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기
오래
d라이브러리
"
긴
"(으)로 총 3,499건 검색되었습니다.
조건 따지는 사랑도 본능!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눈 색깔뿐 아니라 구애 방식도 크게 다르다. 플라티타서스 달랑게는 암컷을 유혹할 때
긴
다리로 멋지게 춤을 춘다. 춤을 잘 추는 게일수록 암컷에게 인기가 많다. 그래야 나중에 그처럼 우월한 유전자를 가진 새끼를 낳을 수 있다. 플라티타서스 달랑게를 보면 남자고 여자고 이성에게 매혹당하는 ... ...
인공태양 빛낼 플라스마의 꿈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하지만 그 동안 많은 부분이 현실이 됐습니다. 다가올 30년 역시 마찬가지일 겁니다.
긴
시야를 갖고 도전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황 교수는 고등학생인 둘째 아들이 아버지의 연구에 관심을 보이기에 ‘도전해 보라’고 권했다는 말을 덧붙였다. 이 분야에 대한 애정이 없으면 불가능한 일이다. ... ...
테라포밍, 지구의 조건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밀려나 카이퍼벨트와 오르트구름을 이루고 있다. 이 미행성이 태양 가까이 지나면
긴
꼬리를 내는 혜성으로 나타난다. 최근 행성계에서 퇴출된 명왕성은 카이퍼벨트에 들어있던 큰 미행성으로 짐작된다. 남아있는 미행성들이 분산되는 데 1천만년~1억년이 소요됐다. - 과학동아 1999년 6월호 ‘행성은 ... ...
통합적 추론 능력이 핵심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내용이 좋아도 감점 요인이 된다. 그러므로 인문계 논술처럼 서론, 본론, 결론을 갖춘
긴
글이 아닐지라도, 글쓰기 전에 간단한 개요는 작성하는 것이 좋다. 전달력을 갖춘 표현을 위해 글 외에도 도표나 그림, 수식 등을 활용하는 것을 적극 권장한다. 맞춤법도 평가 항목에 포함돼 있으니 주의를 ... ...
필즈상 수상자가 노벨 수학상도 탄다?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끌며 한국인의 우수성을 알리고 있다. 가까운 미래의 이익에 대한 생각에서 벗어나
긴
안목으로 기초과학에서도 꾸준한 투자가 이뤄진다면 각종 수학상과 과학상에서 한국인의 이름을 자주 보게 되지 않을까. 차기 아벨상 수상자가 궁금하다면?아벨상 수상자가 누가 될지 궁금하다면 필즈상이나 ... ...
한국 인공태양 핵융합 리더가 되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KSTAR가 이룩한 운영 성과는 ITER의 성공에 대단히 중요하다.두 번째 이유는 막대한 재원과
긴
시간이 필요한 핵융합에너지 연구만의 특성이다. ITER의 전체 건설 비용을 계산하면 10조 원이 훌쩍 넘어간다. 한 국가가 모두 내기엔 지나치게 부담이 크다. 더구나 에너지 개발은 시간이 오래 걸린다. 여러 ... ...
배다해와 장재인의 노래 비법이 궁금해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복식호흡을 하면 상복부의 힘으로 나가는 숨을 조절할 수 있다. 천천히공기를 빼면서
긴
숨으로 노래할 수 있는 것이다.하지만 흉식호흡을 하면 늑골을 위로 올려 숨이 들어오기 때문에 지탱하지 못하고 한 번에 푹 빠진다. 잠수부나 해녀들이 복식호흡으로 잠수하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흉식으로 ... ...
비유클리드 기하학의 발견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부정하면 유클리드 기하학에 관한 지식에 모순이 생기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기하학이 생
긴
다는 생각을 한 점이다. 하지만 당시 이런 생각은 2000년 이상 진리로 생각했던 유클리드 기하학을 뒤엎는 생각이어서 사람들에게 인정받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렸다.새로운 기하학에서는 모든 것이 ... ...
다리엔 왜 줄이 많을까?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안전하다. 일본의 아카시 해협에 지은 아카시대교는 세계에서 기둥 사이의 거리가 가장
긴
다리로 그 거리가 1991m나 된다. 전남 광양에 짓고 있는 이순신대교도 기둥 사이의 거리가 1545m로 2012년 완공 예정이다.다리에 줄이 많지만 현수선과 같은 곡선이 보이지 않는 다리가 있다. 양쪽에 높게 세운 ... ...
과학으로 담그면 행복한 겁니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쓴맛이 날 때가 많다. 과제4. 온도를 알면 보관법 보인다겨울김장은 채소가 자라지 않는
긴
겨울을 대비하는 수단이다. 한국은 대륙성 시베리아 기단의 영향을 받아 길고 추운데, 1월이 되면 한반도 전역이 영하권으로 떨어진다. 김치는 소금이 포함돼 있어 보통 영하 5℃ 이하로 내려가야 얼기 ... ...
이전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