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물"(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몸 밖의 몸, 오가노이드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맞춤형 암 치료제 개발을 위해 오가노이드 바이오뱅크 구축에 나섰습니다. 생물학자들은 지금까지의 성과에 안주하지 않고 새로운 도전에 임하고 있습니다. 제임스 웰스 미국 신시내티아동병원 교수는 주로 상피를 배양하는 데 집중돼 있던 오가노이드 연구를 장의 연동운동에 관여하는 장 ... ...
- 서로 연결돼 있는 자연환경과 인간의 삶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지구온난화, 숲의 감소, 산성비, 오존층 파괴, 유해물질의 이동, 해양 오염, 야생 생물의 감소, 사막화, 개발도상국의 공해 등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 인류는 지구상의 생태계에 살고 있는 일원이기에 환경 문제의 영향에서 자유롭지 않으며 그 책임을 함께 한다. 중요한 것은 환경 문제는 일부 ... ...
- [엉뚱발랄 생각 실험실] 영혼도 질량이 있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장면이 나와요. 옛 그리스 사람들도 이와 비슷한 생각을 했다고 해요. 살아있는 생물을 비롯해 자석에도 영혼이 들어 있고 죽을 때 영혼이 빠져나간다고 믿었지요. 심지어 동물과 식물, 자석에게까지 영혼이 있다고 믿었답니다. 정말 우리가 죽으면 영혼이 빠져나갈까요? 그럼 순간 몸무게가 ... ...
- [Culture] ‘슈퍼 파워’ 가졌지만 저체온증 시달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궁궐 같은 집을 갖춘 소인(小人)들의 도시 ‘레저랜드’로 떠난다. 다운사이징 기술은 생물학자인 요르겐 박사가 모든 유기체의 세포 크기를 축소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 것이 시발점이다. 한정된 토양에서 인구가 점점 늘어가며 식량, 식수 부족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요르겐 박사가 인도적 ... ...
- [Future] 그림이 열일 하는 메디컬 일러스트과학동아 l2018년 02호
- 1기 졸업생 4명을 만났다. 윤 교수는 미대에서 회화를 전공하고, 의대에서 해부 및 세포생물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윤 교수는 “메디컬 일러스트는 의학적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사실에 기반해 그리는 그림”이라며 “의학 지식을 활용하는 의약계나 의료산업계는 물론, 건강 관련 지식을 쉽게 ... ...
- [Future] 저항 유전자로 바이러스 막는 ‘슈퍼 가축’ 시대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않는 이유는 변이가 잦은 RNA 바이러스가 옮기는 전염병이기 때문이다. 바이러스는 다른 생물에 비해 단순한 구조로, DNA나 RNA 중 한 가지 형태로만 유전물질을 갖고 있다. 바이러스는 사람이나 가축 등 숙주에 들어가면 세포 안에 있는 소기관과 효소를 이용해 자신의 유전물질을 증식시켜 번식한다 ... ...
- [영재교육원 탐방1]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수학동아 l2018년 02호
- 수학과 교수가 원장을 맡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작년에 부임하고 보니 화학이나 생물 쪽 교육의 비중이 컸습니다. 아무래도 초중등 학생이 많은 영재교육이다 보니까 눈에 보이는 활동을 원하는 경향이 크거든요. 반면, 수학은 앉아서 공부해야 하니 캠프 같은 활동을 만들기 어렵고요. 제가 ... ...
- [공지] 지구사랑탐사대,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생태 연구자를 만나고, 연구 활동을 가까이에서 보는 것도 특별한 경험이었지요. 생물 탐사를 좋아하는 대원들과 관심사를 나누는 것도, 매해 탐사 목표를 세워 성취하는 과정도 모두 즐거웠어요. 탐사가 쉽진 않지만 보람도 크답니다. 어과동 친구들도 꼭 도전해 보세요 ... ...
- [식물 속 동물 찾기] 황금 강아지를 닮은 금강아지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2018년은 무술년 ‘황금 개띠’의 해예요. 무술년의 ‘무(戊)’가 황금색을, ‘술(戌)’이 개띠를 나타내기 때문이지요. 그런데 겨울 들판에도 황금 강아지를 닮은 식물이 있답니다. 그 주인공은 바로 금강아지풀이에요. 농촌의 길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강아지풀과 비슷 하지만, 꽃차례에 송송 나 ... ...
- [과학뉴스] 우세안 없으면 난독증 생긴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전 세계에서 7억 명이 알파벳 ‘b’와 ‘d’를 구분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이는 인구 10명 중 1명꼴이다.우세안(주로 사용하는 눈)이 없어 거울처럼 반전된 이미지 2개가 뇌에 모두 전달돼 혼란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프랑스 렌대 연구진이 이런 난독증을 유발하는 생물학적 원인을 밝혀냈다. ...
이전1451461471481491501511521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