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의"(으)로 총 813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시의 매미 소리가 요란한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출현시기가 도시의 높은 온도와 관련이 있을 거라고 추측하고 있답니다.지구사랑탐사대의 매미탐사에서 얻은 결론은 아직 자료가 충분하지 않으므로 단정 짓기는 일러요. 하지만 서울 도심에서 말매미와 참매미의 출현이 다른 어느 지역보다 빠른 것은 분명해요. 그리고 말매미가 가장 빨리 ... ...
- 세계 최고의 재난대응로봇 휴보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4호
- 인식한다.두 대의 컴퓨터시각 처리 프로그램과 운동 제어 프로그램을 담당하는 두 대의 컴퓨터가 가슴에 들어 있다.만능 다리평소에는 걷다가 필요할 때는 바퀴로 달리는 휴보의 효율적인 시스템은 이번 대회의 우승 비결이 됐다.특.별.인.터.뷰휴보의 아버지, 오준호 교수님오준호(한국과학기술원 ... ...
- 지사탐, 탐사기록 5000개가 우르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3호
- 쨍쨍, 모래알은 반짝! 어느새 여름이 왔어요.지구사랑탐사대의 활동도 중반으로 접어들고 있지요. 수원청개구리 탐사는 아쉽게도 곧 끝을 맺지만, 여름부터 매미와 노래곤충 탐사가 시작될 거예요. 밀원식물과 귀화식물은 11월까지 주~욱 이어지고요. 우리 친구들이 얼마나 열심히 활동하고 있는지, ... ...
- [파충류의 속사정 7] 가을은 독사의 계절?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전혀 없었기 때문에 아무도 그의 의견을 받아들이지 않았다.2009년 미국 노스이스턴대의 엔푸 공 박사팀은 푸들만한 육식공룡 시노르니토사우루스에게서 독니와 독을 저장하는 독샘의 흔적을 발견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중국에서 발견된 이 작은 육식공룡에게는 기다란 윗이빨이 있었는데, 이 ... ...
- [핫이슈] 3D 프린터와 아두이노 보드로 화성에서 살아남기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클라크 박사와 만난 적이 있다. “스페이스워드 바운드 프로그램의 목표는 미래 세대의 우주탐험가를 양성하는 것”이라고 했다. 나도 이 취지에 공감했다. 인류가 지구라는 행성에 태어난 것이 얼마나 큰 특권인지, 우주가 우리가 상상하는 것보다 얼마나 더 크고 신비로운지를 이해하기란 쉽지 ... ...
- 인간과 바이러스 ‘공존’가능할까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현상이 관용(Tolerance)이다.미국 솔크생물학연구소의 자넬레 에리스 교수와 스탠퍼드대의 데이비드 슈나이더 교수는 식물 생태학에서 쓰이던 저항과 관용이란 개념을 동물의 감염병에 처음 적용했다. 이들이 2008년 ‘네이처 리뷰 이뮤놀로지’에 발표한 논문➋(goo.gl/BGgbNp)를 보면, 미생물이 증식할 ... ...
- “세상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학문, 컴퓨터공학”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분산 시스템을 연구했습니다. 분산 시스템은 한 대의 컴퓨터로 처리하기에 큰 일을 여러 대의 컴퓨터에 적절하게 나눠서 처리하는 시스템입니다. 예를 들어 엄청난 양의 정보를 분류하고 처리해야 하는 데이터베이스 분야나 검색엔진 등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처리해야 할 일이 수시로 배분되기 ... ...
- [Knowledge] 생일 축하해, 티라노사우루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이 앞다리가 퇴화 중인 흔적기관이었다고 여겼다.하지만 미국 스토니브룩 뉴욕주립대의 사라 버치 박사의 최근 연구에 따르면, 티라노사우루스는 이 작은 팔을 이용해 끌어안는 동작을 취했을 가능성이 높다. 배우자를 끌어안을 때 사용했다는 말이다. 만약 이 주장이 사실이라면 티라노사우루스는 ... ...
- 굿바이, 메신저호~!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그래서 2004년 8월 3일,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수성탐사선 메신저호를 발사했어요. 두 대의 카메라와 레이저 고도계, 자력계를 싣고 출발한 메신저호는 수성과 충돌하기 전까지 6년 동안 수성 주위를 4100바퀴 정도 돌며 28만 9000장의 사진을 찍어 지구로 보내왔지요. 그 덕분에 수성의 극 지방에 ... ...
- [Knowledge] 예술의 경지에 이른 변장술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다른 줄무늬로 변화해 버리고 말 것이라고 예측했다.2014년,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의 크리스 아칼리 박사팀은 산호뱀이 사라진 지난 50년 사이에 연안에 사는 스칼렛왕뱀에 변화가 일어났는지 조사하러 나섰다. 하지만 이들을 기다리는 것은 뜻밖의 결과였다. 스칼렛왕뱀이 멸종한 산호뱀과 ... ...
이전1415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