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
썬
sun
천체
햇빛
햇볕
햇님
d라이브러리
"
태양
"(으)로 총 4,409건 검색되었습니다.
플레밍 왼손법칙이 만들어내는 무선 충전의 비밀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실험은 2000년대 초반 선진국에서 이뤄졌다. 우주에서
태양
광을 받고 무선으로 지상에서 전력을 받는 실험이다. 천문학적 비용 때문에 좌초됐다. 휴대전화의 경우 2007년 개발됐지만 당시 대세가 슬림화였기 때문에 배제됐다. 앞으로 어떻게 발전할까 2007년 미국 ... ...
Part2. 감마선폭발 관측 우리나라가 이끈다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우리나라가 이끈다감마선폭발(GRB)은 빅뱅 이후 우주에서 일어나는 가장 강력한 폭발로
태양
이 수십 억 년에 걸쳐 방출하는 에너지를 단지 수 초에서 수십 분 동안에 분출해 버리는 우주 최대의 섬광 현상이다. 감마선폭발은 초기우주 연구를 비롯해 암흑에너지, 암흑물질 규명 등 천체물리 분야의 ... ...
Fly High! 날아올라 볼까?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지역을 대류권이라고 합니다. 높은 산 정상에 왜 만년설이 있는지 알겠죠?그 위 성층권은
태양
에서 나오는 자외선을 흡수하는 오존층이 있어서 올라갈수록 온도가 높아집니다. 중간권은 올라갈수록 온도가 낮아집니다. 거의 영하 90°C까지 떨어져요. 그리고 열권은 온도가 다시 올라가죠. 열권을 ... ...
사람이 살 수 있는 ‘제2의 지구’를 찾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지구처럼 흙과 바위가 많을 뿐 아니라 엄청나게 큰 바다가 액체 상태로 있거든요. 또
태양
같은 별 주위를 일정한 궤도로 돌고 있고요. 한 바퀴를 도는 공전주기도 지구의 365일과 비슷한 290일이에요. 지구 지름의 2.4배에 달하지만, 온도는 생명체가 살기 적당한 섭씨 22도 정도랍니다.그 동안 지구와 ... ...
오로라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훔쳐본 느낌이다.오로라는 계절에 상관없다. 낮과 밤도 가리지 않는다. 단지 낮에는
태양
이 너무 밝아서 드러나지 않을 뿐이다. 매우 드물지만 낮에 희미하게 보일 정도로 매우 밝은 오로라가 생길 때도 있다. 그래도 오로라 관측에 겨울밤이 좋은 것은 오로라를 볼 수 있는 시간이 길어지기 ... ...
세상에서 가장 둥근 게 뭐지?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1×10-27cm 벗어난 정도다. 이는 전자를 지구 크기로 부풀려서는 감을 잡을 수 없다.
태양
계만큼 키워야 한다. 그래도 머리카락 한 올 두께만큼 울퉁불퉁할 정도로 둥글다. 인간이 걸어온 무모한 도전에 자연은 아주 작은 전자로 크게 한 방 날려버렸다.전자의 모양은 영국 런던 임페리얼대의 물리학 ... ...
2012년 내가 제일 잘나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스타 대결은 정말 치열하겠군요!나로 호의 성공적인 발사처럼 기대되는 일도 있지만,
태양
폭풍처럼 일어나지 않았으면 하는 일도 있습니다. 2012년을 장식할 화제의 과학 뉴스 주인공은 누가 될까요?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이 한 해 동안 잘 지켜 봐 주세요~ ... ...
햇볕에 널기만 해도 깨끗해지는 옷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묻은 때와 같은 유기물을 분해해 제거한다. 이산화티타늄만을 이용한 자가 세척 섬유는
태양
광 중 자외선을 통해서만 세척 효과가 있어서 효과가 충분하지 않았다. 반면 이번에 발표된 섬유는 섬유에 질소와 이산화티타늄 화합물 나노입자를 입히고 요오드화은 나노 입자를 다시 입혀 ... ...
2012 빛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꽃을 피우거나 열매를 맺는 식물은 조명 빛만으로는 제대로 자랄 수 없지요. 실제로
태양
이 내는 빛의 양은 20㎝ 거리에 있는 조명 빛의 양보다 일곱 배 이상 많답니다."이혜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농업공학부)식물은 빨강, 파랑 빛을 좋아한다?식물공장에서 식물에 쏘이는 빛의 색을 보면 ... ...
Part 4. 미래 100억 지구의 적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겹치는 소행성이 대표적이다. 천문학자들은 지구 궤도와 아주 가까이(0.05천문단위 이하.
태양
과 지구 사이 평균 거리의 5%로 약 748만km) 접근해 지나는 소행성의 목록을 따로 만들었다. 이들 중 비교적 큰(지름 150m 이상) 소행성은 충돌 시 지표면에 화산 폭발이나 지진해일 등을 일으킬 수 있다. 이들을 ... ...
이전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