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명"(으)로 총 9,637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폴로부터 아르테미스까지, 우주복의 진화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온도와 습도 관리가 쉽고, 주요 관절 부위에는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을 넣었다고 설명했다. 이 우주복은 버진 갤럭틱의 내년 우주 관광 티켓을 산 여행객에게만 제공되며, 몸 전체를 감싸는 옷과 신발, 트레이닝복, 한정판 재킷이 한 세트다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사지마비 환자 벌떡 일으킬 뇌-컴퓨터 접속기술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발전했습니다. 최근에는 루이 베나비 프랑스 그르노블대 생물물리학과 명예교수와 생명공학벤처 클리나텍 연구팀이 뇌 신호만으로 걷고 물건을 집을 수 있는 외골격로봇(엑소스켈레톤)을 개발하고, 팔과 다리를 못 쓰는 사지마비 환자에게 이 로봇을 입혀 움직이게 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 내용은 ... ...
- [융복합파트너@DGIST]이차전지 성능 결정할 ‘꿈의 전해질’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는 전 세계 ‘지렁이 지도’가 최초로 공개됐다. 연구자 140명이 전 세계 지렁이 연구자들로부터 57개국 6928곳에 이르는 땅밑 지렁이의 분포와 개체수, 그리고 종별 데이터를 수집해 정리한 것이다. doi: 10.1126/science.aaz9771이 지도에 따르면 지렁이의 종 다양성은 땅 위에 사는 ... ...
- 미제사건과의 전쟁...영원한 비밀은 없다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만에 드러났다. 1986년부터 1991년까지 10명의 희생자가 발생한 이 사건은 수사 당시 200만여 명이라는 대규모 경찰 인력이 투입됐지만 끝내 범인을 찾아내지 못했다. 영원히 미제사건으로 남을 줄 알았던 이 사건에 해결의 실마리를 제공한 건 첨단 과학수사였다. 3, 4, 5, 7, 9차 사건의 증거물을 ... ...
- 이변은 없었다 2019 노벨상 리포트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인터뷰에서 “100년 전에는 전 세계에 물리학자가 약 1000명뿐이었다면 지금은 100만 명에 이른다”며 “노벨상 후보자의 수가 늘어난 만큼 노벨상을 받기까지 대기 기간이 길어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과거나 지금이나 과학자들이 핵심 성과를 내는 연령대는 비슷하지만, 그만큼 훌륭한 연구 ... ...
- 냉동 캡슐에 들어갔다 나옴! 잘 녹을 수 있음?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정합니다. 냉동 기간이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건 세포 단위에선 이미 논문으로 증명된 사실입니다. 한 예로 데이비드 스트론섹 미국 국립보건연구원(NIH) 연구원팀의 실험을 들 수 있는데요. 액체 질소에 1일부터 5년 6개월까지 냉동 기간이 다른 백혈구 311개를 비교한 결과, 해동했을 때 정상 ... ...
- 처음부터 특별할 필요 없어요. 꾸준히 도전한다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불린다. 1996년 그가 입사할 당시에도 자동차부품연구원 엔지니어 150여 명 중 여성은 3명뿐이었다. 이런 성별의 차이는 능력의 차별로 돌아왔다. 성과를 내도 동료 남성 직원의 뒷전으로 밀려났다. 진행하고 싶은 프로젝트의 우선권을 뺏기기 일쑤였다. 그래도 버텼다. “어느 날 제게 박하게만 굴던 ... ...
- 로봇공학전공 홀로그램 기술과 딥러닝이 만나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어디에서 유래했는지 등의 정보를 약 80% 이상의 정확도로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문 교수팀은 분석 결과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홀로그래픽 이미징 기법을 발전시키는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 홀로그래픽 이미징 기법에 형광 이미징 기법을 결합한 것이다. 형광 이미징 기법은 ... ...
- [알고리듬 시그널] 정보의 바다에서 데이터 찾기, 탐색 알고리듬수학동아 l2019년 11호
- 내가 입력한 아이디를 데이터베이스에서 탐색하고 일치해야 들어갈 수 있는데요. 몇백만 명이 이용하는 사이트에서 내 정보를 찾는 일이 굉장히 오래 걸린다면 아무도 그 사이트를 이용하지 않을 거예요. 다시 도서관으로돌아가 보죠. 만약 수학동아를 찾고 싶은데 책이가나다순으로 정리돼 있다면 ... ...
- [과학뉴스] 머리 많이 쓰면 단명한다?과학동아 l2019년 11호
- 길어졌다. 얀크너 연구원은 “이번 연구 결과가 고차원적인 인간의 두뇌 기능과 수명의 흥미로운 상관관계를 밝히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doi: 10.1038/s41586-019-1647- ... ...
이전1701711721731741751761771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