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어깨"(으)로 총 824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고요한 시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자신의 것이라고 상상했다. 그러자 어수선했던 마음이 고요해졌다. 머리에 눈이 쌓였고 어깨에도 내려앉았다. 희뿌연 하늘에서 눈송이가 음악처럼 흘러내렸다. ★ “졌네요.”조교의 말을 듣자 긴장이 풀렸다. 벽을 채운 ‘마음의 지도’도 같이 긴장이 풀어지는 것 같았다. 할 일을 다했다는 ... ...
- Part 1. 쇼핑몰에서 지진이 났다면?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움츠리지 않는다고 가정했어요. 사람들의 걷는 속도는 같고, 한 번에 한 발짝씩 자신의 어깨와 같은 보폭으로 걷는다고 정했어요.여러 사람이 지나다닐 수 있는 큰 길은 바둑판처럼 정사각형 격자로 이뤄져 있어 사람들이 한 번에 한 칸씩 이동하도록 설계했어요. 만약 앞 칸에 사람이 있어 전진할 수 ... ...
- PART 3. 건강한 네트워크에서 노벨상 씨앗 자란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냈고, 앞으로의 연구가 기대된다. 화학 분야의 중견 국가과학자는 노벨상 수상자와 어깨를 나란히 할 만큼 탄탄한 연구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었다. 그가 노벨상 후보로 꼽혔던 것은 우연이 아니었다. 이론물리학 분야의 원로 국가석학은 노벨상 수상자보다도 사회적 자본이 많았지만, 그에게 ... ...
- [새 책] "당신들도 그곳에서 행복하길 바랍니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등 걸출한 모험가를 수없이 배출한 서구와는 다르다.그래서 과학탐험가라는 직책을 어깨에 얹고 전세계 지질학적 명소들을 탐험한 뒤, 그 값진 경험을 TV프로그램과 다큐멘터리, 책 등을 통해 나누는 그가 반갑다. 이 책의 저자는 서른이 다 돼 과학의 매력에 빠져 호주 행 비행기에 오른 것을 ... ...
- [Tech & Fun] 무한한 손짓을 흉내 내기 위하여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좀더 우아한 방법은 1857년, 미국 뉴욕의 발명가 윌리엄 셀보가 만들었다. 반대편 어깨에 줄을 매달고 의수 달린 팔을 들어올리면 줄과 연결된 손가락이 펼쳐진다. 팔의 각도만 잘 조절하면 손을 펴고 쥘 수 있다. 특허도 받았는데 실제로 만들지는 않아서, 이 의수가 진짜로 만들어진 것은 191 ... ...
- [Tech & Fun] 하버드 비스 연구소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도 바로 이곳 주민입니다.하버드 비스 연구소의 가장 큰 장점은 내로라하는 연구자들과어깨를 나란히 연구할 수 있다는 점이다. 소프트 로봇의 성지하버드 비스 연구소는 지난 여름 가오리와 문어 소프트 로봇을 각각 ‘사이언스’와 ‘네이처’에 한 달 간격으로 발표하며 히트를 쳤습니다. ... ...
- [지식] 북한에서 ‘사귐’의 뜻은?!수학동아 l2016년 09호
- “북한 수학 용어는 만드는 데 상당히 공을 들인 것으로 보인다”며, “‘지수’를 ‘어깨수’라 하고, ‘급수’를 ‘합열’이라고 하는 것처럼 용어를 보고 바로 이해할 수 있어 뜻이 쉽게 와 닿는다”고 말했다.물론 북한의 수학 용어가 다 좋지는 않다. 한자어나 외래어를 너무 억지스럽게 ... ...
- [Tech & Fun] 박흥보 특급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보일 거라니까.”선배는 그렇게 말하면서 생글생글 웃었다. 선배는 웃으면서 내 어깨를 한 대 툭 치더니, 모든 것이 다 상쾌해졌다는 것처럼 기지개를 한 번 켜고 퇴근했다.혼자 남은 나는 선배의 웃음을 생각하면서 뒤늦게 따라 웃었다. 그때만 해도 나는 이 모든 것이 그냥 기왕에 망할 일만 남은 ... ...
- [Tech & Fun] 두근두근♡실습일지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유쾌함, 명랑함, 그리고….로봇의 눈에서 빛이 사라졌다. 윤정은 소리를 지르며 로봇의 어깨를 흔들었다.“로봇 씨, 정신차리세요, 로봇 씨!”연산 과부하로 인한 배터리 방전이었다. 결국 윤정은 로봇을 등에 떠메고 낑낑거리며 계단을 오르기 시작했다. 로봇은 생각한 것보다 훨씬 무거웠고, 늘 ... ...
- Part 2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 넘어야 할 장벽 5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의수가 개발됐다(Lancet, vol. 369, no. 9559, pp. 371-380, 2007). 연구팀은 팔이 절단된 장애인의 어깨에서 팔로 이어지던 신경 다발 일부를 그의 가슴근육에 이식했다. 여기에 센서를 붙이고 다양한 손가락 동작을 생각하게 하면서 표면 근전도 신호를 측정한 뒤, 신호 별로 전자 의수가 같은 동작을 하게끔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