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공
공유
연관
유사
유사성
d라이브러리
"
공통
"(으)로 총 2,124건 검색되었습니다.
역대 대통령 과학성적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것이 눈에 띄는 차이점이다. 두 대통령의 과학기술관을 설명할 때 결코 빠뜨릴 수 없는
공통
점으로는 무엇보다 과학기술에 꾸준한 관심을 갖고 솔선수범해 약속하고 약속을 지켰으며 그 결과를 끝까지 챙기는 추진력을 들 수 있다.노태우 대통령 대에 와서 경제와 과학기술의 조율은 깨졌다. 이때 ... ...
(2) 면역 호르몬 사이토킨, 암퇴치의 첨병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순수한 재조합단백질들도 임상연구에 이용되게 되었다. 이들 사이토킨은 (표1)과 같이
공통
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여러 사이토킨의 생산세포 및 암세포 성장조절에서의 역할에 대해서는 (그림2)와 (그림3)에 요약돼 있다. 암치료에 사이토킨을 이용하려는 주된 이유는 이들이 체내의 ... ...
컴퓨터 시대의 반항아 '사이버 펑크'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학문'이라는 새로운 뜻을 부여하였다. 사이버네틱스에 의하여 인간과 기계를 하나의
공통
이론으로 설명하게 됨에 따라 인간의 뇌 기능을 인공의 정보처리 장치로 본뜨는 연구가 시작되었다. 인공두뇌라 불리는 컴퓨터의 개발이 본격화된 것이다.한편 펑크는 '반체제적인 태도'의 뜻을 갖고 있으며 ... ...
숫자 0이 인류문명 바꿨다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 없는 것이 있다?우리는 여태까지 여러 나라의 숫자에 대해 알아 보았다. 이들에게서의
공통
점은 첫째 0이 없다는 것이다. 둘째는 수가 많아질수록 새로운 숫자가 만들어졌다는 사실이다. 이 사실을 두고 고대 인도의 그리슈너는 "수는 무한히 있는데 아무리 숫자를 발명해도 한이 없다. 그래서 ... ...
'컴퓨터 전국 입체지도, 2001년 완성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수집과 관리체계는 정부 및 민간부문에서 독자적으로 시행되고 있어 중복투자나
공통
적인 분류체계 부족으로 자료공유조차 힘들게 돼 있다. 이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수치지도(디지털 맵)의 우선제작이 선결과제다.이같은 환경변화에 따라 국립지리원은 컴퓨터국토지도를 이른바 ... ...
PART.2 컴퓨터 음악 즐기려면··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16비트 카드를 대대적으로 광고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16비트 사운드 카드들은
공통
적으로 기존 사운드 카드와는 비교가 안되는 고음질을 실현했음을 알리며 'CD 음질의…'하는 문구를 내세우고 있다.이러한 광고가 나가면 소비자는 다음과 같은 대략 4가지의 의문을 가질 것이다.16비트 사운드 ... ...
인류 기원, 진화의 파노라마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불구하고 사람은 직립·보행하는 동물이며 또 문화를 지니는 동물이라는 점에서
공통
적이다. 이는 곧 동물과 구별되는 특징이기도 하다. 인류의 머나먼 조상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의 진화과정과 한민족의 기원이 여기에 파노라마처럼 펼쳐진다 ... ...
4. 한국인의 뿌리, 아프리카 현생 인류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즉 현생인류(Homo sapiens sapiens)는 어떠한 특징을 갖고 있는가? 현재 살아 있는 모든 인류의
공통
적인 두개골의 특징은 두뇌 용적이 적어도 1천4백㏄ 이상 된다는 점이다. 또 이마가 곧추서고 눈두덩이가 전혀 튀어나오지 않으며 머리의 종단면이 오각형에 가깝고 턱과 이빨이 작아지며 턱끝이 튀어나와 ... ...
화학 - 고압기체, 왜 위험한가?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살펴보면 액화하기 쉬운 액체들은 구조가 단순하며 분자의 상대적인 질량이 작다는
공통
점을 찾을 수 있다(그림 1). 보일러를 자주 청소해야 하는 이유고압의 기체 폭발 사고가 일어나면 대형 참사로 이어지는 경우가 흔하다. 고압의 기체가 위험한 까닭은 대략 두 가지다. 첫번째는 고압의 기체를 ... ...
미래를 여는 복잡성 과학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자리잡았다.살아있는 세포, 사람의 뇌 그리고 증권거래소. 이들은 과학적 주제로서
공통
점이 없는 듯하지만 복잡성 과학(science of complexity)의 이론가들은 적어도 두가지 특성을 공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첫째, 이들은 단순한 구성요소가 수많은 방식으로 상호작용하고 있다는 의미에서 복잡계 ... ...
이전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