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숄더
견부
책임
사명
어깨 부분
shoulder
뉴스
"
어깨
"(으)로 총 421건 검색되었습니다.
'뉴럴링크 칩' 뇌 이식 후 1년…"게임 실력 늘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3.24
이를 통해 컴퓨터를 작동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아르보 씨는 다이빙 사고로
어깨
아래 모든 신체가 마비된 지 8년 만이던 2024년 1월 뉴럴링크의 BCI 칩을 뇌에 이식받았다. 뉴럴링크의 첫 번째 뇌 임플란트 사례였다. 같은 해 3월 뉴럴링크는 아르보 씨가 휠체어에 앉아 손발은 그대로 둔 채 ... ...
12·3 계엄 그후 '명령에 따랐을 뿐?'…책임감·죄책감이 사라질 때
과학동아
l
2025.03.22
이로부터 만들어진 통찰과 실험의 결과는 지식으로 축적돼 21세기로 넘어왔다. 두 거인의
어깨
위에서 연구하고 있는 캐스퍼 교수에게 "21세기는 20세기보다 발전한 사회라고 생각하는지" 물었다. "그럴 것이라고 기대했지만 지난 몇 년 동안은 미칠 지경입니다. 갈등과 전쟁 대량 학살이 전 세계에서 ... ...
베일 벗는' 재사용 차세대발사체' 계획안…엔진방식에 연료까지 변경 검토
동아사이언스
l
2025.03.14
높아 예타 당시 정부는 대형 다단연소사이클 엔진을 개발해 2030년대에 우주 선진국과
어깨
를 나란히 하겠다는 목표를 내세웠다"면서 "이제 와서 국가전략기술 개발 계획을 변경하는 것은 기술적 후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2022년 예타 통과 당시 과기정통부에서 발표한 차세대발사체와 누리호 ... ...
4000년 전 해골에 새겨진 식인 흔적…'인간의 뿌리 깊은 마음'
과학동아
l
2025.03.02
팔꿈치에서
어깨
까지 이르는 팔의 뼈인 상완골에 남아 있는 절단 자국(빨간 원). 특히
어깨
뼈인 견갑골과 상완골이 연결되는 부분에 자국이 남아 당시 관절을 분리하고자 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Antiquity 제공 망자의 살과 뼈를 떼어내 무엇을 했을까. 연구팀의 결론은 '식인'이다. 연구팀은 학살돼 ... ...
머스크의 뉴럴링크, 개인의 생각도 조작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5.02.09
부위는 움직이지 못하는 사지마비에 이르렀다. 현재 아르보 씨는 고개를 끄덕이거나
어깨
를 으쓱하는 정도의 움직임이 가능하다. 아르보 씨는 8일(현지시간) 영국 일간지 가디언과의 인터뷰에서 “뇌 손상을 입지 않은 건 다행”이라며 “뇌는 내가 진정으로 통제할 수 있는 마지막 부분”이라고 ... ...
관절 통증 심해지는 겨울…혹시 류마티스 아닐까
동아사이언스
l
2025.01.31
물이 차고 붓는다. 염증이 관절을 침범하면 통증과 부종이 생긴다. 손가락, 손목,
어깨
, 팔꿈치, 발목, 무릎 등 다양한 부위에 발생하며 보통 양쪽에 대칭적으로 나타난다. 기상 후 관절이 뻣뻣해져 움직이기 힘든 아침경직(조조경직)도 생길 수 있다. 경직은 대부분 1시간 이상 지속되며 시간이 ... ...
겨울철 뇌졸중·심근경색 조기 증상은…"골든타임 내 치료 중요"
동아사이언스
l
2025.01.26
통증 또는 답답함이 조기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갑자기 숨이 많이 차거나 팔 또는
어깨
에 통증이나 불편함이 느껴질 수도 있다. 질병관리청의 ‘2024년 지역사회 건강조사’ 결과에 따르면 성인의 59.2%와 49.7%가 각각 뇌졸중과 심근경색증 조기 증상을 알고 있다. 성인 인구의 절반은 뇌졸중 ... ...
우리 아이
어깨
높이 다르면 척추측만증 의심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5.01.12
필라테스 등 척추와 몸의 정렬을 바로잡을 수 있는 코어운동도 좋다. 무거운 가방은 한쪽
어깨
로만 메지 않도록 하고 충분한 휴식과 균형 잡힌 식사를 통한 전반적인 건강을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다 ... ...
[킁킁과학] 군고구마에서 풍기는 달콤한 냄새의 정체
과학동아
l
2025.01.11
Ben Mills 제공 해가 바뀌었다. 찬 겨울에 위안이 되는 건 길거리 여기저기서 파는 간식들.
어깨
를 잔뜩 움츠리며 걷다가도 군고구마와 군밤, 붕어빵의 달달한 향을 맡으면 서서히 발걸음이 느려지고, 결국 김이 모락모락 나는 군고구마 한 봉지를 사고 만다. 잘 구워진 군고구마는 속이 갈색에 가깝게 ... ...
[의학바이오게시판] 김정수 서울대병원 교수, 세계통증학회 학술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4.12.31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한 우수 논문에 수여되는 상이다. 김 교수는 7월 만성 상지(팔과
어깨
) 통증 환자의 흉부 교감신경절 차단술에 대한 연구결과를 발표해 성과를 인정받았다. 김 교수는 "환자들의 통증을 줄이고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는 의사가 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