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명"(으)로 총 9,637건 검색되었습니다.
- 흔하지만 소중한 땅속의 보물 반도체의 아이콘, 규소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 원소로 활약하고 있다. 또 앞으로는 인공지능(AI) 기술이 4차 산업혁명의 핵심으로 꼽히는 만큼 이를 처리하기 위한 IT 기술에 대한 수요가 더욱 증가할 것이고, 이에 따라 규소의 역할도 커질 것이다. 규소가 인류의 발전을 위해 빼놓을 수 없는, 세상을 ‘바꿀’ 원소라는 데 ... ...
- SF, 현실이 되다 애드 아스트라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능력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편집자주9월 10일 과학동아는 정기구독자 50명을 초청해 영화 ‘애드 아스트라’가 개봉하기 전 특별 시사회를 가졌습니다. 참석한 독자분들의 한 줄 감상평을 싣습니다. 과학동아가 준비하는 독자 초청 이벤트에 앞으로도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 ...
- 성균관대-KAIST-고려대 국내 첫 AI대학원 수업 들어보니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일부 요소를 바꾸는 것은 인공지능(AI)이 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머리카락 색깔을 다른 색으로 염색해줘’와 같은 명령은 AI가 쉽게 수행하죠. 하지만 ... 연간 50여 명의 정원 전원을 박사과정 또는 석박사 통합과정으로 선발한다. 첫 학기인 이번 학기에는 총 28명을 선발했다 ... ...
- [프로듀스X101] 투표 조작 의혹 한방에 정리하는 수학 정리수학동아 l2019년 10호
- 프로듀스 X 101의 득표수 논란에서 하나의 수학 정리가 탄생한 것입니다. 좀 더 쉽게 설명하면, 0보다 큰 실수의 정수부분을 f라고 하면 7494.442에서 f는 7494입니다. 이 정리에 따르면 7494.442에 임의의 자연수 n을 곱한 수를 소숫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해서 얻은 정수는 모두 f인 7494와 f+1인 7495에 음이 ... ...
- 산호와 맹그로브의 천국 태평양해양과학기지에서 꿈을 찾다과학동아 l2019년 10호
- 플랑크톤이 산호 촉수에 붙어서 살게 됐고, 이를 통해 바다가 더 투명하게 보인다”고 설명했다.열대 바다가 맑은 또 한 가지 이유는 웨노섬 해안가를 빽빽이 둘러싸고 있는 맹그로브다. 캠프 3일 차 오전, 학생들은 열대지역에만 서식하는 염생식물인 맹그로브 관찰에 나섰다. 맹그로브는 평소 ... ...
- [에디터노트] 과학에서 머리카락이란과학동아 l2019년 10호
- 16일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가 삭발을 했고, 17일에는 김문수 전 경기도지사 등 3명이, 18일에는 5선 이주영 의원과 심재철 의원이 삭발에 동참했다. 정치인에게 머리카락을 자른다는 것은 비장한 결의, 투쟁 의지 표출의 의미를 갖는다.사실 특별하기로 따지면 과학에서 머리카락이 갖는 지위가 훨씬 ... ...
- 지능×뉴런 지능은 어디에 있을까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사이언티픽 리포트’에 발표했다. doi: 10.1038/s41598-017-02304-z우리는 17~48세 남녀 92명을 대상으로 지능지수(IQ) 검사와 함께 fMRI와 DTI 촬영 자료 등을 비교했다. 그 결과 전두엽-두정엽 사이는 물론 두정엽-소뇌 사이에서도 구조 네트워크가 다양한 활동을 위해 지능이 발현되는 과정에서 관찰됐고, ... ...
- 지능×유전 지능도 노력하면 좋아지나과학동아 l2019년 10호
- 것이다. 이 시스템은 뇌의 노폐물을 청소하고 세포를 새로 만든다.또 아직 명확히 규명되진 않았지만 잠들었을 때 나오는 뇌파 중에 수면 방추(sleep spindle)라는 것이 있다. 수면 방추는 낮은 진폭과 12~14Hz(헤르츠)의 주파수를 가진 뇌파로, 잠을 자는 동안 1분에 2~5회 관찰된다. 뇌과학자들은 수면 ... ...
- 나는 입이 없다 그리고 나는 비명을 질러야 한다 vs. 아이, 로봇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일했다. 지금은 SF와 과학에 대한 글을 쓰거나 번역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SF 명예의 전당’ ‘낙원의 샘’ ‘링월드’ ‘신의 망치’ 등이 있고, 최근 달 이야기를 유쾌하게 다룬 책 ‘우주로 가는 문, 달’을 출간했다.hokwan.ko@gmail ... ...
- 과학의 불꽃으로 지구를 구하라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말했다.한화 사이언스 챌린지 2019 운영위원장으로 대회를 총괄한 김은기 인하대 생명공학과 교수는 “참가팀들의 아이디어가 신선하고 창의적이라는 점에 놀랐다”며 “내년에도 많은 학생들이 가공되지 않은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들고 대회의 문을 두드렸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 ...
이전1741751761771781791801811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