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기"(으)로 총 5,585건 검색되었습니다.
-
- Part 3. 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 묶는 끈과학동아 l2013년 07호
- 그러나 일반상대성이론도 원자 이하 크기의 미시 세계에서는 힘을 잃는다.한편, 20세기 초 나온 양자역학은 물체의 운동에 불확정성이 있다는 또 다른 실험 결과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난 이론이다. 주로 기본입자,원자핵, 원자, 분자 등 미시 세계에 적용된다. 그러나 반대로 양자역학을 중력이 있는 ... ...
-
- 뜨거워진 북극, 세계의 화약고 될까과학동아 l2013년 07호
- 끔찍한 재난이 일어날 수 있다.Q4 북극 개발로 우리나라가 얻을 수 있는 것은?19세기 미국 서부의 ‘골드러시’하면 지금은 청바지 회사 이름만 입에 맴돈다. ‘신 골드러시’라고까지 불리는 북극 개발에서도 마찬가지일 수 있다. 워낙 오지에 있는 북극 개발에는 정보통신, 조선, 토목건축 등 ... ...
-
- 개미가 페르마의 원리를 안다고?과학동아 l2013년 07호
- 기본적인 수학 능력이다. 물론 우리 인간이 보기에는 초보적인 수준이며, 엄밀히 말해 수 세기보다는 거리나 양을 측정하는 능력에 가까울 수 있다. 하지만 개미 한 마리가 아니라 개미 집단이 되면 그 수준은 크게 올라간다. 집단지성을 이용해 복잡한 퍼즐도 해결할 수 있다.지난 2011년 호주 ... ...
-
- Part 1. 빅뱅은 두 막의 충돌일까?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있는 우주의 모습은 어떨까. 그 우주를 이루고 있는 물질의 궁극적인 실체는 무엇일까. 20세기에 물리학은 두 질문에 대해 아주 그럴듯한 대답을 내놓았는데, 그것이 입자물리 표준모형과 표준우주론이다.입자물리 표준모형은 우주를 이루는 궁극적인 실체를 크기가 없는 점 입자로 보는 양자장론에 ... ...
-
- [life & Tech] 42° 고개를 들면 무지개가 보인다과학동아 l2013년 07호
- ‘무지개’다. 쉽게 볼 수 있기 때문에 누구나 무지개를 다 안다고 생각한다.하지만 11세기 이슬람의 과학자이자 수학자로서 ‘광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이븐 알하이삼과 아이작 뉴턴 같은 위대한 과학자들은 천 년에 걸쳐 무지개의 기원을 설명하려고 했다. 무지개의 비밀은 그만큼 매력적이다. ... ...
-
- 피 조금만 뽑아도 되는 초민감 센서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전기신호를 받아들이거나, 물질과 만나면 빛을 내는 광학염료를 넣어 발생하는 빛의 세기를 측정하는 식이다.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더 민감한 센서를 만들 수 있을까. 나노구조 설계가 그 해법으로 떠오르고 있다. 일정한 부피에 나노미터 수준으로 만든 아주 작은 센서들을 밀집시킬 수 있기 때문에 ... ...
-
- 네안데르탈 학당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서구 사람들이 네안데르탈인에 대해 부정적인 생각을 갖게 된 결정적인 계기는 20세기 초, 프랑스 라 샤펠 지역에서 발견된 화석 한 점입니다. 두개골과 몸통, 팔다리 뼈가 남은 이 화석의 주인공은 좀 구부정한 모습을 했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나이가 들고 생활이 험해서 관절이 망가졌기 ... ...
-
- [생활] 데카르트가 들려주는 무지개 이야기수학동아 l2013년 07호
- 여름방학 특강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프랑스에서 17세기에 활동했던 르네 데카르트라고 합니다. 수학자이자 과학자죠. 이번 특강의 주제는 ‘무지개’입니다. 여름철은 특히 무지개를 보기 좋은 때니까요. 그런데 이런 무지개는 대체 어떤 원리로 생기는 걸까요? 언뜻 알 것 ... ...
-
- [독자탐방] 미니 브릿지 융합 수학을 맛보다!수학동아 l2013년 07호
- 레자 사르한기 교수 : 제 고향인 이란의 전통 건축에서 사용하는 페르시아 무늬는 약 10~16세기에 발달했는데, 수학적인 의미가 담겨 있어요. 바로 도형으로 평면을 빈틈없이 채우는 테셀레이션 기법의 원조라고 할 수 있거든요.특히 저는 페르시아 무늬를 수학적인 방법으로 작도하는 것에 관심이 ... ...
-
- [20세기의 수학자] 방랑의 수학자 폴 에르되시수학동아 l2013년 07호
- 정해진 거처 없이 평생 동안 세계를 여행하며 많은 사람들과 수학을 논하기 즐겼던 20세기의 자유인이자 기인으로도 불린다. 협력연구의 달인폴 에르되시는 수학이 다락방에서 혼자 생각하는 학문이 아니라, 다른 이들과의 대화를 통한 사고의 전개라고 믿었다. 그래서 전 세계를 떠돌며 수학을 ... ...
이전1631641651661671681691701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