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
썬
sun
천체
햇빛
햇볕
햇님
d라이브러리
"
태양
"(으)로 총 4,409건 검색되었습니다.
코페르니쿠스의 원리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우주와 먼 우주를 관측하고 또 관측한다. 지금까지 관측된 결과에 의하면 우리은하나
태양
이 그리 특별해 보이지는 않는다. 이제 코페르니쿠스 원리에 가장 직접적으로 관련된 남아있는 질문은 “Are we alone?” (우주에 지성체는 우리뿐인가)일 것이다. 이 얘길 하자면 몇 시간이 더 필요하다 ... ...
차세대 연료전지 나노 기술로 상용화 앞당긴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아이디어를 얻어 옵니다. 시각을 넓히는 거죠.”성 교수의 연구실에서는 연료전지,
태양
전지, 리튬이온 전지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산화 환원 반응을 이용한다는 핵심은 같지만 쓰이는 재료나 기술 등이 조금씩 차이가 난다. 그러다 보니 연구실 회의를 하면 각 분야의 다양한 ... ...
차가운 빛의 세계, 발광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빛에는
태양
에서 지구까지 열이 전달되는 방식인 열복사처럼 자연에서 나오는 빛과 형광등이나 LED처럼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빛이 있다. 모든 물체는 온도에 따라 독특한 파장 범위의 전자기파를 물체 표면에서 방출한다. 이를 온도복사 또는 열복사라고 한다. 온도가 높은 물질일수록 파장이 짧은 ... ...
수학으로 외계인 찾는다! MIB(Math in Black)
수학동아
l
2012년 04호
삼각측량을 이용한다면
태양
의 위치를 알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일부 과학자들은
태양
의 위치를 기록하면 안 된다고 주장했다. 외계인들이 이 동판으로 지구의 위치를 알고 지구에 공격할 수 있다고 여겼기 때문이다.외계인에게 보낸 수학메시지 2 아레시보 메시지 1974년 프랭크 드레이크 ... ...
20회 천체사진공모전 이글이글 타오르는
태양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출품한 작품을 심사하던 심사위원들이 감탄사를 내뱉었다. 영예의 대상은 ‘Sun(
태양
)’을 출품한 김일순 씨에게 돌아갔다. 그에 버금가는 작품도 많았다. 안드로메다은하, 오리온대성운, 플레이아데스 성단처럼 인기 좋은 천체는 물론 창의적인 구도로 밤의 풍경과 하늘을 아름답게 담은 작품도 ... ...
“녹색 지구 만든 조류(藻類)의 비밀을 밝히고 싶습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원생생물을 찾기 위해 시료를 채집하고 있다.]대학 1학년 때부터 채집여행 따라 다녀
태양
초 고추로 유명한 충남 청양에서 태어난 윤 교수는 어릴 때부터 산과 들을 돌아다니는 걸 좋아했다. 고등학교 시절 생물시간이 되면 늘 설레던 그는 취직이 어려울 거라는 담임선생님의 만류를 뿌리치고 1988년 ... ...
7년 만의
태양
폭풍, 지구를 강타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4호
국립전파연구원은 1월 28일 새벽 3시 25분쯤에 올해 들어 가장 큰 규모로
태양
흑점이 폭발했다고 밝혔어요. 이 폭발로 북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 지역의 ... 우리나라 기상청도 이때를 대비해 올해 4월부터 우주기상예보를 시작한답니다.
태양
폭풍을 미리 알려 피해를 줄이려는 거예요 ... ...
길을 잃었을 땐 ‘똥춤’ 춰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제가
태양
의 위치만으로 진행하던 방향을 기억한다고 말했어요. 또 구름 낀 날에 약한
태양
빛을 이용해 마치 나침반을 든 것처럼 제가 길을 찾는 걸 보고 감탄하기도 했지요.내 은신처로 가는 길도 알려줄 수 있겠니?제가 한 번 가봤다면 알려 드릴 수 있어요. 하지만 닥터 그랜마의 은신처를 제가 한 ... ...
우주망원경 총정리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어두워지는 정도도 미약하다. 케플러는 0.002%의 빛 변화까지도 감지할 수 있다. 지구가
태양
을 가렸을 때 어두워지는 정도도 알아낼 수 있는 수준이다.[➊ 허블우주망원경 20주년 기념으로 NASA와 ESA가 허블우주망원경으로 찍은 용골자리 성운의 모습을 공개했다.][➋ 케플러의 이미지 센서. 42개의 CCD ... ...
나노 블록으로 미래 에너지 업그레이드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것이 목표다. 이는 전기에너지 1W 생성 비용을 0.5달러 수준까지 낮추는 것이다.하지만
태양
전지나 연료전지의 시스템과 부품을 눈에 보이지 않는 나노 크기로 설계하는 것이 혹시나 너무 먼 미래의 이야기는 아닐까. 최 교수는 알록달록한 한 장의 사진을 보여주었다. 꽃잎 같기도 하고, 벽지 무늬 ... ...
이전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