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수
실책
과실
틀림
과오
착오
오류
뉴스
"
잘못
"(으)로 총 1,882건 검색되었습니다.
노년층 입원 질환 1위 백내장, 원인은 ‘노화’
동아닷컴
l
2015.03.18
제대로 분간하기 어렵고 유리문이 있는지 알지 못해 부딪히거나, 약 봉투의 글자를
잘못
읽어 엉뚱한 약을 먹기도 하는 등 일상생활에 지장이 많다. 의료계에 따르면 백내장이 생기는 가장 큰 원인은 노화인 것으로 전해졌다. 국민건강보험공단 2011년 자료에 따르면 백내장으로 수술한 환자 중 79% 는 ... ...
거대 망원경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3.13
상상하지 못할 정도로 작은 오차가 망원경의 성능을 떨어뜨릴 수 있다. 곡면의 각도가
잘못
되면 빛이 반사되는 각도도 달라지기 때문에, 빛이 제대로 모이지 못하고 상이 흐릿해진다. 여기서 반사경 크기의 한계가 생긴다. 거울이 너무 두꺼우면 유리가 ‘열팽창’을 일으키기 쉽다. 작은 ... ...
산책 땐 ‘아메리카노’보다 ‘라떼’를…
2015.02.25
들고 거리를 걸을 때는 걸음걸이에 신경 써야 한다. 자칫
잘못
하다간 뜨거운 커피가 컵 밖으로 넘치기 때문. 반면 우유거품이 잔뜩 든 라떼를 들고 있다면 이런 걱정을 할 필요가 없다. 미국 프린스턴대 연구팀은 액체 위에 얹은 거품이 액체의 움직임을 줄인다는 연구 결과를 ‘유체물리학회지 ... ...
빨간 약을 먹으면 양자세계가 사라질까?
2015.02.22
다른 말로 ‘관계가 비(非)국소적’이라고 한다. 아인슈타인은 이 때문에 양자역학이
잘못
됐다고 주장한다. 슈뢰딩거는 이런 괴상한 양자역학적 상호관계를 ‘얽힘’이라고 부르고, 양자역학에 내재된 성질이라 생각한다. 만약 양자역학의 주장과 달리 관측하기 전에 물리량이 미리 결정돼 ... ...
유튜브 인기 동영상 속 음주 장면 분석해보니
2015.02.22
동아일보DB 제공 3억3000만 명이 넘게 본 인기 유튜브 동영상들이 음주 행위를 긍정적으로 묘사해 과도한 알코올 섭취를 조장한다는 연구 결 ... 음주 행위를 연구한 첫 번째 결과”라며 “소셜미디어를 통해 퍼져나가는 음주와 관련된
잘못
된 인식을 바로잡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 ...
숙녀의 변비약은 어떻게 탄생했나
2015.02.22
변비약에 ‘보보스’라는 이름을 붙여 일반 의약품으로 팔기 시작했다. 음식과 염료의
잘못
된 만남이 설사약의 아이디어가 된 것이다. 우연과 행운이 만든 획기적인 발명품들을 이 책을 통해 만나보자. 봄봄스쿨 제공 ■ 물리선생님도 몰래 보는 물리책 (와타나베 요시테루 著, 봄봄스쿨 刊) ... ...
암은 여전히 은유로서의 질병인가
2015.02.16
좋았는데 왜 이렇게 격렬한 반발을 불러왔을까. 서신들을 읽어보니 주로 실험설계를
잘못
했다는 지적과 해석이 틀렸다는 언급이다. 첫 서신은 환경의 역할을 강조한 것으로 나라나 직업에 따라 발생률이 큰 차이가 나는 암이 많다는 것. 다음 서신은 믿을만한 줄기세포 분열 횟수 데이터가 없어 ... ...
[횡설수설/정성희]콜레스테롤의 사면
동아일보
l
2015.02.13
나오며 1993년 세계보건기구(WHO)가 안전을 공인했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사카린을
잘못
된 식품규제의 사례로 들 정도다. 감칠맛을 내는 합성조미료 MSG에 대한 일각의 불신은 여전하지만 학계에서는 이상이 없다고 한다. 그 대열에 콜레스테롤도 합류하게 되는 셈이다. ▷콜레스테롤이 많이 ... ...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었을 때 뭐가……될까?
과학동아
l
2015.02.03
지으면 보통 평생 따라가는 이름이 매우 중요한 건 맞습니다. 작명소에서 이름을 짓는 게
잘못
된 일도 아니고요. 하지만 저라면 저렇게 비과학적인 원리에 따라 지은 이름에 과도한 기대를 걸지는 않겠습니다. 과학적인 원리라면 보편적이어야 하지 않나요? 성명학이 과학이면 영어 이름이나 ... ...
컴퓨터, 포커왕 등극
과학동아
l
2015.02.03
승률 100%다. 보울링 교수는 “어떤 사람이 하루에 12시간씩 70년 동안 단 한 번도
잘못
된 결정을 하지 않고 포커를 친다고 해도 케페우스를 이길 수 없을 정도로 신뢰도가 높다”고 설명했다 ... ...
이전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