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물"(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손상된 RNA 없애면 오래 살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있다는 점은 알려진 바가 없었다.연구팀은 세포의 분화과정을 연구할 때 많이 쓰이는 생물인 ‘예쁜꼬마선충(C. elegans)’을 관찰했다. 예쁜꼬마선충은 나이가 들수록 RNA가 손상됐다. 그런데 건강하게 오래 사는 예쁜꼬마선충을 관찰했더니, 손상된 RNA가 분해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연구팀은 ... ...
- [과학뉴스] 후쿠시마, 이제 안전지대?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일본 후쿠시마에서 원자력발전소 사고가 난 지 6년이 지났지만, 방사능 위험에 대한 일본 국민들과 주변국의 우려는 사그라들지 않았다. 그런데 후쿠시마가 이제는 안전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일본 후쿠시마의대 방사선전문의 마코토 미야자키 교수와 도쿄대 물리학과 류고 하야노 교수는 드 ... ...
- [Issue] ‘괴물쥐’ 뉴트리아가 웅담 왕?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그곳의 상위 포식자인 뉴트리아가 그토록 치명적인 세균, 기생충에 감염돼 있다면 다른 생물들은 어떻게 살아갈 수 있겠습니까.손가락 물어뜯는 괴물쥐?생태계 교란종 중에서 유일한 포유류인 뉴트리아는 커다란 이빨을 가지고 있습니다. 여기에 물리면 손가락이 절단될 수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 ...
- [Issue] 스마트폰이 불면의 원인? ‘꿀잠’의 비밀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사용하지 않으면 꿀잠을 잘 수 있을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꼭 그렇지도 않다. ‘미국인간생물학저널’ 2월호에는 이와 관련된 재미있는 연구 결과가 소개됐다. 미국 듀크대 진화인류학과의 데이비드 삼손 박사는 전자기기는 물론 인공적인 조명이 없는 마다가스카르의 농촌 마을 만데나에서 수면을 ... ...
- [Origin] 고생대의 문제적 동물, ‘툴리 괴물’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공간 속에서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옆줄이 없었다. 살란 교수는 “이 생물체는 척추동물에게 남아 있어선 안 되는 것들이 있는 반면 꼭 있어야 하는 것들은 갖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뜨거운 논쟁의 막이 올랐다척추동물 쪽을 지지하는 두 연구팀은 “동의할 수 없다”는 입장을 ... ...
- Intro. 수학에게 묻는 작은 세상의 비밀수학동아 l2017년 03호
- 만약 내가 개미처럼 작아진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지 상상해 본 적이 있나요? 마치 애니메이션이나 영화 속에서나 가능할 것 같은 일이지요. 그런데 여기 진짜 작아진 아이들이 있어요. 거짓말 같다고요? 아이들이 직접 경험한 이야기를 들려줄게요.▼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수학에게 묻 ... ...
- Part 1. 수학으로 본 작은 세상수학동아 l2017년 03호
- “도윤아, 노올~자.”도윤이, 하윤이 남매의 집은 동네 친구들의 놀이터였다. 괴짜과학자인 부모님 덕분에 신기한 장난감이 많았기 때문이다. 오늘도 동네 아이들이 놀러왔다.“어휴, 시끄러운 방해꾼들이 또 오셨군.”누나인 하윤이는 투덜거리며, 조용히 있을 수 있는 곳을 찾아 일어섰다. 작아 ... ...
- [Issue] 반려앵무새, 사이테스 신고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환경연구사는 “우리나라의 경우 생태계가 좁아 외래종이 큰 문제가 된다”며 “생물의 소재 파악을 위해 양도·양수 신고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물론 개체 구분이 어려워불법 행위가 일어날 수 있다는 문제에 대해서는 동감하고 있었다.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개체를 구분할 수 있을까. 앵무새의 ... ...
- [Origin] 잠자는 사자는 과연 너그러운 걸까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오직 유전자의 이득을 위해 진화했다는 새로운 시각을 제안함으로써, 이 책은 현대 생물학에 우뚝 솟은 고전이 됐다.윌리엄스가 펼친 논제는 크게 두 가지다. 첫째, 어떤 형질이 하여튼 이롭다고 해서 무턱대고 그것이 적응이라고 믿어선 안 된다. 적응은 아무 때나 쓰는 만병통치약이 아니라, “꼭 ... ...
- [교과연계수업] 에취! 더 독해진 겨울철 독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수 있다.③ 겨울철 독감이 왜 더 유행하는지 이유를 알 수 있다.4. 교과 연계초등 6학년 생물과 우리 생활5. 수업 지도 순서독감 관련 뉴스를 찾아 영상을 보면서 겨울철 독감 환자가 많은 문제를 인식한다 ▶ 독감의 정체를 알고, 헷갈리기 쉬운 감기와의 차이점을 설명한다 ▶ 독감이 왜 ... ...
이전1711721731741751761771781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