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수
실책
과실
틀림
과오
착오
오류
뉴스
"
잘못
"(으)로 총 1,88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2회]
2014.12.29
이 경우는 완벽한 다리가 다만 엉뚱한 자리에 위치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즉 공사 인부의
잘못
이 아니라 설계도에 문제가 있었다는 말이다. ‘안테나페디아(antennapedia)’, 즉 더듬이(antenna) 자리에 발(pedia)이 달렸다는 뜻으로 이름지어진 이 변이체처럼 멀쩡한 기관이 엉뚱한 자리에 나타나는 ... ...
‘21세기 흑사병’ 에볼라 1년… 7588명 사망, 1976년의 18배
동아일보
l
2014.12.26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에볼라 바이러스 샘플이 22일 안전성 등급이 낮은 연구실로
잘못
전달돼 이 연구실의 기술자 1명이 감염됐을 수 있다고 24일 밝혔다. CDC는 이 기술자를 21일간 정밀 관찰하기로 했다. 권재현 기자 confetti@donga.com [화제의 뉴스] - 100억대 자택 내놓은 강덕수 회장, 왜? - 폈다 ... ...
해장술은 정말 숙취해소 효과가 있을까
2014.12.15
특징을 띠는 메탄올을 제거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다). 특히 증류주의 경우 증류 조건을
잘못
맞추면 메탄올의 상대적인 농도가 더 높아질 수도 있다. 아무튼 술을 마시면 메탄올도 에탄올처럼 먼저 알데히드로 대사되는데 이렇게 나온 포름알데히드가 몸에 보통 해로운 게 아니다. 게다가 ... ...
뇌는 정말 신체적 고통과 정신적 고통을 구별하지 못할까?
2014.12.01
아픔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11월 17일자에는 2003년 논문의 데이터 해석이
잘못
됐다는 연구결과가 실렸다. 미국 콜로라도대 심리학/신경과학과 토어 웨이거 교수팀은 fMRI 데이터의 해상력을 높이고 새로운 분석기법을 도입해 신체적 고통과 사회적 배제 경험을 했을 때 뇌활동 패턴을 ... ...
[전문가들에게 물어봤습니다, 수능 생명과학II 8번 논란]
2014.11.17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제공 대학수학능력시험 정답 오류 논란이 올해도 불거졌다. 논란의 중심에는 과학탐구 생명과학Ⅱ의 8번 문제가 있다. 한국교육과 ... 간극에서 발생한 문제라고 본다. 그렇다고 출제 범위를 교과서 밖으로 넓힌다면
잘못
된 문제가 이 뿐만은 아닐 것이다. ... ...
2급 두뇌와 1급 수행능력
동아사이언스
l
2014.10.17
“6년차가 되었을 때, 드디어 저를 찾는 사람들이 생겼습니다. 그때 비로소 저의 선택이
잘못
이 아니었음을 알게 됐답니다. 마음에도 여유가 생겼고 일들이 수월해지기 시작하는 느낌이 들었죠.” 그녀는 투명인간의 시간을 이겨낸 비결을 이렇게 설명했다. “오로지 해야 하는 일인 업무에만 치여 ... ...
유럽 생명과학연구소 허브 ‘프랜시스 크릭 연구소’
2014.10.17
연구소 짐 스미스 국립의학연구소(NIMR) 소장은 “지금까지 영국의 과학 연구소들은
잘못
된 장소에 있었다”면서 “근처에 대학도 없고 교통도 불편한 도심 외곽에 지었다”고 말했다. 크릭 연구소는 2005년 국립의학연구소를 런던 도심으로 이전하는 논의가 진행되면서 설립 가능성이 처음 ... ...
[2014 국정감사] “국내 연구수준 선진 7개국에 비해 크게 뒤떨어진다”
2014.10.13
“연구개발의 질이 떨어지는 이유는 논문과 특허 등의 양적 성과를 중심으로 평가하는
잘못
된 시스템이 관행으로 자리 잡았기 때문”이라며 “실패를 용인하는 연구문화, 특허와 논문중심 평가제도 등을 개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 ...
인류의 끝도, 영화의 끝도 USB?
2014.10.05
장의 일당을 해치우는 모습일 것이다. 분수의 분자와 분모가 같으면 ‘무조건’ 1이라는
잘못
된 전제에서 출발해 1+1=3임을 증명하고 근거 없는 우월함에 도취돼 그 자체만을 자랑하는 영화를 기대한 관객은 많지 않았을 것이라 생각한다. 기자를 포함해 많은 관객들이 예고편 속 이 장면을 보고 ... ...
[과학기자의 문화산책] 영화 속 뒤뚱거리는 우주인의 걸음걸이에 대한 고찰
2014.09.21
이 대목에서 충격을 받았다. “내가 지금껏 본 우주 탐험 영화에 나온 장면들이 모두
잘못
된 건가?”라는 생각이 들어 하나씩 찾아보기 시작했다. 1969년 닐 암스트롱과 함께 달에 착륙한 에드윈 버즈 알더린이 달 표면 위에 서 있는 모습. 당시 우주복은 걷기용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었다. - NASA ... ...
이전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