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기
오래
d라이브러리
"
긴
"(으)로 총 3,499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인공태양 핵융합 리더가 되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KSTAR가 이룩한 운영 성과는 ITER의 성공에 대단히 중요하다.두 번째 이유는 막대한 재원과
긴
시간이 필요한 핵융합에너지 연구만의 특성이다. ITER의 전체 건설 비용을 계산하면 10조 원이 훌쩍 넘어간다. 한 국가가 모두 내기엔 지나치게 부담이 크다. 더구나 에너지 개발은 시간이 오래 걸린다. 여러 ... ...
필즈상 수상자가 노벨 수학상도 탄다?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끌며 한국인의 우수성을 알리고 있다. 가까운 미래의 이익에 대한 생각에서 벗어나
긴
안목으로 기초과학에서도 꾸준한 투자가 이뤄진다면 각종 수학상과 과학상에서 한국인의 이름을 자주 보게 되지 않을까. 차기 아벨상 수상자가 궁금하다면?아벨상 수상자가 누가 될지 궁금하다면 필즈상이나 ... ...
배다해와 장재인의 노래 비법이 궁금해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복식호흡을 하면 상복부의 힘으로 나가는 숨을 조절할 수 있다. 천천히공기를 빼면서
긴
숨으로 노래할 수 있는 것이다.하지만 흉식호흡을 하면 늑골을 위로 올려 숨이 들어오기 때문에 지탱하지 못하고 한 번에 푹 빠진다. 잠수부나 해녀들이 복식호흡으로 잠수하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흉식으로 ... ...
사실과 허구를 구분하려면?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연관된 변수가 워낙 다양하기 때문에 태풍이 적게 발생한 것만으로 추운 겨울을 예상하
긴
어렵다. 하지만 다양한 관측결과나 올해의 기상 변화를 고려하면 추운 겨울을 대비해야 한다는 예상을 충분히 할 수 있다.수학Q1. [정교성, 독창성] 삼각형 ABC를 다음 세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삼각형으로 ... ...
공개수배! 숨어 있는 ‘용의자’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기어간다. 몸의 앞부분을 쭉 뻗고 허리를 둥글게 말아 올려 몸 뒷부분을 앞으로 끌어당
긴
다. 손가락 두 개로 물건의 길이를 잴 때처럼 이동하는 모습 덕분에 자벌레라는 이름이 붙었다. ‘자벌레’는 나무에 심각한 해를 입힐 수 있다. 한 나뭇가지 위에 정착해 잎을 모두 갉아먹고 다른 나뭇가지로 ... ...
인류의 희로애락 품은 탈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조상과 관련이 있다고 여기는 토템동물의 탈이다. 풍요제의탈은 제주도의 입춘굿에서
긴
염이 달린 붉은 색 탈을 쓴 농부가 씨앗을 뿌리면 새가 쪼아 먹고, 그 새를 포수가 쏘아 죽이는 것과 같이 풍요다산을 비는 탈이다. 의술탈은 제주도 도깨비영감의 탈처럼 질병의 원인이 되는 역귀(疫鬼)의 탈을 ... ...
[지식의 길을 묻다] IT의 미래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너무나 빠른 속도로 변하고 있는 만큼 일일이 다음 기술을 예측하고 대응하는 것보다는
긴
안목으로 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옌센 대표는 “컴퓨터가 점차 작아지고, 어디서나 인터넷을 통해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사회가 됐지만 아직까지 기술은 계속 발전하고 있다”면서 “다만 IT 기술이 ... ...
Part 4. 집에 오는 길은 힘들어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61.3km나 되는 곳도 있어. 휴게소 사이의 거리가 먼 고속도로일수록 졸음운전으로 생
긴
사고가 많다는 조사결과도 있더구나. 아~함, 우리도 다음 휴게소에서 잠시 쉬었다 가는 게 좋겠구나.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수학, 한가위만 같아라 PART 1 너랑 나랑 얼마나 가까울까? PART 2 아름다운 한복 ... ...
아라온호, 첫 북극 탐험서 미세조류 관찰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극지연 극지기후연구부 김영남 연구원이 소속된 연구팀은 최대 4m 깊이의 얼음을
긴
원통 모양으로 채취했다.연구팀은 바다와 맞닿은 얼음 끝에 잔뜩 붙어 있는 녹색 미세조류를 기대했지만 예상보다 깨끗했다. 김 연구원은 “얼음과 맞닿아 있어도 환경에 따라 미세조류의 양과 종류에 큰 차이가 ... ...
달리기 시합의 우승자는 누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무려 4m 가까이 됐답니다. 속도를 측정해 볼까요? 총 28개 발자국의 전체 길이와 가장
긴
중간 발가락의 길이를 바탕으로 분석해 본 결과, 약 시속 15~20㎞로 총총 뛰던 작은 수각류가 나중에는 시속 40㎞까지 속도를 내며 뛰었다는 사실을 알아 냈어요. 더 신기한 것은 그 뒤로 다시 한 걸음의 거리가 ... ...
이전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