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물"(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진정한 이타성은 불가능한가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사랑하는 이타적 행동은 진화할 수 없다는 결론은 여전히 실망스러웠다. 그러나, 진화 생물학 초심자였던 프라이스가 자연 선택의 일반 이론을 단박에 찾아냈다는 사실이야말로 자비로운 신이 예정한 ‘기적’이 아닐까. 프라이스는 혼란스러웠다. +더 읽을거리Frank, S. A. (1995). George Price’s ... ...
- [Career] 미래 도시 농장의 초석을 놓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에너지원으로 기존의 수소연료전지와 리튬이온배터리를 사용했다. 이 교수는 “한 생물계가 선순환하려면 에너지가 안정적으로 공급돼야 한다”며 “에너지 지속가능한 공급을 위해 차세대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 등을 연구하고 있지만, 아직 적용가능한 단계는 아니다”고 설명했다.임 교수는 ... ...
- 수학은 외계어!수학동아 l2017년 04호
- 1960년 ‘린코스’라는 언어를 소개했다. 린코스는 ‘우주의 언어’라는 뜻으로 수학과 생물학, 언어학으로 이뤄져 있다. 린코스의 초반부는 롤백에서 소개하는 방법과 비슷하다. 그러면서 차츰 고도의 추상적인 개념까지 익힐 수 있다. 프로이덴탈은 “우리와 공통점이 없는 외계인도 이해할 수 ... ...
- Part 2. 해저 광구는 보물창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어렵지요. 반면 거의 활동을 몀춘 열수분출공은 온도가 낮아요. 또 주변에 살고 있는 해양생물의 수가 비교적 적어서 탐사 과정에서 해양생태계에 주는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답니다.주세종 책임연구원은 “이 지역은 높이가 20m보다 훨씬 크고 아연, 구리 등의 성분을 많이 ... ...
- [과학뉴스] 봄비가 박테리아 퍼뜨린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논문을 통해 “에어로졸과 결합한 미생물은 기후 변화, 질병 전파, 수질·토양 오염 등 미생물의 지리적 이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온라인판 3월 7일자에 실렸다 ... ...
- [Issue] 전통 막걸리, ‘ 미생물 배합’으로 부활할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 선임연구원은 “우리나라엔 김치와 된장처럼 복합 미생물이 존재하는 음식이 유난히 많다”며 “이런 음식들을 표준화하기 위해서는 복합 배양 기술이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에, 많은 과학자들이 지속적으로 이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더 읽을거리Whole-genome ... ...
- 뇌 속 내비게이션의 길 찾기 전략 4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데 모든 생물은 각자의 신경망을 동원한다. 지금까지 이 신경망이 완전히 해독된 생물은 약 1mm 정도 크기의 예쁜꼬마선충뿐이다. 그들이 가진 302개의 세포와 8000여 개의 연결망이 20여년의 연구 끝에 모두 해독됐다. 반면 인간 뇌의 신경망 수는 1000조 개에 달하는데다, 매 순간마다 변화를 거듭한다. ... ...
- [DJ CHO의 롤링수톤] 콜드플레이의 ‘더 사이언티스트’ 감성 충만 과학자수학동아 l2017년 04호
- 코발레프스카야의 이런 업적이 쉽게 이뤄진 것만은 아닙니다. 유럽으로 넘어가기 위해 생물학자와 위장결혼을 감행하기도 했지요. 코발레프스카야는 많이 배운 여성을 싫어하는 아버지가 인생의 걸림돌이라고 말할 정도로 당찬 사람이었습니다.냉철할 것 같기만 한 코발레프스카야는 수학자이지만 ... ...
- [특별 인터뷰] 희귀질환 어린이들을 돕는 과학자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최성민, RG코리아 대표서울대병원 의생명연구원 전문연구요원△박지혜, RG코리아 생물정보학 담당서울대 의대 바이오정보의학연구실 박사과정생 -왜 난치병 어린이들을 도와야겠단 생각을 했나요?최: 2014년, 유튜브에서 우연히 본 미국 레어지노믹스(RG) 지미 린 회장의 강연이 계기가 됐어요. ... ...
- [과학뉴스] 혈당 재고, 약 넣어 주는 ‘당뇨 패치’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혈당 수치를 확인하려면 손가락 끝에서 피 한 방울을 내야 한다.김대형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와 이현재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입자연구단 연구원 등 공동연구팀은 그래핀을 이용해 미량의 땀으로 혈당 수치를 재고, 위험 수준에 따라 단계별로 약물을 주입하는 ‘당뇨 패치’를 개발했다. ... ...
이전1701711721731741751761771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