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기
오래
d라이브러리
"
긴
"(으)로 총 3,499건 검색되었습니다.
남태평양 리얼 야생 체험기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바다 일정이 시작됐다. 이곳은 적도와 가까워서 햇볕이 무척 뜨겁다. 다들 선크림과
긴
소매 옷, 챙 넓은 모자로 무장하고 나섰다. 보트를 타고 바다 한 가운데에 다다르니 ‘와’ 하는 탄성만 나왔다. 체험단이 도착한 곳은 ‘오사쿠라’라는 작은 무인도. 스노클링을 하기 위해 섬 주변의 낮은 ... ...
익룡은 장대높이뛰기 선수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이 방법으로 한 번 공중에 떠오르면 큰 날개에 바람을 받아 대륙을 가로지를 만큼
긴
거리를 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위튼 교수는 “몸집이 큰 새는 대부분 날개짓을 하기 전에 두 발로 달린 후 뛰어오른다”며 “몸집이 작은 새만 정지 상태에서 날 수 있다”고 덧붙였다.연구팀은 ... ...
인공태양 빛낼 플라스마의 꿈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하지만 그 동안 많은 부분이 현실이 됐습니다. 다가올 30년 역시 마찬가지일 겁니다.
긴
시야를 갖고 도전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황 교수는 고등학생인 둘째 아들이 아버지의 연구에 관심을 보이기에 ‘도전해 보라’고 권했다는 말을 덧붙였다. 이 분야에 대한 애정이 없으면 불가능한 일이다. ... ...
통합적 추론 능력이 핵심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내용이 좋아도 감점 요인이 된다. 그러므로 인문계 논술처럼 서론, 본론, 결론을 갖춘
긴
글이 아닐지라도, 글쓰기 전에 간단한 개요는 작성하는 것이 좋다. 전달력을 갖춘 표현을 위해 글 외에도 도표나 그림, 수식 등을 활용하는 것을 적극 권장한다. 맞춤법도 평가 항목에 포함돼 있으니 주의를 ... ...
다리엔 왜 줄이 많을까?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안전하다. 일본의 아카시 해협에 지은 아카시대교는 세계에서 기둥 사이의 거리가 가장
긴
다리로 그 거리가 1991m나 된다. 전남 광양에 짓고 있는 이순신대교도 기둥 사이의 거리가 1545m로 2012년 완공 예정이다.다리에 줄이 많지만 현수선과 같은 곡선이 보이지 않는 다리가 있다. 양쪽에 높게 세운 ... ...
배다해와 장재인의 노래 비법이 궁금해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복식호흡을 하면 상복부의 힘으로 나가는 숨을 조절할 수 있다. 천천히공기를 빼면서
긴
숨으로 노래할 수 있는 것이다.하지만 흉식호흡을 하면 늑골을 위로 올려 숨이 들어오기 때문에 지탱하지 못하고 한 번에 푹 빠진다. 잠수부나 해녀들이 복식호흡으로 잠수하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흉식으로 ... ...
사실과 허구를 구분하려면?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연관된 변수가 워낙 다양하기 때문에 태풍이 적게 발생한 것만으로 추운 겨울을 예상하
긴
어렵다. 하지만 다양한 관측결과나 올해의 기상 변화를 고려하면 추운 겨울을 대비해야 한다는 예상을 충분히 할 수 있다.수학Q1. [정교성, 독창성] 삼각형 ABC를 다음 세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삼각형으로 ... ...
필즈상 수상자가 노벨 수학상도 탄다?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끌며 한국인의 우수성을 알리고 있다. 가까운 미래의 이익에 대한 생각에서 벗어나
긴
안목으로 기초과학에서도 꾸준한 투자가 이뤄진다면 각종 수학상과 과학상에서 한국인의 이름을 자주 보게 되지 않을까. 차기 아벨상 수상자가 궁금하다면?아벨상 수상자가 누가 될지 궁금하다면 필즈상이나 ... ...
‘무명 선수도 1등’ 첨단 스포츠 의류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팔과 다리 부분에 클라이마쿨을 적용했다. 공기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그물처럼 생
긴
오픈 메쉬와 기능성 직물을 결합시켰다. 또 항력을 줄이는 미세돌기를 부착해 표면을 오돌토돌하게 만들었다.근육 보호엔 ‘도르래’ 조이기‘도르래’가 들어 있는 경기 유니폼이 있다. 이 옷에 들어 있는 ... ...
한국 인공태양 핵융합 리더가 되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KSTAR가 이룩한 운영 성과는 ITER의 성공에 대단히 중요하다.두 번째 이유는 막대한 재원과
긴
시간이 필요한 핵융합에너지 연구만의 특성이다. ITER의 전체 건설 비용을 계산하면 10조 원이 훌쩍 넘어간다. 한 국가가 모두 내기엔 지나치게 부담이 크다. 더구나 에너지 개발은 시간이 오래 걸린다. 여러 ... ...
이전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