진짜 벌처럼 윙윙~!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프로젝트’는 2009년에 시작됐어요. 미국 하버드대학교의 주도로 로봇 공학자뿐만 아니라 생물, 재료, 전기 등 각 분야 전문가들이 함께하는 대규모 프로젝트지요. 지난 10월 로보비가 비행뿐만 아니라 수영도 할 수 있도록 업그레이드돼 화제가 됐어요. 초당 9~13회 정도로 날갯짓하며 물속에서 ... ...
- Part 3. [드라큘라의 저주 3] 태양이 없어지면 빙하시대가 올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멈춰도 한동안 산소가 부족하지는 않을 거예요. 지구 대기에는 동물과 곤충, 호기성 미생물이 1000년 이상 쓸 수 있는 산소가 있거든요. 하지만 식물이 사라지면 초식동물과 육식동물이 차례로 사라져 결국 생태계가 무너지고 말 거랍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우리 가족이 ... ...
- [식물 속 동물 찾기] 복슬복슬 꼬부랑, 다람쥐꼬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겨울에도 초록빛을 잃지 않는 식물들이 있어요. 소나무과 식물과 나무나 바위에 붙어 사는 석송과 식물들이 대표적이죠. 그중에서도 동물을 닮은 식물이 있어요. 바로 ‘다람쥐꼬리’예요. 다람쥐꼬리의 생김새를 보면 바로 이름의 뜻을 이해할 수 있어요. 줄기에 뾰족뾰족 잎이 돋아나 있는데, 그 ... ...
이전1471481491501511521531541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