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저자"(으)로 총 824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각 분야 최고의 수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힙합의 정신, 사이퍼(0)에 담겼죠. 박하재홍 래퍼 교양서 저자 래퍼나 힙합 댄서들이 둥글게 서서 랩과 춤을 대결하는 문화를 ‘사이퍼(Cypher)’라고 해요. 숫자 0을 의미하는 아랍어 ‘시프르(sifr, صفر)’에서 비롯된 단어로, ‘암호’를 의미해요. 힙합 문화에서 ... ...
- [만화뉴스] 로봇개, 험한 길도 문제없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산업 현장이나 방역 현장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어요. 이번 연구가 발표된 논문의 제1저자인 이준호 연구원은 “앞으로 연구에서 로봇개가 험난한 지형에서 완전히 자율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계속 연구할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
- [기획] 금성에서 생명체 흔적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0호
- 고도 50km로 올라오면 압력과 온도가 지구와 비슷해지거든요. ‘코스모스’의 저자로 유명한 칼 세이건은 1960년대 금성 구름에 생명체가 있을 거라는 가설을 제안했고, 이후 여러 후속 가설 연구가 지속돼 왔지요. 독일의 베를린공과대학교 천문학센터에서 금성 대기를 연구하고 있는 이연주 ... ...
- [이달의 책] 양자 물질? 그깟 거 내가 설명해 주지과학동아 l2020년 12호
- 통틀어도 그런 책을 찾기가 매우 어렵다.이 가운데, 성균관대 물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인 저자가 위상물질 등을 다루는 응집물질물리학을 대중에게 설명하는 책을 펴냈다. ‘이걸 도대체 어떻게 설명하려는 거지’ 싶었는데, 쉽다. 아니, 쉽게 읽혔다. 특히 비유가 탁월하다. 과학자들이 가설을 ... ...
- 당신의 역사에 관한 최신 연구 총집합...정자가 난자를 만나기까지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벽을 이탈했으며, 반대편 벽에 부딪힐 때까지 직진했다. doi: 10.1073/pnas.1202934109 연구의 제1저자인 페트르 데니센코 워릭대 교수는 “정자들이 우사인 볼트처럼 최단 코스로 빠르게 헤엄치는 것이 아니라, 충돌을 거듭하고 벽을 따라 기어가는 모습을 처음 보았을 땐 웃음을 참을 수 없었다”며 “자궁 ... ...
- [이달의 수학자] 집단 지성의 힘을 믿는 수학자, 티모시 가워스수학동아 l2020년 11호
- 힘을 합친 결과였죠. 가워스 교수는 이 증명을 ‘D.H.J(Density HalesJewett) 폴리매스’라는 저자명을 붙여 논문으로 냈습니다. 이후 폴리매스 프로젝트는 수학 문제를 집단으로 해결하는 방법으로 자리잡았고, 수학동아와 미국 매사추세스공과대학교(MIT) 등 많은 곳에서 진행하고 있습니다.가워스 교수는 ... ...
- [나는 과학동아 키즈]플라스틱 먹는 박테리아 찾아 스타트업(start-up)!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따로 모아 녹여야만 재활용 플라스틱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논문 저자에게 연락해 자세한 정보도 얻었다. 문제를 해결할 기본적인 아이디어는 마련했지만 구체적으로 어떻게 풀어갈지 고민하던 중 같은 팀 친구가 과학동아의 기사 하나를 보여줬다. 2015년 11월호에 실린 ... ...
- [기획] 저자와 함께하는 북토크쇼 이의 있습니다! 재판의 오류수학동아 l2020년 11호
- 청해 듣겠습니다. 뜨거운 박수 부탁드립니다!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기획] 저자와 함께하는 북토크쇼, 이의 있습니다! 재판의 오류Part1. [기획] 사건1. 억울한 간호사 루시아 더베르크Part2. [기획] 사건2. 유력 증거 확인 기회 놓친 유학생 살인 사건Part3. [기획] 사건3. UC 버클리 성차별 ... ...
- [서평] 언어가 뇌를, 뇌가 행동을 개조한다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저자의 아들이 그런 이중 언어 사용자였기에 가능한 연구였다. 이 책에는 2018년 12월 저자가 사망할 때까지의 연구 결과물이 집대성돼 있다. 그를 통해 언어가 뇌를, 뇌가 행동을 어떻게 바꾸고 있는지 탐구해보자 ... ...
- 기발한 연료 3총사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직선 방향은 물론이고 S자형, 원형 등으로 방향을 바꾸며 움직일 수도 있다. 논문의 제1저자인 샘 크리애그만 미국 버몬트대 컴퓨터과학과 연구원은 “제노봇은 생체 조직으로 이뤄졌기 때문에 토양이나 해양 환경에서 미세플라스틱을 생분해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며 “안전성 등이 검증되면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