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능
활동
영향
효과
힘
작인
작업
d라이브러리
"
작용
"(으)로 총 5,102건 검색되었습니다.
구강 박테리아 다양성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유전자(160종만 생각해도 약50만 개)가 만들어내는 단백질을 비롯한 생체물질이
작용
하면서 장내 생태계가 유지되는 셈이다. 장내 미생물이 전혀 없는 실험동물을 대상으로 실험하면 대사이상이나 필수 영양소 결핍, 면역계 손상, 신경계 교란 등 다양한 결함이 발견되는 이유다. 연구자들은 “이 ... ...
“가려움증 일으키는 신경은 따로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새로운 가려움증 유발물질과 이에 반응하여 신경신호를 발생시키는 감각신경세포를 국내 연구진이 발견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서울대 치의 ... “특이한 감각신경세포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규명함에 따라 앞으로 감각신경세포의
작용
을 억제하는 약물 개발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 ...
신경교세포 100년 만에 입을 열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몰랐기 때문에 병원에서 치료할 수 없었다. 사람들은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해 부
작용
을 무릅쓰며 민간요법을 쓰기도 한다. 이 교수는 “신경성 통증 분야는 아직 개척해야 할 부분이 많다”며 “훌륭한 연구자들이 많이 진출해 신경성 통증의 발병기전을 더 자세히 밝혀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 ...
굿 바이! 킬로그램의 어머니!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조종해 저울의 양팔을 일정한 속도로 위 아래로 움직이게 한다. 이는 질량 m에
작용
하는 기계적인 일률(단위 시간당 한 일이나 에너지를 전달하는 비율)과 다른 한쪽 팔의 전자기적 일률이 평형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이 장치의 이름이 와트 밸런스인 이유다.전자기 팔에 걸린 전류와 전압, 자기장, ... ...
개그맨 이윤석의 '웃음의 과학'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알리는 ‘신호’로 사용했다. 오랜 시간이 지나며 남의 행동을 따라하는 거울뉴런의
작용
으로 웃음은 다른 사람에게 전염되도록 진화했다.“웃으면 건강해진다는 말도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웃음은 NK세포와 인터루킨6 같은 면역물질을 활성화시켜 세균이나 바이러스의 공격을 막을 수 ... ...
슈퍼 농작물 개발법 찾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내피 층에 신호를 특이하게 전달하는 현상도 발견했다. 결과적으로 두 유전자 간의 상호
작용
이 뿌리세포의 분열과 뿌리 생장을 조절하는 셈이다.임 교수는 “지금까지 개발된 다수확 신품종 작물들은 대부분 지베렐린을 합성하거나 지베렐린이 신호를 전달하는 경로에서 변이가 생긴 것이지만 ... ...
화산 신이 남겨놓은 돌기둥 병풍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일반인에게 소개하는 일은 보람된 일일뿐 아니라 매우 기쁘다. 헤아릴 수 없는 지질
작용
과 기후변화에 우리 강산은 끊임없이 변할 테지만 자연의 위대함과 경건함 앞에서 우리 인간은 영원히 작고 겸손해질 뿐이다 ... ...
소개팅에서 성공하는 사랑방정식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교수는 “사랑에 빠지는 요소는 생물학적, 환경적 요소가 각자의 맥락에서 어떻게
작용
하는지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고 했다. 결국 사랑은 각자 처한 상황과 마음이 복잡하게 얽혀서 이뤄진다는 이야기다. [소개팅에서 다음 만남을 약속했다면 어떻게 해야할까. 이어지는 기사에서 과학적 ... ...
Part 3. 확률과 전략이 절묘할 때 승리하는 윷놀이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b)로 윷의 확률이 결정된다. 반면 던질 때는 바닥에 닿을 때 회전중심의 각(A)이 중요하게
작용
한다.윷 대신 주사위를 이용하면 어떨까? 윷가락이 없다는 이유로 윷놀이를 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다른 도구를 이용할 순 없을까? 숟가락은 가장 쉽게 윷을 대신할 수 있는 도구다. 아래가 둥글고, ... ...
아름다운 무지개다리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활모양의 곡선인 무지개에 관심을 뒀다. 그는 수학을 이용해 빛이 물방울에 어떻게
작용
하는지 설명해 신비의 대상이었던 무지개에 대한 연구를 단순화시켰다. 물방울의 위쪽으로 들어가는 빛은 굴절한 뒤 물방울과 공기의 경계면에서 반사됐다가 다시 굴절되어 나온다. 이때 빨간색 빛은 처음 ... ...
이전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