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발"(으)로 총 11,877건 검색되었습니다.
- [DGIST] 더 빨리, 더 정확히, 더 많이 만능 AI 프로세서 개발과학동아 l2020년 04호
- ◇ 꽤어려워요 | 융복합 파트너@DGIST 수십 대의 컴퓨터 서버가 가득 늘어선 서버실 안. 서버에서는 상대방의 목소리가 안 들릴 정도의 굉음과 열이 뿜어져 나오고 있었다. 바깥 기온이 영하로 떨어진 2월, 대형 에어컨은 터보 모드로 가동 중이었지만 서버실 안은 후끈거렸다.“서버에서 수많은 데 ... ...
- 10대 토론, 미성년자 동물 해부실습 찬반과학동아 l2020년 04호
- ◇ 안어려워요 | 동물 해부실습 금지 미성년자의 동물 해부실습을 원칙적으로 금지하는 내용을 담은 동물보호법 시행규칙 개정안(제24조의2)이 3월 21일부터 시행됩니다. 이에 따라 19 ... 이용해 배양한 인공장기를 말한다. 심장, 위, 간, 뇌, 피부 등 다양한 오가노이드가 개발되고 있다 ... ...
- 똑똑! 실례합니다~ 화장실은 변신 중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요즘에는 로봇이 알아서 휴지도 갖다 주고 얼마나 편해졌는지 몰라. 화장실 변기가 개발된 지도 벌써 250년이 다 됐다던데…, 화장실은 그동안 뭐가 달라졌을까?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화장실은 변신중Part1. [화장실의 변신 ①] 화장실 문화가 바뀌고 있다!Part2. [화장실의 변신 ②] 물을 ... ...
- [화장실의 변신 ②] 물을 적게 쓰는 변기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제조업체 여명테크는 ‘가변 트랩’을 사용해 물은 적게 쓰지만 성능은 똑같은 변기를 개발했어요. 가변 트랩은 모양이 변하는 배관으로 대소변을 누는 보울부와 바로 이어져 있어요. 대기 상태일 땐 가변 트랩이 위를 향하고 있어요. 변기를 반으로 잘라 단면을 보면 보울부와 가변 트랩이 U자 ... ...
- [한페이지 뉴스] 평면렌즈 하나로 6m 거리까지 선명하게 찰칵!과학동아 l2020년 04호
- 들어오는 MDL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파장이 850nm인 빛으로 시험한 결과, 연구팀이 개발한 지름 1.8mm의 MDL은 20cm 떨어진 피사체부터 약 6m 거리의 피사체까지 다양한 물체의 초점을 동시에 맞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모든 가시광선 파장대에서 이와 같이 작동하도록 성능을 업그레이드할 ... ...
- 8첩 곤충 반상, 밥상 위로 올라온 곤충과학동아 l2020년 04호
- 늘릴 계획이다. 방 과장은 “식용 곤충 산업을 키우기 위해서는 새로운 곤충을 식용으로 개발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식용 곤충에 대한 대중의 거부감을 없애는 인식 개선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식용 곤충 선정 결과 1등은 ‘쌍별귀뚜라미’전 세계에는 곤충이 약 130만 종 서식하는 것으로 ... ...
- 스마트폰 100배 줌해도 화질 선명한 이유과학동아 l2020년 04호
- 브라이트 HMX’를 출시했다. 박 교수는 “0.7~0.8µm 선폭을 다루는 반도체 공정 기술로 개발한 1억 화소급 이미지 센서가 조만간 스마트폰에 보편적으로 쓰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제로 이번에 출시된 갤럭시 S20 울트라 모델의 광각렌즈에는 1억800만 화소 이미지 센서가 적용됐다. 줌 기능을 ... ...
- "내가 감염병 역학조사관이 된 이유"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일이 사람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역량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개발도상국에서 방역과 역학조사를 통해 전염병의 확산을 막을 수 있다면 그보다 더 큰 도움은 없을 테니 말이다.사실 우리나라도 숙련된 역학조사관이 많지는 않다. 코로나19로 전 세계가 들썩이는 지금 나는 ... ...
- [화장실의 변신 ④] 화장실이 돈이 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친구들, 모두 10꿀 받아가세요! ‘꿀’은 울산과학기술원(UNIST)이 배설물에 가치를 매겨 개발한 새로운 화폐예요. 배설물은 하수도를 지나 하수처리장에 도착하고, 병원균과 같은 오염 물질을 걸러낸 뒤 하천이나 바다로 방류돼요. 하지만 UNIST에서 배설물은 귀한 자원이에요. UNIST 캠퍼스의 생활형 ... ...
- 과학동아 At a Glance과학동아 l2020년 04호
- 배신, 영화 ‘다크 워터스’ (88p)☞ 바로가기 테플론은 1938년 미국의 화학회사 듀폰이 개발했습니다. 프라이팬 코팅에 사용되면서 활용범위가 무척 넓어졌죠. 그런데 듀폰의 테플론 공장이 있던 웨스트버지니아주 주민들이 암에 걸리고 기형아를 출산하는 등 이상 신호가 감지됩니다. 테플론을 ... ...
이전1651661671681691701711721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