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양"(으)로 총 8,094건 검색되었습니다.
- 허리 고치는 수술 로봇 ‘닥터 허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긴 팔로 구불구불한 통로를 타고 지하실까지 침투한다. 닥터 허준의 카테터가 딱 그 모양이다. 사방으로 구부러질 수 있는 유연하고 기다란 카테터는 수술 부위를 파고들거나 빠져나갈 수 있으며, 상하좌우로 움직일 수도 있다. 닥터 허준을 사용하면 손으로 직접 조작할 필요 없이 ... ...
- [별난이름 정리] 미술관 문제수학동아 l2018년 12호
- 꼭짓점에 보안 요원을 두면 문제는 쉽게 해결됩니다. 즉, n개의 꼭짓점을 가진 다각형 모양의 미술관은 명의 보안 요원만 있으면 충분하다는 거지요. 만약 3으로 나눠떨어지지 않는다면 첫 번째 소수점에서 반올림한 수만큼 보안 요원이 있으면 되지요. 삼각형 분할과 색칠 문제! 그런데 3년 뒤인 1 ... ...
- Part 4. 오로라, 보랏빛 띠를 발견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오로라 추적자들’ 페이스북 그룹에 가입하면서 오로라를 관측했어요. 그러다 보랏빛 띠 모양의 이상한 현상, 즉 ‘스티브’를 발견했지요. 이름은 애니메이션 에서 동물들이 울타리를 처음 보고 힘이 센 미지의 생물일 것이라고 착각해 스티브라는 이름을 붙인 것에서 따왔답니다. Q ... ...
- [실전! 반려동물] 토끼가 사료를 안 먹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먹이에 특별히 신경 써줘야 해요. 먹이를 씹으며 이빨을 계속 갈아야 하거든요. 알맹이 모양의 사료는 오래 씹지 않고 삼킬 수 있어요. 이빨 건강을 위해선 오래 씹어야 소화시킬 수 있는 질긴 건초가 더 좋지요. 또 단단한 당근이나 오이를 함께 제공해 주는 것도 좋답니다. 갑자기 토끼가 아무것도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손으로 화살을 쏘는 모습을 담고 있지요. ‘돌이킬 반(反)’의 부수인 ‘又’도 손의 모양을 본뜬 글자예요. 손을 감싸고 있는 ‘厂’는 ‘절벽’ 혹은 ‘동굴’을 뜻하지요. 그러므로 ‘반(反)’ 자는 손으로 절벽을 기어서 되돌아 올라가거나, 손으로 동굴의 벽면을 더듬어서 되돌아 나가는 것을 ... ...
- 튜링 모형 쓰는 별별 분야수학동아 l2018년 11호
- 자라 붙습니다. 이때 뼈가 붙은 곳을 확대해 보면 직선 모양이 아니고 지그재그 모양으로 튜링 패턴이 나타납니다. 그 비밀은 2009년 타카시 미우라 일본 교토대 해부학과 교수팀이 튜링 모형을 이용해 밝혔습니다. 손가락 생성의 비밀손가락이 생기는 과정도 설명할 수 있습니다. 손은 처음부터 ... ...
- [통합과학 완벽 정리 10] 전기에너지와 발전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전환된다. 발전소에서 쓰는 발전기도 작동 원리는 같다. 하지만 프로펠러 모양의 터빈이 발전기에 연결돼 있고, 위의 발전기 기본 원리의 그림과는 반대로 바깥쪽에 코일(고정자)이 고정 돼있으며, 내부에는 축을 따라 회전하는 자석(회전자)이 있다는 점이 다르다. 터빈을 회전시키면 회전자에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국립백두대간 수목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흥미로운 사실들을 말씀해 주셨답니다. “호랑이 무늬는 사람의 지문처럼 저마다 다른 모양을 하고 있어요. 그리고 호랑이의 나이에 4를 곱하면 대략 사람의 나이와 비교할 수 있답니다. 7살 수컷인 ‘우리’는 사람으로 치면 20대 청년, 13살 암컷인 ‘한청’은 50대 중년이라고 할 수 있지요 ... ...
- 초코볼, 적분을 부탁해수학동아 l2018년 11호
- 있을 테니까요. 그런데 실제 세상은 불규칙한 도형들로 가득합니다. 예를 들어 울퉁불퉁 모양이 일정하지 않은 호수가 있는데, 이 호수의 넓이를 구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그냥 가로와 세로의 길이를 곱하는 식으로는 답을 찾을 수 없습니다. 이럴 때 필요한 게 바로 적분입니다 ... ...
- 도축은 이제 그만! 오늘 점심은 인공고기 햄버거?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더 크게 키우기 위한 방법으로 평면이 아닌 공 모양의 배지를 제안하기도 했다. 공 모양이 공간 대비 표면적이 다른 구조에 비해 넓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또한 세포 성장을 위해 일일이 지지체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대량 생산의 걸림돌이 된다. 정 책임연구원은 “지지체를 사용해서 배양하는 ... ...
이전1691701711721731741751761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