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박사"(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백신은 정말 옳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의대 감염내과 폴 오피트 교수와 미국 국립알레르기감염증연구소(NIAID)의 찰스 해킷박사는 이를 반박하는 연구 결과를 2003년 3월 ‘소아과학’에 발표했다. 논문에서는 백신이 천식, 다발성 경화증, 관절염, 당뇨병 등의 만성질환을 일으킨다는 가설은 메타 연구 결과 아무런 근거가 없다며, 백신 ... ...
- Part 2. 슈퍼카를 만드는 3가지 비결수학동아 l2017년 07호
- 엔진 속 최적의 비율사람이 섭취한 음식은 소화기관을 거쳐 몸을 움직일 수 있는 에너지로 바뀐다. 자동차가 섭취하는 음식이 가솔린, 디젤 같은 연료 또는 전기라면 소화기관은 바로 ‘엔진’이다. 엔진은 화학, 전기에너지를 자동차 바퀴를 회전시키는 에너지로 바꾼다.소화기관이 크고 튼튼하면 ... ...
- [김종락 교수의 보드게임 페스타] 최석정의 직교라틴방진이 보드게임으로! 1258수학동아 l2017년 07호
- 서울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미국 일리노이주립대학교 시카고캠퍼스에서 박사 학위 과정을 마쳤습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부호론과 암호론, 산업수학, 인공지능입니다. 2004년 캐나다 조합론연구소에서 주는 커크만 메달을 한국인 최초로 받았습니다. 2016년부터 대한수학회 수학문화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청소 위성, 우주 쓰레기를 부탁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아니라 산불 및 교통 감시, 기상 관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어요. 구삼옥 박사님은 “좀 더 작은 크기로 만들어 원양어선 등에 상용화를 준비하고 있다”며, “군용 드론처럼 일반 드론도 바다 위에 떠서 이동하는 배와 같이 움직이는 대상에 정확히 착륙할 수 있게 연구하고 있다”고 ... ...
- [과학뉴스] 꼬불꼬불한 미토콘드리아 내막의 비결과학동아 l2017년 07호
- 9라는 단백질과 결합해 구형 리포솜을 관 모양으로 변형시키는 모습도 관찰했다.다움케 박사는 “Mic60과 Mic19의 조합이 단백질 복합체들을 내막과 외막 사이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며 “그 결과 한정된 공간에 내막이 존재하기 위해 꼬불꼬불한 구조를 유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 ...
- [과학뉴스] 양의 눈을 바라봐 난 괴로워지고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개발했다.양 고통 표정 척도는 지난해 영국 체스터대 동물 행동학자 크리스타 맥레난 박사가 고안한 것으로, 질병을 앓는 양의 얼굴 표정 변화를 관찰해 고통을 측정한다. 이 척도에 따르면, 양은 고통을 느낄 때 눈이 가늘어지고 뺨을 당기며, 귀는 앞으로 접고 입술은 아래로 늘어뜨린다. 또, ... ...
- [Issue] 때 아닌 ‘개 코’ 논란 사람도 개 만큼 맡는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미신(myth, 과학적인 근거가 없다는 의미로 표현했다)일 뿐”이라고 꼬집었다. 브로카 박사가 주장한 대로 해부학적인 측면에만 집중한 탓에 사람의 후각을 과소평가해왔다는 것이다. 맥건 교수는 단순히 후각신경구의 크기나 후각세포의 분포만으로는 후각능력을 판단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 ...
- Part 1. 백신을 못 믿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있는데, ‘철회됐다(retracted)’는 문구가 커다랗게 찍혀 있다. 2010년 5월에는 웨이크필드 박사의 의사면허도 박탈됐다.이렇게 실상이 낱낱이 밝혀졌음에도 백신에 대한 불신이 완전히 걷히지 않았다. 세계보건기구(WHO)가 2015년 8월 14일 학술지 ‘백신’에 발표한 ‘백신 기피에 대한 WHO의 권고’에 ... ...
- Part 4. “나 하나쯤이야” 무너지는 집단면역 생태계과학동아 l2017년 07호
- park3@kaist.ac.krPOSTECH 분자생명과학부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뒤, 미국국립보건원(NIH)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근무했다. 현재, KAIST 의과학대학원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 다양한 바이러스 감염 질환에 대한 방어면역 및 신·변종 감염병에 대한 백신을 연구 개발하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 Part 3. 슈퍼카에서 하이퍼카로수학동아 l2017년 07호
- 인공지능 슈퍼카 나올까SF영화에서나 보던 자율주행자동차의 시대가 성큼 다가왔다. 전광민 연세대학교 기계공학부 교수는 “2020년이면 자율주행자동차가 상용화되기 시작해 2030년이면 완전히 상용화될 것”이라고 말한다.슈퍼카도 이 흐름에 발 맞추고 있다. 2015년 3월 독일의 자동차 제조업체 아 ... ...
이전164165166167168169170171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