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도
격렬함
계수
셈
힘
능력
효력
d라이브러리
"
세기
"(으)로 총 5,585건 검색되었습니다.
Bridge. 사람이 일으키는 대유행 전염병, 바이오테러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대륙을 점령하면서 비협조적인 원주민을 제거할 목적으로 역시 천연두를 사용했다.20
세기
에 들어 미생물학이 발달하면서 생물무기는 보다 체계적으로 국가 주도하에 개발되기 시작했다. 2차 대전 중 일본은 만주의 731부대에서 대규모 생물무기 개발 연구를 했다. 연구개발 과정 중 약 1만 명의 ... ...
Epilogue. 인류는 바이러스로 멸망하지 않는다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멸망하는 일은 없습니다. 바이러스의 목적은 숙주를 죽이는 게 아니에요.”정 교수는 19
세기
중반 호주에서 있었던 토끼사냥 이야기를 예로 들었다. 외래종으로서 호주에 데려온 토끼 수가 걷잡을 수 없이 늘어나자 정부는 토끼에게 치명적인 바이러스를 풀었다. 초기 치사율이 무려 99%였다. 정부의 ... ...
수학으로 다시 태어난 리얼입대 프로젝트 진짜 사나이
수학동아
l
2013년 08호
장벽과 함께 중간중간 불을 피워 신호를 알리는 봉화 신호탑으로 이루어져 있다. 기원전 7
세기
중국에서는 국경을 감시하는 군인들이 적군이 침입할 때 연기를 일으켜 소식을 전했는데, 불과 몇 시간 만에 750km나 떨어진 곳까지 신호를 전할 수 있었다.기원전 2
세기
고대 그리스의 역사학자 ... ...
[화보] 여름잠 자는 동물들의 수학적인 생존 비결
수학동아
l
2013년 08호
앞선 삼각형의 빗변이 다음 삼각형의 밑변이 되도록 이어 나가면서 그리면 된다. 기원전 5
세기
에 그리스 테오도르스가 그려서 ‘테오도르스의 나선’이라고 부른다.사막의 달팽이는 특이하게도 중심이 하늘을 향해 있어서 위에서 봐야 나선이 보인다. 이는 바닥이 뜨거울 때 몸을 최대한 위로 ... ...
수학과 세상의 경계를 넘나든 수학자 스티븐 스메일
수학동아
l
2013년 08호
순수 수학과 응용수학에 대한 구분도 괘념치 않았던 그는, 1998년에 버클리대에서 ‘21
세기
에 풀어야 할 수학난제’를 정리해 발표한다. 여러 해 전에 이미 은퇴했지만, 30년 이상을 연구했던 학문적 고향에 돌아가서 후대의 젊은 수학자들에게 영감을 주고 싶었던 이유일 것이다.당시 그의 강연을 ... ...
수학자를 사로잡은 악마의 코드, 소수
수학동아
l
2013년 08호
!소수의 매력에 빠진 수학자들이 가장 먼저 하는 연구는 소수의 규칙을 찾는 것이지. 19
세기
를 대표하는 수학 천재 가우스도 예외는 아니었어. 하지만 안타깝게도 소수의 모든 비밀은 풀지 못했지. 20
세기
천재인 나도 마찬가지구.소수는 대체 어느 순서에 나타나는 걸까? 독일의 수학 천재 카를 ... ...
[체험] 정육면체와 정팔면체의 합체! 자이로스코프 만들기
수학동아
l
2013년 08호
여러 발명가들이 탄도 미사일과 블랙 박스에 활용할 방법을 연구했다. 또한 20
세기
초 세계대전을 겪으면서는 항공기와 군함에 사용되는 자이로스코프 개발을 국방력의 중요한 척도로 여겼다.이후 1917년 미국의 장남감 회사인 챈들러사가 팽이처럼 돌아가는 챈들러 자이로스코프를 개발해 ... ...
이영돈 PD의 수학 먹거리 X파일
수학동아
l
2013년 08호
형태가 닮은 것을 보고 붙인 이름이다.그런데 왜 이 곡선이 수학자들을 매혹시킨 걸까? 19
세기
까지 수학자들은 ‘끊어지지 않은 연속함수는 모든 점에서 기울기를 구할 수 있는 미분 가능 함수’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1834년에 연속함수지만 미분할 수 없는 함수가 처음으로 발견됐다. 블라망주 ... ...
조선초기 호랑이는 물가에 살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호랑이는 다 어디로 갔을까농지 개간과 사냥에 시달리던 호랑이는 결국, 19
세기
에서 20
세기
에 이르는 시기에 한반도의 중남부 지역에서 사실상 절멸했다. 19
세기
후반 샤를 달레 신부는 ‘한국 천주교회사’에서 “(한반도) 북쪽의 두 도를 빼놓고는 거의 어디나 산이 일궈져서 호랑이는 제 굴에서 ... ...
“인간 유전자는 특허가 아니다”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인정했기 때문이다.인공유전자도 과연 특허대상일까이번 재판은 생명과학계에서 ‘
세기
의 재판’으로 주목을 받았다. 그동안 대학이나 연구소에서 유전자를 연구하던 많은 과학자들은 새로 발견한 유전자에 특허를 받으려 노력했다. 잘만 하면 브라카 유전자처럼 ‘대박’이 터질 수 있기 ... ...
이전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