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비교"(으)로 총 6,845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수학 잘하는 방법이 궁금한 수학자수학동아 l2016년 10호
- 타오 교수를 알아봤어요.”테렌스 타오는 역시 대단한 수학자였다. 현대 수학은 과거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전문화돼 있어 한두 분야가 아니고 여러 분야에 걸쳐 연구하며 성과를 내기 쉽지 않다. 그런데 타오 교수는 여러 분야에 걸쳐 뛰어난 성과를 냈다. 권 교수는 그런 수학자는 100년 전의 ... ...
- [News & Issue] 홍채 고유한 내 안의 우주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얻어낸다. 이렇게 얻어진 1000비트 가량의 정보는 시작 부분과 끝 부분이 분명하기 때문에 비교대조 하기가 쉽다. 실제로 미국, 영국, 캐나다 등에서 공항출입국 심사 때 홍채인식을 활용하고 있다.홍채인식은 위조 방어에도 강하다. 얼굴 인식은 본인의 협조가 없어도 위조를 할 수 있지만 홍채는 ... ...
- PART 3. 건강한 네트워크에서 노벨상 씨앗 자란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더 다양한 사람들과 함께 연구했다는 뜻이다. 하지만 네트워크에 대한 영향력을 비교해 보면 주목할 만한 차이가 나타난다. 앙글레르 교수의 네트워크 안에서 핵심 공저자들의 영향력, 즉 가중 페이지랭크는 20.2%였다. C 교수의 핵심 공저자들(10.2%)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반면 앙글레르 교수와 C ... ...
- [수학뉴스] 미술품 가짜 논란, 수학으로 밝힌다수학동아 l2016년 09호
- 할 때 얼마나 머뭇거렸는지를 수치로 표현하고, 작가의 원작 그림과 머뭇거리는 정도를 비교해 수치가 높으면 위작이라고 판단합니다. 아무리 똑같이 베껴 그려도 물감층마다 붓칠의 세기나 강도까지 같게 할 수는 없기 때문입니다.과연 수학으로 미술품의 진위를 밝힐 수 있을지 수사 결과가 ... ...
- PART 1. 장내미생물은 어디서 왔을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침팬지47마리, 보노보 24마리, 고릴라 24마리로부터 똥 시료를 얻어 장내미생물 유전자를 비교 분석했다(‘사이언스’ 7월 22일자). 미생물의 유전자를 분석하는 이유는 유전자가 진화의 역사를 담고 있는 ‘시계’이기 때문이다. 모든 유전자는 시간이 지나면서 돌연변이가 생기고, 그 DNA에 진화의 ... ...
- [Knowledge] 협력자 끼리끼리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유전자 좌위(대립유전자가 들어가는 자리)를 놓고 개체군의 평균적인 유전적 유사성과 비교했을 때 두 개체가 얼마나 더 유사한지 나타내는 통계 척도다. 두 개체가 얼마나 비슷한지 그냥 따지는 게 아니다. ‘개체군 평균에 견주어’ 두 개체가 얼마나 ‘더’ 비슷한지 따진다는 게 중요하다. 또, ... ...
- [Tech & Fun] ‘헬조선’의 불행은 어디서 왔을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격차 등 개인의 행복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른 지표를 제외하고오직 두 문화의 차이만을 비교한 것이다.63개국 40만 명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국가의 소득 수준보다 개인주의와 집단주의 같은 문화적 특징이 행복 지수와 연관이 높다는 연구도 있다(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2011, Vol. ...
- [지식] 재미난 수학이 삶을 바꾸다수학동아 l2016년 09호
- 보일 수도 있거든요.” 소중한 두 역할, 수학자와 엄마남학생과 여학생의 수학 실력을 비교하는 기사를 많이 접한 기자는 수학을 잘하고 싶은 여학생을 위한 조언을 구했다. 박 교수는 “학생들을 지도해 본 결과 여학생이 특별히 부족하진 않다”며, 수학자의 길을 걸으려는 여성들의 고충에 대해 ... ...
- [News & Issue] 자동차 사고에도 끄떡없는 인간이 있다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오른쪽은 각종 사고에서 인체가 받는 충격량과 아파트에서 떨어질 때의 충격량을 비교한 자료다.(아파트 한 층의 높이는 3m로 가정했으며, 60kg의 사람이 낙하할 때를 기준으로 산출했다 ... ...
- PART 2. 제2의 게놈 효과 과연 어디까지일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수백만 개 존재한다.장내미생물이 사람의 면역계에 영향을 주는 과정도 최근에 비교적 구체적으로 밝혀졌다. 알레르기나 자가면역질환은 면역세포의 일종인 조절T세포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해 발생하는데, 면역계가 조절T세포를 제대로 만들게 하는 데 장내미생물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 ...
이전1691701711721731741751761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