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록"(으)로 총 5,115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마추어 천문가 ‘벼리빈 나는바메’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1호
- 줄 알았어요.”베게너는 직접 기구를 타고 52시간 동안 날아다녀서 당시 최고 비행 기록을 세웠다.미션4 튀어나온 거야? 들어간 거야?“우주에는 베게너가 있습니다. 무슨 말이냐고요? 달에는 ‘베게너 크레이터’가 있고, 소행성 ‘29277 베게너’도 있답니다.”“우와~, 우주에 이름을 날릴 정도면 ... ...
- 전통과 디지털이 공존하는 아름다운 궁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0호
- 환하게 밝혀주었고 우리나라 최초의 전깃불이 되었지요. 일본, 중국보다도 2년이나 빠른 기록이래요. 신기하죠? 차(茶) 속에 예(禮)가 숨어 있다우리나라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바로 ‘예(禮)’. ‘동방예의지국’이라는 별명이 붙을 정도로 우리 선조들은 마음가짐과 몸가짐을 바로 하는 ... ...
- 지구사랑탐사대의 땀이 결실을 맺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0호
- 어느 지역에 얼마나 분포하고 있는지 알아냈답니다. 탐사대원들이 올린 기록만으로도 수원청개구리인지 아닌지 구분할 수 있는 비결은 개구리 종마다 울음소리가 다르기때문이에요. 개구리는 번식기가 되면 수컷이 울음소리로 짝을 부르는데, 종마다 고유한 울음소리를 가졌거든요. 청개구리는 ... ...
- 세상에서 가장 신나는 어린이과학동아 10살 생일파티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9호
- 총 241권이 나온 거죠! 와우~! 정말 대단하죠? 이밖에도 가 10년 동안 세운 기록과 역사를 함께 살펴볼까요? 10대 뉴스이번 순서는 10년 역사 중에서 길이길이 남을 만한 뉴스 열 가지를 소개하는 시간입니다. 하지만 호락호락하게 뉴스를 가르쳐 줄 ... ...
- 3기 지구사랑탐사대가 되고 싶다면 맛보기 탐사로 준비하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8호
- 탐사기록 채널과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나눠서 이용해 주세요.•탐사기록 채널 탐사기록은 동아사이언스 기자단앱을 이용해 ‘지구사랑탐사대2기 모둠’에 올려 주세요. 연구자들이 이곳에서 자료를 찾아서 분석하고 활용합니다. ‘동아사이언스 기자단’ 모둠에도 같이 올리면 좋습니다. ... ...
- 공포의 에볼라바이러스 파헤치기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7호
- 13세기, 이집트와 히타이트가 전쟁을 하는 동안 천연두가 돌았다는 기록이 있다. 천연두에 걸리면 얼굴과 몸에 붉은 반점과 물집이 생겼다가 딱지로 떨어지며 피부가 움푹 팬 자국이 생긴다. 영국의 의사 에드워드 제너가 백신을 개발한 뒤 점차 줄었다.스페인독감사람을 가장 많이 죽인 ... ...
- 재밌는 수학으로 한여름을 물들인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7호
- 이뤄냈다는 얘기야.이번 필즈상 수상에는 최초의 여성 수상자 탄생 외에도 최초 기록이 하나 더 있어. 북미와 유럽, 일본 같이 사람들이 보통 수학 선진국이라 생각하는 나라가 아닌 브라질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최초의 수상자가 나왔거든. 아빌라 석학연구원이 그 주인공이야. 2010년에도 유력한 ... ...
- 우리 동네 축구감독 ‘메시가 혼난대두’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3호
- 이제는 프리 킥이다~!“브라질의 로베르토 카를로스 선수가 시속 150km로 프리 킥을 찬 기록이 있다.공이 이렇게 빠른 속도로 날아가면 공 주위에 난류가 생겨 공기저항이 줄어든다.대신 10여 m를 날아가면 공의 속도가 줄어들 수 있다. 그래서 프리 킥을 찰 때에는 수비수가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져 ... ...
- 2014 생물다양성 탐사대작전 서울 숲의 진짜 주인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3호
- 조사는 일정 지역에 자라는 나무와 풀의 종류, 크기와 생김새, 개수 등을 조사해서 기록한다.생물다양성에 대한 이해와 체험!새로운 생물종 조사는 전문가들이 주로 진행했어. 우리 같은 학생과 일반인 참가자들도 생물을 채집통에 담아 보고할 수 있지. 하지만 우리는 각 분야별 생물종에 대한 ... ...
- [career] “3D 프린터로 하늘 나는 새를 만든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회로 위에서 전기는 빛의 속도로 움직이며 저장소 내에 전자를 채우고 빼며 0과 1을 기록합니다. 성능이 개선될수록 저장소의 공간이 점점 작아지고 있는데, 이제 한계에 다다랐습니다. 그래서 다른 컴퓨터들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바이오컴퓨터는 사람 머릿속 뉴런을 모방해 병렬적인 ... ...
이전1711721731741751761771781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