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저자"(으)로 총 82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동키즈] 치료에서 변호로 꿈은 변하는 것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부연한다. 의료·바이오 분야 변호사가 되기로 결심하고 그 길의 초입에 섰을 때 나는 저자의 예측이 이미 현실로 다가왔다고 느꼈다. 그의 말처럼 오늘날의 혁신기술은 대부분 의료와의 접목을 시도하고 있다. 특히 21세기 들어 바이오 기술이 급격히 발전하면서 세포치료제, 유전자치료제, ... ...
- '남자 뇌' '여자 뇌' 는 타고난다? 100년 연구결과는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이 쥐가 성숙했을 때 수컷이 하는 구애 행위를 하는 현상이 관측된 것이다. 이 연구의 저자들은 태아 고환에서 분비되는 테스토스테론이 뇌를 ‘조직화’한다고 추론했다. 이후 이를 뒷받침하는 많은 연구가 나왔다. 단 인간이 아닌 동물 대상의 연구인지라 실험 설계가 지나치게 단순화된 측면은 ... ...
- [이달의 책] 인공지능 시대, 십 대를 위한 미디어 수업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정보 과잉 시대, 주체성을 찾으려면? 유튜브 알고리즘은 말하지 않아도 내가 좋아할 콘텐츠만 쏙쏙 골라준다. 어느 새 보기 싫은 콘텐츠는 선택지에도 ... 교양서를 소개합니다. 여기에 소개된 책은 아직 국내에 번역되지 않은 경우가 많은 만큼 제목과 저자 등은 원서 그대로 표기합니다 ... ...
- 세계 최강 울트라블랙 생명체는?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날개 표면의 미세구조를 제거해 빛 반사율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조사했다. 논문의 제1저자인 알렉산더 데이비스 듀크대 생물학과 박사과정 연구원은 과학동아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여러 종 사이에서 나타나는 (날개 표면의) 구조적 차이를 세부적으로 분석하는 데 중점을 뒀다”고 설명했다 ... ...
- [이달의 책] Science Fact가 된 Science Fiction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쓴다. 희귀질환은 경제성을 이유로 연구개발이 많이 이뤄지지 않기 때문이다. 저자인 김준곤 고려대 화학과 교수는 난치병인 신경모세포종을 과학자의 관점에서 설명하고, 또 환자 보호자의 시선으로 살펴본다. ● Science Book 동아사이언스가 소개하는 해외의 ... ...
- [과학도서리뷰대회 수상자]책 리뷰의 달인을 찾았습니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그런데 사실 이런 의문을 뛰어넘을 만큼 자신감도 있었어요. NASA 로봇공학자 출신인 저자처럼 저도 항공우주 연구자가 되고 싶은 꿈이 있는데요. ‘궤도에 올라가기 어려운 이유’라는 내용이 상당히 인상 깊었고, 이를 바탕으로 달이 지구표면에 쌍곡선 궤도로 충돌하는 상황을 저만의 방식으로 ... ...
- [과학뉴스] 물방울 모양 별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쌍성계로, 서로를 약 1.6일 만에 공전할 만큼 매우 가까이에 있거든요. 논문의 공동 저자인 영국 센트럴 랭커셔대학교 돈 커츠 교수는 “이론적으로만 존재할 것으로 생각했던 별을 처음 발견한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
- [이달의 책] 나는 무엇으로 이뤄져 있을까...더 위험한 과학책 외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대서양을 횡단하기도 했다. 이제는 지구를 넘어 대기권 밖으로 우주선을 쏘아올린다. 저자는 인류의 유전자 속에 탐험하고자 하는 욕구가 내재돼 있다고 말하며, 1957년 옛 소련이 최초의 인공위성을 발사하면서 시작된 우주 탐사의 역사를 들여다본다. 인류의 모험담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 ... ...
- [한페이지 뉴스] 페로브스카이트로 만든 반구형 인공 눈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데 성공했다. 인공 눈은 100픽셀로 구성돼 현재로선 해상도가 매우 낮다. 논문의 제1저자인 구 레이레이 홍콩과기대 전자및컴퓨터공학과 박사는 “인공 눈에 부착한 나노와이어의 밀도를 실제 사람의 광수용체 밀도의 10배 이상으로 높일 수 있다”며 “인간의 눈보다 훨씬 나은 분해능을 가진 인공 ... ...
- [과학동아 키즈] 네이처, 사이언스 표지도 제 손에서 탄생했어요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어떻게 과학을 표현하는지 오랫동안 봐온 것이 지금 하는 일에 큰 동력을 준다. 논문 저자들의 대부분은 논문 투고 단계에서 그림 작업을 의뢰한다. 하지만 간혹 연구 과정부터 함께 하는 일도 생긴다. 한 예로 3년 전, 오명환 미국 로렌스버클리국립연구소(LBNL) 박사로부터 다결정소재 나노입자를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