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록"(으)로 총 5,115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도시, 지진, 빅데이터과학동아 l2015년 06호
- 경보도 그중 하나다. 빅데이터에는 그동안 우리 가 알지 못했던 지진의 약점이 세세하게 기록돼 있다. 이것으로 지진 을 예측할 수는 없지만 대비할 순 있다. 지진에 맞선 투쟁은 지금부터 시작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도시, 지진, 빅데이터PART1. 도시와 지진 - 카트만두의 비극PART2. ... ...
- PART1. 도시와 지진 - 카트만두의 비극과학동아 l2015년 06호
- 특히 2002년부터 2006년까지는 천지 하부의 화산 지진이 급격히 증가해 한 달에 250여 회를 기록하기도 했다.지진의 원인은 마그마가 만들어낸 가스의 영향일 가능성이 크다. 지하 마그마는 암석을 녹이면서 기체도 액체도 아닌 초임계 유체를 만들어낸다. 초고온의 초임계 유체는 마그마만큼이나 ... ...
- 무서운 신예, ‘태양왕’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가장 효율이 좋고 싼 전지는 실리콘 태양전지다. 실리콘 태양전지는 늘 최고의 효율을 기록했다. 상용화의 최소 기준인 20%를 넘긴 것도 30년 전인 1980년대 중반이다. 그 이후 20년 동안 다른 어떤 태양전지도 이 효율에 도달하지 못했다. 다른 태양전지들이 20% 벽을 넘은 것은 불과 몇 년 전의 일이다. ... ...
- 가재처럼 걷는 해저로봇 크랩스터과학동아 l2015년 06호
- 크랩스터의 거리가 43m에 이르자 "실험을 시작한 이래 최대 탐색 거리에 최장 잠수 기록을 세웠다"며 그제야 환하게 웃었다. 오후 5시 15분, 약 6시간 동안 바다 속을 누빈 크랩스터가 물 밖으로 나왔다. 깨끗한 물로 씻긴 뒤, 격납고에 올렸다. 들어가기 전과 마찬가지로 각종 장비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 ...
- [가상 인터뷰] 수학으로 설명하는 바닷가재의 헤엄수학동아 l2015년 05호
- 제 머리와 다리, 꼬리에 전기 회로를 연결하고, 헤엄칠 때마다 어떤 신경이 반응하는지 기록했습니다. 신경 회로를 분석해 컴퓨터에 입력하더니, 다들 저한테 똑똑한 녀석이라며 박수를 보내는 거예요.저는 단지 빨리 가기 위해 양쪽 헤엄다리를 번갈아 저었을 뿐인데, 연구팀의 분석 결과 양쪽 ... ...
- [참여] 서초 수학박물관 수학은 어디에서 최초로 탄생했을까?수학동아 l2015년 05호
- 조금 다르다. 이 점토판에는 60진법으로 셈을 하는 바빌로니아 숫자로 18단의 곱셈표가 기록돼 있다. 점토판에 새겨진 내용을 오늘날 수로 바꾸면 다음과 같다. 18단이니까 첫 번째 수인 20를 18과 곱하면 6이 된다는 뜻이다. 60진법이므로 여기서 말하는 6을 오늘날 수로 바꾸면 60×6=360이 된다. 즉, 18×2 ... ...
- [참여] 통계의 눈으로 세상을 읽다 전국학생통계활용대회수학동아 l2015년 05호
- 기록 체크표와 훈련법을 만들어 시행하면서 10일마다 대표팀과 비대표팀 친구들의 기록을 확인했다.분석 결과, 선수단과 비선수단은 공의 방향이나 커브, 패스 등에서 큰 차이가 있었다. 훈련 뒤에는 제구력과 유연성이 빠르게 좋아졌다. 민첩성과 집중력은 잘 향상되지 않았는데, 앞으로 이 부분을 ... ...
- 닥터 그랜마도 깜짝 놀란 사물인터넷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심장박동수2등급 (중간급 비밀) 내가 가진 초코도넛 수3등급 (살짝만 비밀) 인터넷 방문 기록4등급 (비밀 아닌 비밀) 이름, 전화번호 이젠 정말 진짜로 도넛을 먹을 수 있게 됐어! 지구 정복은 내일로 미루고 스마트 기술로 이뤄진 나의 스윗홈에서 일단 휴식을 즐겨볼…. 아니 근데 초코도넛은 없고 ... ...
- [생활] 나만의 주치의, 맞춤의학수학동아 l2015년 05호
- 평소에 대비할 수 있다. 어떤 유전자와 어떤 질병이 연관돼 있는지는 실제 환자의 의료 기록과 유전 정보가 담긴 빅데이터에서 얻는다.30억 개의 DNA 염기로 이뤄져 있는 유전체 염기서열을 정확히 분석하려면 생명정보 분석 소프트웨어(SW)가 필요하다. 유전자 비교·검색에 널리 쓰이는 SW는 ... ...
- Bridge. ‘새의 왕국’ 불러온 진화 빅뱅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조류를 탄생시켰다. 이는 포유류(약 5400종)의 2배에 가까운 숫자로 척추동물 가운데 최다 기록이다. 종 다양성은 조류가 다양한 환경에 폭넓게 적응한, 성공한 생명체라는 사실을 보여준다. 조류는 종류가 다양한 만큼 형태와 습성도 제각각인데, 워낙 짧은 기간에 폭발적으로 분화한 탓에 그동안 ... ...
이전1651661671681691701711721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