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새로운"(으)로 총 10,542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타샘 수학꿀팁] 수학을 맛있게 요리하는 비법수학동아 l2019년 10호
- 중요하지만 그만큼 공부하기 힘든 개념을 쉽고 재밌게 익힐 방법을 찾기 위해 오늘도 새로운 다른 수학 요리법을 찾고 있다. 다음은 김 교사가 또 어떤 수학 요리법을 만들지 기대된다 ... ...
- [SW 진로체험] 수학은 난관을 깨뜨리는 망치수학동아 l2019년 10호
- 수학이 필요하지 않을 거예요. 수학을 모르면 자기가 원하는 기능이나 기존에 없는 새로운 기능을 만들 수 없거든요. 컴퓨터는 덧셈밖에 할 수 없는데, 영국 수학자 앨런 튜링이 덧셈 원리를 이용해 뺄셈과 곱셈, 나눗셈도 할 수 있도록 만들었잖아요? 로봇 역시 성능을 크게 높이려면 수학이 ... ...
- 산호와 맹그로브의 천국 태평양해양과학기지에서 꿈을 찾다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열대해양캠프’라는 이름으로 고등학생 8명과 대학원생 1명이 참여했다. 평생 잊지 못할 새로운 경험과 막연했던 꿈에 대한 확신을 얻은 그들의 8박 9일 일정에 동행했다. ▲ PDF 파일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지인에게 ‘보스’라 불린 해양과학자이번 캠프를 이끈 박흥식 KIOST ... ...
- [JOB터뷰] 단서를 찾는 사람에서 만드는 사람으로 방탈출 게임 제작자 김광수 팀장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아직도 기억에 남는 꽃길 테마는 2년 전쯤 했던 해리포터 불의 잔 테마예요. 당시는 새로운 문제 유형으로 꽃길 중의 꽃길이었지요. 하지만 이후 다른 테마에서도 비슷한 유형의 문제가 나오더라고요. 방탈출 게임 카페에서는 새로웠던 테마도 금세 익숙한 것으로 변한답니다. Q 성공한 덕후를 ... ...
- [미국유학일기] 미국에서도 가장 사악한 물가 음료비를 줄이자과학동아 l2019년 10호
- 그렇지만 주말에 선배 결혼식에 참석하느라 네일아트와 축의금이라는 평소에 없던 새로운 지출이 생겼다.그 외에는 평소의 소비 습관과 비슷했다. 점심은 주로 연구실 근처에서 사 먹는데, 그나마 학교 밖 식당보다는 저렴하다. 10~12달러(약 1만2000~1만4300원)면 점심을 해결할 수 있다. 간식으로는 ... ...
- [따끈따끈한 수학] 수가 오르락내리락, 롤러코스터 수열수학동아 l2019년 10호
- 여기서는 오르락내리락이 최대한 많이 반복하는 것을 다룹니다. 수학 연구를 하다 보면 새로운 개념을 만들고 이름을 붙여야 할 때가 많습니다. 흥미로운 개념을 만든 후 이름을 붙일 때 재미있으면서 어울리는 이름을 찾아서 붙이는 작업이 참 어렵습니다. 영어 사전을 뒤지면서 어울리는 단어를 ... ...
- [수학동아 10주년 특별인터뷰] 수학동아 독자, 폴리매스로 비상하다수학동아 l2019년 10호
- 자기 풀이를 쉽게 설명하며 제가 몰랐던 수학 분야의 이론과 아이디어를 알려줬는데, 꼭 새로운 길로 향하는 문이 열린 것 같았거든요. 부모님께서 먼 멘토링 장소까지 보내는 걸 주저하셨는데, 그때 참가하지 못했다면 엄청 후회할 뻔했어요. - 송현욱 지역 영재교육원에 다니던 송현욱 학생은 ... ...
- 지구사랑탐사대 7기 발대식! 2500명이 생태계 지키러 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중에 뽑힌 어과동 기자단도 참가해 발대식의 이모저모를 취재했답니다. 개미, 선충…. 새로운 얼굴이 나타났다! 탐사대원 수가 늘어난 만큼 탐사 대상 생물종도 다양해졌어요. 원래 6종이었던 정규탐사대상 생 물종에서 연구가 완료된 수원청개구리가 빠지고 공생미생물과 개미, 특산식물 등이 ... ...
- [과학뉴스] 비만 치료 위해 뇌 시상하부 정조준과학동아 l2019년 10호
- DGIST) 뇌인지과학전공 교수팀이 뇌 시상하부 속에서 비만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후보 표적을 찾아내 국제학술지 ‘오토파지’ 8월 30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연구팀이 찾아낸 표적은 뇌실과 시상하부를 연결하는 띠뇌실막세포(tanycyte)다. 연구팀은 고지방 먹이를 다량 섭취한 비만 쥐의 ... ...
-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 구축 10주년 4개의 눈으로 우주를 보다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이뤄졌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전파관측망은 순수 천문학 연구뿐만 아니라 새로운 기술 개발도 필요한 분야”라며 “두 분야 모두에 관심 있는 인재들이 향후 KVN의 미래를 이끌어 줬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말했다. ▲ 한국천문연구원은 2023년 강원 지역에 전파망원경을 건설해 더 ... ...
이전1721731741751761771781791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