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락
감퇴
쇠퇴
악화
감소
퇴보
타락
뉴스
"
저하
"(으)로 총 1,735건 검색되었습니다.
‘궁극의 디스플레이’ 단점, 기술로 극~복~
2014.12.22
국내 연구진이 ‘양자점(quantum dot)’ 발광소자의 효율에 영향을 주는 핵심 요인을 찾았다. 양자점은 지름이 1~20나노미터(nm)의 둥근 반도체 입자다. 양자점은 화학적 조성을 변화시키지 않고 크기를 조절하는 것만으로 빛의 파장을 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색 순도가 우수해 ‘궁극의 디스플 ... ...
처음부터 끝까지 한결 같은 메탄올 연료전지
2014.12.17
개발에 성공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연료전지의 낮은 성능과 장기구동 시 성능
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메탄올 연료전지의 상용화를 앞당길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 연구 성과는 ‘네이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 12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일산화탄소 피독 ... ...
[Health&Beauty]피곤하고 무기력… 겨울이 주는 스트레스, 식초로 활력있게!
동아일보
l
2014.12.17
흡수를 원활하게 해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 스트레스 저항력을 높여준다. 스트레스로
저하
된 위장의 소화 작용을 돕는 역할도 한다. 스트레스의 원인이 되는 요소를 해결하고 스트레스로 인한 부작용도 치유한다. 식초에는 비타민 B1, B2, C 등의 함량이 높고 아미노산이 풍부하다. 이 때문에 식초는 ... ...
그래핀에 올빼미 그렸더니…
2014.12.10
축전기보다 전자를 많이 충전할 뿐 아니라 9000번 이상 충·방전을 반복해도 성능이 거의
저하
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투어 교수는 “그래핀에 생긴 결함이 축전기 성능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준다는 사실은 굉장히 흥미로운 결과”라며 “패션 분야나 스마트워치 등에 웨어러블 기기에 ... ...
‘내 머릿속의 지우개’ 해답 찾았다
2014.11.25
새롭게 밝혀냈다. 실제로 C형 니만피크병을 앓는 생쥐의 신경세포에서 이 효소의 활성이
저하
돼 있었고, VEGF의 발현을 증가시킨 생쥐와 교배해 태어난 후손은 신경세포내 지질의 축적이 감소되고 신경 증상이 완화되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 C형 니만피크병 환자에게서 얻은 ... ...
당뇨병 조절 열쇠는 췌도 혈관
2014.11.19
웁살라대 연구팀과 공동으로 췌도 혈관 안에 생긴 염증과 혈관섬유화가 췌도의 기능
저하
와 관련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당뇨병에 걸린 쥐로 실험을 진행했다. 이들 중 생후 2개월 된 쥐(어린 쥐)의 췌도에 비해 생후 18개월이 된 쥐(늙은 쥐)의 췌도에서 혈관 염증을 알리는 ... ...
과학은 우울증의 안개를 걷어낼 수 있을까
2014.11.16
희망을 걸었지만 아직까지 신통한 결과는 나오지 않고 있다. 연구자들의 사기도 많이
저하
된 상태다. 연구비 투자도 부족할 뿐 아니라 다른 질병처럼 실험해 볼 동물 모델을 만들기도 어렵기 때문이다. 실험용 쥐에게 암세포를 이식하면 암에 걸리지만 쥐가 우울증에 걸리게 하는 신뢰할 만한 ... ...
홍상어 4발 쏘고 “합격”… 뒤늦게 결함 발견
동아일보
l
2014.11.05
추후에 결함이 발견되면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국산 정밀 유도무기의 신뢰도
저하
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백 의원은 “무기체계의 불량은 연습 상황에서 발견되면 추후 개선하면 되지만 실전 상황이라면 적에게 당할 수 있다”며 “정밀무기는 아니지만 지난달 7일 서해 북방한계선(NLL ... ...
비글 뼈, 5주 만에 재생 완료
2014.10.14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찾았다고 14일 밝혔다. 성장인자는 기능이
저하
되고 손상된 세포나 조직의 재생을 돕는 데 쓸 수 있는 단백질이지만, 세포 속에서 쉽게 분해 된다는 점 때문에 고농도로 투여하다 보니 부작용이 생기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진은 세포막을 잘 통과하는 ... ...
“급속 충·방전이 배터리 수명 단축 시키는 것 아냐”
2014.09.15
이온을 흡수하고 방출하기를 반복하는 과정에서 전극에 손상이 생기고 배터리 성능이
저하
된다고 설명했다. 또 연구진은 방전 속도를 다르게 하면서 동일한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배터리를 방전시키는 속도를 5배 이상 빠르게 했더니 이온을 흡수하는 나노입자의 수가 많아져 배터리 손상이 ... ...
이전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