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형태
생김새
꼴
외형
모습
모양새
d라이브러리
"
모양
"(으)로 총 8,094건 검색되었습니다.
태평양해양과학기지에 가다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비행기에서 내려다 본 축주는 그림 같은 절경이었다. 섬 가장자리를 거대한 고리
모양
산호초가 둘러싸고, 그 바깥으로는 에메랄드 빛 태평양 바다가 잔잔하게 펼쳐졌다. 한참을 넋을 잃고 바라보다 ‘쿵’ 비행기가 거칠게 착륙하고 나서야 정신이 들었다. ‘드디어 왔구나’. 괌을 경유해 1 ... ...
[수학뉴스] 스파게티 미스터리 수학으로 두 동강!
수학동아
l
2018년 10호
4cm의 면의 경우 약 270°까지 비틀어야 했습니다. 연구팀은 이 연구가 골절되기 쉬운 막대
모양
의 각종 재료를 연구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 전망했습니다 ... ...
Part 1.혈흔 분석 기하학, 사건을 재건하다
수학동아
l
2018년 10호
목격자가 없는 밀실에도 제3의 목격자가 있다. 바로 혈흔이다. 피
모양
과 형태를 기하학적으로분석하면 사건 현장에서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추리할 수 있다. 참혹한 전경에 엉켜있는 진실을 수학으로 꿰뚫어 보자. 과학수사의 목표는 범죄현장에서 진실을 찾는 것입니다. 실제로 보지 못한 일을 ... ...
Intro 2. SF 속 우주군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진행하던 TV쇼 ‘SF 과학: 불가능의 물리학’에서 “에너지가 충분하고 플라스마를 검
모양
으로 유지할 수만 있다면, 광선검을 만드는 게 전혀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강화복의 원조 ‘스타십 트루퍼스’의 군인 최첨단 우주무기를 든 우주군의 복장은 어떨까. 우주전(戰)에서는 ... ...
Part 3. [우리의 노력 1] 과학으로 똑똑하게 분리수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9호
프로그램은 재활용 쓰레기를 바코드와 사물의
모양
으로 구분했어요. 그래서 바코드나
모양
이 훼손되면 기기가 인식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지요. 그러나 뉴로지니는 학습을 통해 점점 똑똑해지는 머신러닝 방식의 인공지능으로, 영상을 기반으로 학습하면서 인식률을 점점 높였답니다. 분리수거 ... ...
인류의 눈 위 뼈가 평평해진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9호
없다는 사실이 드러났어요. 그래서 연구진은 고대 인류가 튀어나온 눈 위 뼈의 크기나
모양
으로 이성을 유혹하거나 수컷끼리 경쟁을 했을 것으로 추측했어요. 비슷한 예로 맨드릴개코원숭이는 볼의 색깔로 동료를 찾거나 수컷끼리 우열을 가리지요. 연구진은 인류가 점점 사회적인 동물이 되면서 ... ...
Part 1. 무중력을 이용하라! 우주공장의 매력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9호
일을 들 수 있어요. 결정은 원자들이 규칙적으로 배열된 고체 상태의 물질로, 결정의
모양
에 따라 물질의 성질이 달라지지요. 이를테면 탄소 원자의 배열에 따라 흑연이 되기도 하고 다이아몬드가 되기도 하는 것처럼요. 과학자들은 1970년대부터 우주정거장에서 결정을 만드는 실험을 진행해 ... ...
[과학뉴스] ‘日 귀요미’ 마리모의 비밀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마리모’는 테니스공과 동일한 크기와
모양
덕분에 주요 서식지인 일본에서 사랑받는 생물이다. 마리모는 밤에는 물 아래로 가라앉고, 낮에는 물 위에 떠다니는 특별한 습성을 갖고 있다(사진). 도라 카노-라미레즈 영국 브리스톨대 생명과학부 박사과정 연구원팀은 마리모의 이런 습성이 광합성 ... ...
Part 2. 세계 최초의 로켓과 세계 최강 군함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또 지붕도 전체가 덮여 있지 않고 십(十)자
모양
으로 열려 있었으나 나중에 일자
모양
으로 바뀐 것으로 보인다. ▲영화 명량에 등장하는 거북선. 명량해전에 거북선이 쓰이지는 않았지만 영화에서는 건조 중이던 배가 불타는 것으로 나온다. 전후좌우 19개 함포로 무장한 거북선이 결과는 이순신 ... ...
[통합과학 완벽 정리 9] 진화와 생물의 다양성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남아메리카 대륙에서 1000km 떨어진 19개의 섬 갈라파고스 제도에 사는 핀치새 부리의
모양
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남아메리카 대륙에서 다양한 씨앗을 먹는 핀치 중 일부가 갈라파고스 제도로 유입됐다. 2. 각 섬에 서식하는 핀치는 다양한 변이를 가진 자손을 낳았는데, 먹이와 서식지를 ... ...
이전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