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록"(으)로 총 5,115건 검색되었습니다.
- [life & tech] 운석 연구하면 ‘□’를 알 수 있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그렇게 희귀한 운석은 아닙니다. 하지만 세계 역사상 유례가 없을 정도로 떨어질 때의 기록이 많죠. 제가 확보한 블랙박스 영상만 70~80개인걸요. 좀 더 분석하면 새로운 연구 성과가 나올 수도 있습니다. 또한, 운석이 대중과 가까워졌다는 것도 무척 고무적이죠.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는 ... ...
- [과학뉴스] “나 박쥔데, 시끄러워서 살 수가 있어야지.”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시끄러운 지역과 그렇지 않은 지역을 고른 뒤 그 지역에 사는 박쥐의 활동량을 측정해 기록했다. 그 결과 시끄러운 지역에서 일부 종(브라질 큰귀박쥐)의 활동량이 40% 가까이 줄어든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박쥐가 내는 초음파의 주파수대에 따라 활동량에 차이가 나는지도 조사했는데, 주파수가 ... ...
- [knowledge] 출발! 오로라 여행과학동아 l2014년 12호
- 한다. 흥미롭게도 우리나라에도 오로라 기록이 있다. 삼국사기나 삼국유사, 고려사 등에 기록돼 있다. 확률적으로 우리나라 같은 중위도에서도 1년에 하루 정도로 오로라가 나타날 가능성은 있다.오로라는 태양에서 날아온 전하를 띤 입자(하전 입자)가 지구 대기에 있는 입자들과 충돌하면서 ... ...
- [잘 가르치는 대학이 뜬다 1] 숭실대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소모임은 2008년 세계로봇축구대회 3위를 시작으로 2009년, 2011년, 2013년에 3차례나 우승을 기록했다. 여기서 끝이 아니다. 시대와 기술은 계속해서 변하고, 사회가 대학에 바라는 인재상도 계속 바뀐다. 숭실대가 다음으로 준비하고 있는 상품은 ‘사물인터넷’과 ‘빅데이터’다.나만의 라즈베리 ... ...
- [fun] “알고리듬이 위험하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생활 속에서 알고리듬이 활약하는 예는 이뿐이 아니다. SNS의 개인 정보나 인터넷 검색 기록을 분석해 맞춤형 광고를 노출하는 건 이제 흔한 사례다.그런데 이 책의 저자는 여기서 멈춰 묻는다. “이런 알고리듬이 과연 괜찮은 걸까”라고. 위의 사례에서 보듯, 인간은 알고리듬을 통해 수량화되고 ... ...
- [수학뉴스] 달리기를 잘 하고 싶다면 수학에 주목하라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정도 속도를 바꿔 가면서 달릴 때 기록을 단축할 수 있었다. 한편 두 사람은 실제 달리기 기록이 담긴 자료와 비교 분석해 방정식의 정확성을 높였다.아프탈리옹 교수는 “달리기 방정식은 달리기 선수의 능력을 최대치로 끌어올릴 뿐만 아니라, 전문적인 기술이 없는 일반인의 달리기 실력을 ... ...
- [체험] 스튜디오 지브리 입체조형전 전시관에 숨겨진 비밀을 파헤치다!수학동아 l2014년 12호
- 행방불명>은 일본의 역대 개봉 영화 중 최고 흥행수입인 304억 엔(한화 약 3500억 원)을 기록하기도 했다.‘스튜디오 지브리 입체조형전’은 일본의 테마파크 라그나시아에서 열렸던 전시를 서울로 옮겨 온 것으로, 애니메이션의 주요 장면을 3D 입체로 구현했다. 관람객은 이렇게 재현된 장면을 옮겨 ... ...
- 종이학부터 변신로봇까지 오리가미의 진화수학동아 l2014년 11호
- 사용하지 않고 종이 한 장으로 접어서 다양한 작품을 만드는 예술 활동을 말한다.최초의 기록은 1680년경의 일본 문헌에서 찾을 수 있다. 그 뒤로 꾸준히 발전한 오리가미는 20세기 들어 본격적인 체계를 갖췄다. 이때 오리가미의 체계를 바로 세운 사람은 종이접기의 장인인 일본의 공예가 요시자와 ... ...
- [생활] 정체를 감추고 있는, x수학동아 l2014년 11호
- 형태로 만들어 풀 수 있다.그렇다면 미지수 기호를 처음 사용한 사람은 누구일까? 기록에 따르면 미지수 기호를 사용한 최초의 사람은 3세기 그리스 수학자 디오판토스다. 여러 기호를 만들어 대수학의 아버지라고 불린다. 그는 미지수를 ζ(제타)로 나타냈다.디오판토스 이후 현대적 의미에서 ... ...
- Part 2 테러리스트 검거, 데이터 분석이 책임진다수학동아 l2014년 11호
- 빅데이터 분석 덕분이다.FBI는 보스턴 마라톤 폭탄 테러를 일으킨 범인을 잡기 위해 통화 기록과 목격자들이 제공한 사진과 동영상, SNS 기록, 인근 지역 600개에 이르는 CCTV 영상을 10TB 분량 가까이 모았다. 그리고 ‘데이터 마이닝’을 이용해 범인을 찾기 시작했다. 그 결과 목격자 진술과 일치하는 ... ...
이전1721731741751761771781791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