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새로운"(으)로 총 10,542건 검색되었습니다.
- [식물 속 동물 찾기] 줄기가 뱀처럼 자라는 '뱀딸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줄기의 끝 혹은 잎과 줄기 사이에 생기는 눈에서 뿌리를 내리거나, 잎을 늘리는 방식으로 새로운 개체를 만들며 번식해요. 뱀딸기에 독이 있다는 말이 떠돌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에요. 오히려 한의학에서는 염증을 없애고 해독하기 위해 뱀딸기의 풀을 쓰기도 하지요. 뱀딸기의 열매도 먹을 수 ... ...
- 150만 년 전 지구의 기록 빙하코어에서 찾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눈이 녹지 않고 고스란히 쌓여왔기 때문이다. 눈이 쌓이면 쌓일수록 이전에 내렸던 눈은 새로운 눈에 짓눌렸고, 일정 압력을 넘으면 얼음으로 바뀌었다. 이때 눈과 눈 사이에 있던 공기도 그대로 얼음 속에 갇힌다. 그 얼음을 녹여 분석하면 그 당시 대기 조성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지각 위에 ... ...
- 탄소를 품어 지구를 지키다, 해안의 보물, 갯벌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조사됐다. 우리나라를 포함해 전 세계는 온실가스, 특히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줄일 새로운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그 가운데 자연적으로 이산화탄소를 땅에 묻을 수 있는 ‘블루카본’이 최근 주목받고 있다. 갯벌의 탄소 흡수 속도 열대우림의 50배지표면 아래에 묻혀 있는 탄소는 각각 저장된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사지마비 환자 벌떡 일으킬 뇌-컴퓨터 접속기술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세상과 소통합니다. 영화 ‘아바타’의 아바타도 생각(의식)만으로 원격 조종이 가능한 새로운 생명체입니다. 최근 뇌 신호 처리 기술은 점점 발전하고 있습니다. 특허청에 따르면 2001~2012년 뇌 신호 처리 기술 관련 특허 출원은 연평균 8.5건이었지만, 2013~2018년에는 연평균 68.8건으로 조사됐습니다. ... ...
- [미국유학일기] 3주 겨울방학은 휴식, 석 달 여름방학은 연구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여름방학이면 늘 연구에 매진했지만, 틈틈이 다른 사람들과 여가를 보내면서 매년 새로운 것들을 배우고 느꼈다. 올해 여름방학이 학부 생활의 마지막 여름방학이었다는 사실이 아쉽고, 또 곧 졸업이라는 사실도 믿기지 않는다. 그래도 돌아보면 방학마다 매번 알차게 잘 보낸 것 같아 뿌듯하다. ... ...
- 이건 영화가 아니라 현실... 스마트시티가 해킹 된다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통신에도 취약점이 있고, CAN과 이더넷 두 통신 방식을 결합했을 때 예상치 못한 또 다른 새로운 보안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의료기기┃수m 거리에서 신호 감지돼올해 3월 미국의 거대 의료기기 회사인 메드트로닉은 자사의 인공 심장박동기가 해킹의 위험이 있음을 공개했다. 인공 ... ...
- 아폴로부터 아르테미스까지, 우주복의 진화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수 있게 만들었다. 버진 갤럭틱 vs. 스페이스X, 패션 우주복 경쟁민간 우주기업도 새로운 우주복을 내놓고 있다. 자사의 우주 관광상품을 이용할 여행객들이 입을 용도다. 리처드 브랜슨 영국 버진그룹 회장이 설립한 버진 갤럭틱은 2020년 ‘스페이스십투’로 지상 110km까지 올라갔다가 지구로 ... ...
- 신비한 양자컴퓨터, 영~롱한 샹들리에의 정체는?수학동아 l2019년 12호
- 같은 국가 기관, 대기업이 쓰는 ‘슈퍼컴퓨터’보다 계산을 훨씬 빠르게 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컴퓨터지. 1982년 미국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이 물리 현상을 시뮬레이션하려면 많은 계산을 순식간에 할 수 있는 컴퓨터가 필요하다며 ‘양자컴퓨터’의 작동 방식을 처음 언급했어.파인만 이후 ... ...
- 양자컴퓨터 시대에 대비하는 수학!수학동아 l2019년 12호
- 그거 알아? 컴퓨터공학자나 물리학자만큼 수학자도 양자컴퓨터 시대를 대비하고 있다는 것! 어떤 연구를 하고 있는지 소개해줄게. 양자컴퓨터의 압 ... 어쩌면 국내 연구팀이 만든 암호가 선정될 수도 있어. 양자컴퓨터가 개발되기 전에 미리 새로운 암호 체계를 컴퓨터에 넣어둬야겠지 ... ...
- [융복합파트너@DGIST]이차전지 성능 결정할 ‘꿈의 전해질’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12호
- 필립스 독일 통합생물다양성연구센터 연구원은 “열대지방은 구멍을 수km 팔 때마다 새로운 지렁이를 발견하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이번 지렁이 지도에는 국내 지렁이 분포도 빠져 있다. 최 박사는 “지렁이는 토지를 비옥하게 할 뿐 아니라 무엇이든 먹어 치워 퇴비로 만들기 때문에 쓰레기 처리 ... ...
이전1681691701711721731741751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