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도
격렬함
계수
셈
힘
능력
효력
d라이브러리
"
세기
"(으)로 총 5,585건 검색되었습니다.
연금술과 화학의 경계에서 색을 만들다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잿물이 청색으로 물든다. 이 잿물을 말려 가루를 만들면 울트라마린을 만들 수 있다. 20
세기
까지 오는 동안 색 제조가들이 아름다운 색을 찾기 위해 가졌던 노력은 끝도 없다. 화려한 색깔과 화가의 정성이 합쳐진 예술품을 우리는 그저 즐겁게 감상하며 경탄하는 것일 뿐. 빨강과 노랑, 파랑의 세 ... ...
수술실에서 死神을 쫓아내다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세균과 그로 인한 패혈증때문이었다. 지금에야 당연한 상식이지만 당시는 아니었다. 18
세기
들어 상처 고름(세균과 싸운 흔적)과 병원 질환을 설명하는 이론은 장기 이론(miasma theory, ‘부패한 물질에서 나오는 나쁜 공기’를 뜻함)으로 수렴됐다. 장기 이론에 따르면 주변 환경, 부패한 물질, 병든 ... ...
Epilogue. 인류는 바이러스로 멸망하지 않는다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멸망하는 일은 없습니다. 바이러스의 목적은 숙주를 죽이는 게 아니에요.”정 교수는 19
세기
중반 호주에서 있었던 토끼사냥 이야기를 예로 들었다. 외래종으로서 호주에 데려온 토끼 수가 걷잡을 수 없이 늘어나자 정부는 토끼에게 치명적인 바이러스를 풀었다. 초기 치사율이 무려 99%였다. 정부의 ... ...
[화보] 여름잠 자는 동물들의 수학적인 생존 비결
수학동아
l
2013년 08호
앞선 삼각형의 빗변이 다음 삼각형의 밑변이 되도록 이어 나가면서 그리면 된다. 기원전 5
세기
에 그리스 테오도르스가 그려서 ‘테오도르스의 나선’이라고 부른다.사막의 달팽이는 특이하게도 중심이 하늘을 향해 있어서 위에서 봐야 나선이 보인다. 이는 바닥이 뜨거울 때 몸을 최대한 위로 ... ...
이영돈 PD의 수학 먹거리 X파일
수학동아
l
2013년 08호
형태가 닮은 것을 보고 붙인 이름이다.그런데 왜 이 곡선이 수학자들을 매혹시킨 걸까? 19
세기
까지 수학자들은 ‘끊어지지 않은 연속함수는 모든 점에서 기울기를 구할 수 있는 미분 가능 함수’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1834년에 연속함수지만 미분할 수 없는 함수가 처음으로 발견됐다. 블라망주 ... ...
[체험] 정육면체와 정팔면체의 합체! 자이로스코프 만들기
수학동아
l
2013년 08호
여러 발명가들이 탄도 미사일과 블랙 박스에 활용할 방법을 연구했다. 또한 20
세기
초 세계대전을 겪으면서는 항공기와 군함에 사용되는 자이로스코프 개발을 국방력의 중요한 척도로 여겼다.이후 1917년 미국의 장남감 회사인 챈들러사가 팽이처럼 돌아가는 챈들러 자이로스코프를 개발해 ... ...
Bridge. 사람이 일으키는 대유행 전염병, 바이오테러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대륙을 점령하면서 비협조적인 원주민을 제거할 목적으로 역시 천연두를 사용했다.20
세기
에 들어 미생물학이 발달하면서 생물무기는 보다 체계적으로 국가 주도하에 개발되기 시작했다. 2차 대전 중 일본은 만주의 731부대에서 대규모 생물무기 개발 연구를 했다. 연구개발 과정 중 약 1만 명의 ... ...
조선초기 호랑이는 물가에 살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호랑이는 다 어디로 갔을까농지 개간과 사냥에 시달리던 호랑이는 결국, 19
세기
에서 20
세기
에 이르는 시기에 한반도의 중남부 지역에서 사실상 절멸했다. 19
세기
후반 샤를 달레 신부는 ‘한국 천주교회사’에서 “(한반도) 북쪽의 두 도를 빼놓고는 거의 어디나 산이 일궈져서 호랑이는 제 굴에서 ... ...
수학으로 다시 태어난 리얼입대 프로젝트 진짜 사나이
수학동아
l
2013년 08호
장벽과 함께 중간중간 불을 피워 신호를 알리는 봉화 신호탑으로 이루어져 있다. 기원전 7
세기
중국에서는 국경을 감시하는 군인들이 적군이 침입할 때 연기를 일으켜 소식을 전했는데, 불과 몇 시간 만에 750km나 떨어진 곳까지 신호를 전할 수 있었다.기원전 2
세기
고대 그리스의 역사학자 ... ...
순간포착 세상에 이런 일이 수학하는 동물들이 나타났다!
수학동아
l
2013년 07호
날아다니는 동물의 계절이다. 벌과 나비를 비롯해 온갖 새들이 날갯짓하는 모습은 19
세기
부터 많은 생물학자들의 관심을 받아왔다. 그리고 영국 케임브리지대 동물학과 찰리 엘링턴 교수는 1997년 나방의 날갯짓을 흉내내는 로봇을 만들어, 동물의 날갯짓이 공기 중에 기하학적인 흔적을 남긴다는 ... ...
이전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