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박사"(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작은 것’들의 반란 나노카 레이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달리며 경기장을 완주했다. 스위스 팀의 리더인 스위스 바젤대 물리학과 레미 파울락 박사는 “호버크래프트처럼 공중으로 떠서 이동하기 때문에 마찰력이 적은 것이 우승 비결”이라며 “그 대신 나노카가 경기장 표면에서 점프해 사라지는 경우가 종종 있다”고 말했다.2등은 나노카가 43nm를 ... ...
- [Issue] 스트라디바리우스 280년만의 굴욕 명품 바이올린은 없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있다?바이올린 제작자이자 음향연구가인 제프리 로엔 박사와 테리 보르만 박사, 앨빈 킹 박사는 명품 바이올린의 뛰어난 음색의 비결이 울림통 재료인 나무 자체에 있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여러 점의 스트라디바리우스와 과르네리를 컴퓨터 단층촬영(CT)으로 조사했다. 그 결과 악기마다 판의 ... ...
- [Origin] 유전자, 게임을 하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evopsy@gmail.com서울대 생물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마치고 미국 텍사스대 심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진화심리학 전문가이며 현재 경희대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로 재직 중이다 ... ...
- [Culture] 행복과 성공, 모두 얻는 법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보게 돼 성공까지 이룰 수 있으니 일석이조다.이덕주_djlee@kaist.edu미국 스탠포드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뒤 미국항공우주국(NASA)을 거쳐 KAIST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현재 미국 헬리콥터학회 부회장, 한국 드론산업진흥협회 부회장이며 아시아·호주 헬리콥터 포럼 초대 회장을 ... ...
- [Career] 7년 사제가 만든 걸작, 초고속 거미집 센서과학동아 l2017년 08호
- 개발해 주목 받았다. 특히 이 연구 결과는 7년 동안 함께 연구해 온 임병화 연구원(박사과정)과 함께 맺은 결실이라 의미가 더 크다.두 사람이 함께 고민한 문제는 ‘질병과 관련된 단백질과 세포를 어떻게 하면 빠르게 센서로 이동시킬 수 있을까’였다. 의학이 발달하면서 암을 비롯한 다양한 ... ...
- Intro. 수학으로 찾는 나의 뿌리, 내 유전자는 어디서 왔을까?수학동아 l2017년 08호
- 안녕하세요, 조혜인 기자입니다. 저는 지금 러시아에 있는 악마문 동굴 유적 발굴 현장에 나와 있습니다. 얼마 전 이곳에서 발견된 유골 중 하나가 한국인의 조상으로 밝혀졌습니다. 수학적 기법을 이용한 유전자 분석으로 이뤄낸 성과인데요, 연구팀은 이번 연구로 우리 조상이 한반도에 정착하기 ... ...
- [Origin] 1년에 단 하루 ‘야행성 태양’이 뜬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수상했다. 조영민_ youngmin.joshua.cho@gmail.com충남대에서 석사학위를, 캐나다 요크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뒤, 2010년부터 요크대에서 연구원(RA)으로 재직하고 있다. 1999~2000년에는 극지연구소 세종과학기지에서 현장연구를 했다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퍼즐, 수학이 되다! 커크먼의 여학생 문제수학동아 l2017년 08호
- 일반적인 연구 결과가 등장했습니다. 영국 버밍엄대학교의 박사 과정생인 스테판 글록과 박사 후 연구원인 앨런 로 박사, 부부인 다니엘라 퀸 교수와 데뤼크 오스투스 교수가 임의의 r명이 어떻게 배치돼 있는지 그 모양까지 고려해 문제를 푼 겁니다. 학술지에 소개된 것은 아니라서 아직 검증이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모터 없이 움직이는 배를 만들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위해 선착장에 갔더니 승선권이 벌써 다 매진됐다는 거예요! 하지만 포기를 모르는 섭섭박사님은 배를 직접 만들어 섬으로 가기로 했지요.모터도 없는 상황에서 어떻게 항해하는 배를 만들 수 있을까요? 힌트 하나. 배를 띄우는 물의 힘, 부력!지구상의 모든 물체는 아래로 당겨지는 힘인 중력을 ... ...
- [Issue] 미국 개기일식, 과학자들도 ‘스탠바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scbong@kasi.re.kr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뒤 한국천문연구원에서 박사후연구원과 선임연구원으로 근무했다. 현재 한국천문연구원에서 책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태양 전파폭발과 플레어, CME 등 다양한 태양활동 현상을 연구하고 있다 ... ...
이전1621631641651661671681691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