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록"(으)로 총 5,115건 검색되었습니다.
- 중력파 검출, 초읽기 들어가나?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방식이다. 백 교수의 주장에 따르면, 초전도 양자간섭계를 이용하면 중력파의 변화를 기록할 수 있을 정도로 구배측정기를 민감하게 만들 수 있다.소그로는 라이고처럼 클 필요가 없다. 백 교수는 소그로의 규모로 약 10~100m를 제안했는데, 4km에 이르는 라이고에 비해 훨씬 작은 크기다. 검출하는 ... ...
- 너도 금사빠?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있어야 한다는 겁니다.“그래서 전문가들은 과거 고문헌에 쓰여 있는 예전 관측 기록과 은하수와의 거리를 참고해서 견우성이 독수리자리의 알테어가 아니라 염소자리의 ‘다비’라고 생각합니다. 다비는 3.2등급이라 밝은 직녀성과 어울리지 않고 도심에서 절대 볼 수 없지만, 빛 공해가 없던 ... ...
- [지식] 매미의 한여름 세레나데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알에서 태어난 유충이 밖으로 나와 성충이 될 때까지 몇 년이 걸리는지 관찰했다는 기록이 없다”고 밝혔다. 그는 “다만 매미를 연구하는 과학자들은 대략 3~6년 주기로 매미가 나타난다고 짐작하고 있다”고 덧붙였다.그런데 북아메리카에는 일일이 관찰하지 않아도 1주기를 정확히 알 수 있는 ... ...
- [지식] 안테나, 우주의 소리를 듣다!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은하수가 이동하는 길과 반짝이는 정도를 측정해, 우주 공간에서 발생하는 전파를 기록으로 남긴 것이다. 하지만 레버의 연구도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 그들의 연구가 빛을 발한 건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일이었다.왜 하필 접시 모양일까?안테나는 성능에 따라 종류가 다양하다. 그중에서 잰스키가 ... ...
- [지식] 마지막 요리 모두의 맛, 미분과 적분 그리고 치킨수학동아 l2015년 08호
- 못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계림’의 닭과 치킨의 닭이 전혀 다른 종류이기 때문이죠.기록에 따르면 조선시대만 해도 300종이 넘는 재래닭이 살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일제 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재래닭은 사실상 멸종했습니다. 그 빈 자리를 채운 건 레그혼, 뉴햄프셔 같은 외국 닭이었죠. ... ...
- 이지스함 레이더를 야구에 가져오다, 스탯캐스트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정우람은 올해 6월까지 43이닝을 던지며 평균자책 1.88을 기록했다. 삼진을 61개 기록해 9이닝당 삼진을 13.2개나 잡는 위력적인 투구를 보여주고 있다. 그런데 의문이 있다. 정우람은 공이 그렇게 빠른 투수는 아니다. 직구가 시속 140km에 못 미친다.몇몇 기사에서는 공을 최대한 앞으로 끌고 오기 ... ...
- INTRO. 쌍둥이는 왜 다를까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바뀌어 스트레스나 우울증 등에 취약해진다.이처럼 우리의 경험과 마음가짐은 모두 DNA에 기록돼 사용법을 바꾼다. 세대를 넘어 자식에게 유전되기도 한다. 어떻게 보면 인간이 DNA를 스스로 조정할 수 있는 자유의지를 가진 셈이다. DNA로부터 탈출한 당신에게 후성유전학이 묻는다. 어떻게 살 것인가 ... ...
- PART2. 세포의 DNA 사용 설명서과학동아 l2015년 08호
- G, T, C 등 네 가지 염기로 DNA에 기록을 남긴다. 후성유전도 세포에 DNA 사용법을 알려주고 기록하기 위한 언어가 필요하다. 후성유전의 언어는 DNA 메틸화와 히스톤 변형이다.0DNA 메틸화는 후성유전학보다 더 유명하다. 후성유전학의 정확한 의미를 모르는 사람도 DNA 메틸화는 안다. 메커니즘이 그만큼 ... ...
- PART5. 어떻게 살 것인가과학동아 l2015년 08호
- 해도 별 문제가 없을 수도 있다. 우리가 아는 것은 내가 나쁜 행동을 한 게 유전자에 기록되고 그것이 전달될지 모른다는 가능성뿐이다.최 : 좋은 연구인데 한편으로는 스트레스를 받을 것 같다. 항상 조심해야 되는 것 아닌가.노 : 너무 신경 쓰며 걱정하는 게 오히려 더 안 좋을 것이다.이 : 그래서 ... ...
- Part 1. 탐식의 시작 : 처음 밝혀진 조선시대 미슐랭 가이드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만들고 먹는 일을 중요하게 여기기 시작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조선 시대 음식 기록을 보면 정보가 오늘날에 못지않게 다양하다. 지역에 따라, 계절에 따라, 음식을 저장하는 방식에 따라 요리의 개성이 도드라졌기 때문이다. 게다가 조선 시대 사람들은 고추장과 같이 간단한 음식에도 ... ...
이전1621631641651661671681691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