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의"(으)로 총 813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쓴 풀이 곧 약이 되리니…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대형 영장류 조상의 삶에 깊숙이 뿌리내리고 있었을 것이다. 실제로 스페인 바르셀로나대의 인류학자 카렌 하디 박사팀이 스페인 북부에서 발견된 네안데르탈인의 치아를 2012년에 분석한 결과, 영양분이 거의 없는 쓴 식물을 섭취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아마 다른 고인류들도 비슷하게 약용 ... ...
- [Knowledge] 파충류를 위한 커튼콜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이 거북이 살던 지역에 건물과 농장이 들어서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 루이지애나주립대의 환경 전문 변호사 블레이크 허드슨에 따르면, 고퍼육지거북의 서식지가 줄면서 19세기 이후 개체수가 약 80% 감소했다. 이들의 땅굴에 의존하며 살아가는 동물 360여 종까지 큰 타격을 입은 것은 물론이다 ... ...
- [Tech & Fun] 우리 집 실험실 만들기 Lab Me Home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장비들은 물론 비쌌고,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자잘한 소모품과 유지비가 꽤 컸다. 수억 원 대의 스포츠카가 하늘에서 공짜로 떨어져도, 어마무시한 보험료와 기름값이 없어서 주차장에 세워 둬야 하는 사람의 심정을 알 것 같았다. 전화를 끊고 혼자서 끙끙 머리를 굴려봤지만 우리 집에 보통의 ... ...
- Part 1. 북극, 빙하기 동해 닮은 비밀의 얼음 바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알아낼 수 있다. 연구팀은 7월 16일 현재도 북극해 스발바르제도에서 노르웨이 트롬소대의 탐사선인 헬머 한센 호를 타고 피오르드 해저탐사 및 시추 작업을 하고 있다. 비밀 4. 북극해와 동해가 닮은 꼴?오늘날 기후변화를 겪고 있는 북극해의 해양환경 시스템은 놀랍게도, 1만8000년 전 마지막 ... ...
- [재미] 돌고래는 휘파람으로 말한다?수학동아 l2016년 07호
- 정확히 소리를 어떤 식으로 구별해 의사소통하는지 연구하고 있어요. 사람과 다른 영역대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것은 물론이고, 지금까지 밝혀지지 않은 소리의 특징을 사용하는지 관찰하고 있답니다.돌고래의 언어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를 우주를 연구하는 데 활용하기도 해요. 외계에서 ... ...
- [Knowledge] 티라노사우루스는 부채춤을 췄을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들어오거나 마음에 드는 암컷이 지나갈 때 열심히 팔굽혀펴기를 한다. 2015년 미국 알마대의 생물학자 데이비드 클라크 박사팀은 갈라파고스 제도에 사는 용암도마뱀들의 팔굽혀펴기 방식을 비교했다. 갈라파고스 제도에는 총 12종류의 용암도마뱀이 사는데, 연구 결과 팔굽혀펴기를 하는 개수, ... ...
- [Tech & Fun] 왜 어떤 간지럼은 고문이 될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최근 뇌 영상기술로 간지럼에 대해 알아보는 연구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독일 튀빙겐대의 한 연구팀은 2013년, 과연 유머와 간지럼이 뇌에서 똑같이 반응을 유도하는지 알아보고자 30명을 대상으로 자기공명영상(MRI) 촬영을 했습니다. 그 결과 간지럼과 유머에 의한 웃음에서 뇌의 같은 부위가 ... ...
- [Tech & Fun] Science Fiction_추억충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또다시 전파된다. 그 기억에서 기억의 주체를 골라낼 수 없었던 것도 이해가 된다. 심창대의 기억이 그렇게 쉽게 묻힐 수 있었던 것도 이것으로 설명이 된다.은성에 대한 사랑이 전염병처럼 동네에 퍼지고 있는 것이다. 은평구 안은성 팬클럽.누군가 기침을 했다. 지연 엄마였다. 환절기 감기일까? ... ...
- [Knowledge] 프놈펜에서 온 편지과학동아 l2016년 04호
- 프놈펜왕립대 학생들이 졸업 후 학교 선생님이 되는 길을 택합니다.하지만 프놈펜왕립대의 환경은 열악하기 그지없습니다. 제가 방문한 2월은 캄보디아에서도 비교적 시원한 계절이지만, 낮 최고 기온이 30℃를 웃돕니다. 학생들은 불도 제대로 들어오지 않는 오래된 강의실에서, 삐걱거리는 의자에 ... ...
- Part 3. 판타스틱 플라스마 월드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이용해서 새로운 나노 구조 물질을 만들어내는 기계들입니다. 저흰 주로 1만℃ 영역대의 열플라스마를 쓰는데요. 이걸로 어떤 물질이든 기체로 만들 수 있습니다. 기체가 된 원료를 적절히 잘 냉각시키면 원자가 하나씩 붙으면서 나노 물질이 스스로 조립됩니다. 냉각되는 속도를 조절하고 화학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