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비교"(으)로 총 6,84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친구가 사라졌다면?수학동아 l2016년 11호
- 돼요. 그러면 구글이 정부와 구호단체에서 가지고 있는 실종자 혹은 생존자 정보와 비교해 생사 여부를 알려줘요.여기에도 정보가 없다면, 그 사람과 관련된 정보를 모아 최근 그 사람이 어디에 있었는지, 누구와 이야기를 나눴는지, 어떤 글을 썼는지, 어떤 글에 언급됐는지 등을 찾아주지요. 사람을 ... ...
- [과학뉴스] 고통을 모르는 벌거숭이 두더지쥐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벌거숭이 두더지쥐의 TrkA 수용체를 아프리카두더지쥐 등 다른 포유류 26종의 수용체와 비교했다.그 결과 벌거숭이 두더지쥐의 TrkA 수용체에서 1~3개의 아미노산 구조 변화가 발견됐다. 연구를 주도한 개리 르윈 교수는 “아주 미묘한 변화가 중요한 특징을 만들어냈다”며 “사막의 땅속에서 ... ...
- Part 2. 우주방사선을 극복하라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수 있는지 나와있다(doi: 10.1117/12.2045396). 논문에 따르면 30cm 두께 차폐막을 기준으로 비교했을 때 물이나 붕화질소보다는 폴리에틸렌이 효과가 좋았다. 단, 붕화질소에 수소를 5%만 함유해도 폴리에틸렌보다 뛰어난 차폐 효과를 보였다. 더구나 이 물질은 구부리기 쉬운 소재라 우주복에도 활용할 수 ... ...
- [Tech & Fun] 외로우니까 사람이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카치오포 교수팀은 외로움을 잘 느끼는 그룹과 잘 느끼지 않는 그룹의 뇌 활성도를 비교하는 연구를 했다. 두 그룹 모두 아름다운 꽃을 봤을 때 변연계 중 복측선조체가 활성화됐다. 복측선조체는 기쁨이나 즐거움, 성과에 대한 보람을 느끼는 부위다. 그런데 다른 사람이 입을 활짝 벌리고 행복하게 ... ...
- [News & Issue] 꽃보다 단풍이 예측하기 어려운 이유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개화 시기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런 주기를 관찰한 데이터가 쌓이면, 기온 자료만으로도 비교적 정확한 예측이 가능하다(과학동아 2015년 4월호 참조). 웨더아이는 개화 예보를 할 때 회귀 모델뿐만 아니라 기상청에서 개발한 생물계절모형도 함께 이용해 정확성을 높인다.하지만 단풍은 ... ...
- PART 4. 커피와 자유, 그리고 협업과학동아 l2016년 10호
- 1인당 연구비가 1억1813만 원 정도다(총 623명).이 정도는 한국의 정부출연연구기관 예산과 비교했을 때 결코 많은 금액이 아니다. 생명과학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인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인력규모는 비슷하지만(632명) 1인당 평균 연구비는 두 배가 넘는다(2억5235만 원).하지만 LMB 연구자에게는 ... ...
- [과학뉴스] 할아버지 숲이 지구를 구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만 개의 기온 변화 자료가 쌓였지요.연구팀이 기온 변화 자료를 분석해 숲의 지형과 함께 비교하자, 오래된 숲의 기온이 나중에 생긴 숲에 비해 2.5℃ 정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어요. 오래된 숲의 큰 나무들이 태양열을 더 잘 막기 때문이지요. 숲에 사는 동물들에게 이정도의 기온 차이는 생존에 ... ...
- PART 2. 우주배경복사가 들려준 이야기수학동아 l2016년 10호
- 반대편에서 만났을 때도 여전히 속도가 같기는 거의 불가능하다.그런데 지구의 바다와는 비교도 안 될 정도로 드넓은 우주에서 각자 전혀 다른 방향에서 온 우주배경복사의 온도가 똑같다는 건 놀랍다. 서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없는데 어떻게 같은 온도로 우리에게 날아왔을까?이는 빅뱅 이론을 ... ...
- [과학뉴스] 개도 ‘립서비스’ 구분한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개 13마리에게 각각 내용 또는 억양을 다르게 말하고, 그 때마다 뇌에 나타나는 차이를 비교했다.실험 결과, 뇌에서 활성화되는 부위가 사람이 단어나 억양을 인지할 때와 비슷했다. 말의 내용은 좌뇌가, 말투는 우뇌가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칭찬을 서로 다른 억양으로 말했을 때 뇌가 ... ...
- [News & Issue] 뇌 주름의 물리학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정해져 있어야 한다. 그러나 아직까지 증거를 찾지 못했다.최근에는 피질이 백질보다 비교적 빨리 자라 주름이 생긴다는 주장도 나왔다. 핀란드 이위베스퀼레대 물리나노과학센터 투오마스 탈리넨 박사와 정준영 미국 하버드대 비스연구소 박사, 프랑스 티몬대학병원 나딘 지라르 신경방사선학과장 ... ...
이전1671681691701711721731741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