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견
사색
사고
마음
느낌
아이디어
착상
스페셜
"
생각
"(으)로 총 472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연은 진공을 싫어하는가?
IBS
l
2015.03.26
내에서 일어나므로, 찰나의 시간 동안 에너지의 생성과 소멸이 끊임없이 반복된다고
생각
할 수 있다. 양자적 수준에서 에너지와 질량은 동일하니, 이는 입자가 생성되었다가 사라진다는 뜻이기도 하다. 초기 우주에서는 자연계의 여러 힘이 분리되지 않고 공간과 시간이 분화되지 않았다. 우주의 ... ...
살아 숨 쉬는 모든 것이 데이터가 되는 세상
KISTI
l
2015.03.24
시장 조사를 벌인다. 빅데이터는 굳이 소비자에게 설문지를 들이밀지 않아도 그 사람의
생각
을 엿볼 길을 연다. 감기약 만드는 회사가 광고를 만든다고 치자. 제약 기술이 발전해 약 효능은 다 비슷비슷하다. 결국 마케팅으로 승부를 걸어야 한다. 이 제약 회사는 빅데이터 분석을 의뢰한다. ... ...
쌍둥이에 관한 오해와 진실
KISTI
l
2015.03.10
DNA는 완전히 똑같다고
생각
했다. 그래서 태어나는 순간의 염기서열이 100% 일치한다고
생각
한 것이다. 그런데 최근 일란성 쌍둥이도 아주 미미하지만 태어나기 전부터 유전적인 차이를 갖고 태어난다는 연구 결과가 연이어 발표되고 있다. 유로핀스(EUROFINS, 유해물질 분석 시험 연구기관)의 ... ...
과거는 그리 멋지지 않다
KOITA
l
2015.03.06
그쯤은 되어야지’라고
생각
하며 멧돼지를 통째로 구워서 술과 함께 뜯어먹는 모습을
생각
하고 있다면, 조금 더 따져보라는 충고가 필요하겠다. 바이킹들은 가축들과 함께 생활했다. 바이킹뿐 아니라 북부 추운 지방의 여러 문화권에서는 가축과 함께 뒤엉켜서 체온을 유지하며 밤을 지새는 ... ...
멍 때려야 뇌가 쌩쌩해진다?!
KISTI
l
2015.03.03
능력을 주기 때문이다. 하지만 멍한 상태 자체가 반짝이는 아이디어를 만들어준다고
생각
해선 안 된다. 문제에 대한 배경 지식과 그를 해결하려는 진지한 고민이 있어야만 그 같은 달콤한 결실을 거둘 수 있기 때문이다. 아르키메데스의 경우에도 평소의 배경 지식과 문제를 해결하려는 절박함이 ... ...
DNA 복구 과정 밝혀 암과 노화 수수께끼 푼다
IBS
l
2015.02.26
연구자도 박사후연구원 경력이 있고 본인이 연구에만 매진하겠다는 사람으로 선발할
생각
"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공동연구시설(core-facility)을 전담할 전문 인력도 중요하다"며 "여러 사람이 함께 사용할 고가의 장비는 전문인이 다루고, 사용자를 교육해야 연구 효율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라고 ... ...
모든 것의 시작을 찾는 여정
IBS
l
2015.02.25
빛을 낼 수 없는 천체, 또는 성간물질처럼 스스로 전자기파를 만들어낼 수 없는 천체라고
생각
하는 사람들이 있었다. 이러한 천체들을 ‘마초(MACHO, MAssive Compact Halo Objects)라고 하는데, 새로운 가설을 만들지 않아도 되는 깔끔한 설명이지만 마초만으로는 암흑물질을 설명할 수 없다는 점이 입증됐다. ... ...
귀신의 과학
KISTI
l
2015.02.24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히며 “누군가 자신들을 쫓아오거나 해치려 한다고
생각
하는 피해망상 증세를 고칠 수 있는 길이 이번 실험을 통해 열리기를 바란다.”라고 기대했다. 이상으로 스위스의 과학자들이 개발한 인공적인 유령을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러나 이번 연구 ... ...
즐기다 보니 우수연구원 됐다
IBS
l
2015.02.24
좋은 연구를 지속해서 하는 것과 많은 논문을 만들어 내는 작업은 조금 다른 문제라고
생각
한다. "성과를 내기 위해 좀 더 완성할 수 있는 연구를 급하게 정리해서 논문을 작성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간혹 이러한 부분이 IBS의 원래 목적과 어긋나는 부분은 아니냐는 의문을 가질 때도 있죠. 하지만 ... ...
[생활 속의 기술] 로봇에게 윤리를 가르칠 수 있을까
KOITA
l
2015.02.16
거부감을 느끼기도 한다. 로봇에게 윤리를 가르친다는 목표 자체가 인간적이지 않다고
생각
하거나, 첨단 로봇기술을 규제하려는 수단으로 보는 것이다. 그러나 로봇윤리 개념을 최초로 세운 이탈리아 국립로봇연구원 장마르코 베루지오 교수는 이런 시각이 오해라고 말한다. 그는 “로봇윤리는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