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능
활동
영향
효과
힘
작인
작업
d라이브러리
"
작용
"(으)로 총 5,102건 검색되었습니다.
1987년 살바도르 몬카다 박사의 일산화질소의 근육이완 효과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물질과 해로운 물질이 이분법처럼 나눠져 있는게 아니라 때와 장소에 따라 전혀 다른
작용
을 할 수 있다는 발견은 생명체가 신비한 존재임을 또 다시 증명하는 사례가 아닐까 ... ...
Facebook, for social lives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하루마다 160만 일(日) 어치의 사회활동이 이뤄진다는 뜻이다. 이제 180만 건의 사회적 상호
작용
이 매 1분마다 발생한다. 사람들은 1분 동안 51만 개의 댓글을 달고 23만 개의 메시지를 보내며 14만 개의 사진을 덧붙이고 7만 개의 웹페이지를 링크한다.저커버그는 인류의 12분의 1을 하나의 네트워크로 ... ...
숫자행렬 단추 퍼즐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있다. 위쪽이나 오른쪽의 단추는 그 단추와 같은 줄의 숫자 세 개를 각각 1씩 증가시키는
작용
을 하고, 아래쪽이나 왼쪽의 단추는 그 줄의 숫자를 각각 1씩 감소시킨다.단, 1에서 1을 감소시키면 9가 되고, 9에서 1을 증가시키면 1이 된다.문제1앞의 숫자판에서 다음 각각의 숫자판을 만들어내는 방법을 ... ...
[비소 박테리아 발견 외계생명체의 증거인가, 쇼인가] Part 1. 무엇이 비소 박테리아를 유명하게 만들었나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성질이 비슷하다. 원자의 반지름과 전기음성도가 비슷하며, 비산(AsO43-)도 인산과 비슷한
작용
을 한다.그러나 비소는 인보다 주기율표에서 한 주기 아래에 있다. 그러면 전자궤도가 많아지므로 크기가 커지고 외곽에 있는 전자가 떨어져 나오기 쉽다. 따라서 다른 원소와 반응을 쉽게 한다. 또한 ... ...
타임스퀘어는 어떻게 부활했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더 주목해야 한다. 개인들 사이의 상호
작용
이 사회에 영향을 미치고, 개인과 사회의 상호
작용
이 다시 개인과 사회의 운명을 새로운 국면으로 이끈다. 저자는 이 새로운 사고 방식을 한 마디 말로 요약한다. “우리는 자연의 일부이다 ... ...
한반도의 수질오염을 감시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독성물질은 종류에 따라 신경에 영향을 주거나, 효소에 영향을 주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작용
하기 때문에 혼합물질에 대한 모델을 만드는 작업은 쉽지 않다. 김 교수는 “지금의 수질 기준은 단일물질에 바탕을 두고 있다”며 “혼합물질에 대한 독성 기준을 정하기 위한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고 ... ...
2단계 수학·과학능력 필수 대비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수상 실적을 반영하지 않았다. 교내활동 중심의 학생 생활기록부 내용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
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경기과학고는 올림피아드 수상 실적이나 학습 내용보다 내신성적을 우선적으로 봤다. 서울과학고는 1단계 서류평가에서 대부분의 지원자를 합격시켜 최대한 많은 지원자에게 ... ...
Part2. 다강체_물질계의 엄친아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사용하는 메모리 소자를 예상해볼 수 있다.이뿐만 아니라 강유전성과 강자성의 상호
작용
이 아주 클 경우에는 자기장의 미세한 변화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즉 자기장의 미세한 변화가 전기 분극 변화를 일으켜 전압 형태의 신호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하드디스크의 읽기 쓰기에 ... ...
빛으로 떠오르는 광학 날개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쬐어주자 중력을 이기고 떠올랐다. 막대가 떠오른 원리는 비행기 날개에 양력이
작용
하는 효과와 같다. 비행기 날개에서 공기의 움직임은 아랫면보다 윗면이 더 빠르다. 속도가 빠른 윗면은 기압이 낮고 상대적으로 속도가 느린 아랫면에서는 기압이 높아져 위로 떠오르는 양력이 생긴다.마찬가지로 ... ...
다세포생물 키운 건 고농도 산소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숫자를 늘리는 것이다. 연구팀은 털납작 벌레의 산소 감지 효소가 사람 세포에서도
작용
한다는 사실을 추가로 확인했다.연구팀을 이끈 크리스 스콜필드 교수는 “단세포생물과 달리 다세포생물은 충분한 산소가 필요하다”며 “산소가 세포 표면뿐 아니라 속까지 도달해야 하기 때문”이라고 ... ...
이전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