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확인"(으)로 총 8,489건 검색되었습니다.
- [질문하면 답해줌!] 개미에게도 땀샘이 있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밝혀냈어요. 또 사하라은개미의 몸에서 털을 제거하자 체온이 5~10℃ 올라가는 것도 확인했지요. 한편 유럽에 사는 홍개미는 개미집에 미세한 환기 구멍을 뚫어 주변의 온도를 낮춰 체온을 조절해요. 한편, 포유류는 땀샘을 통해 노폐물도 배출해요. 개미는 대신 배에 있는 말피기관을 이용하지요 ... ...
- [포토뉴스] 피겨 스케이팅 기술, 수학으로 연마한다수학동아 l2020년 07호
- 모형을 검증했죠. 논문은 현재 학술지에 제출된 상태입니다. 새로운 모형이 옳은 것으로 확인되면 스케이터가 특정 패턴의 동작을 취하고 싶을 때 몸을 어떻게 움직여야 할지 알 수 있어 기술을 익히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 ...
- [별헤는수학] ‘외계행성 탐험대’, ‘행성 사냥꾼:테스’ 태양계 밖에서 행성을 찾아라!수학동아 l2020년 07호
- 후보를 발견하는 성과를 거뒀습니다. 그리고 지금까지 51개가 실제 외계행성인 것으로 확인됐죠.우리은하에서만 수천 개의 외계행성 후보가 발견되면서 천문학자들은 행복한 고민에 빠졌습니다. 분석해야 할 데이터가 너무 많아서 시간이 부족하게 된 것이죠. 그래서 시민천문학자에게 도움을 ... ...
- 대한민국 청소년, 우리는 잠이 필요해!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실태를 파악해보자! ▲ PDF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PDF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잠 못 자는 이유?학교 공부보다는 학원 숙제!2019년 학술지 ‘보건사회연구’에 우리나라 청소년 2246명을 7년 동안(초4부터 고1까지) 추적하며 설문 조사해 수면 시간 변화 궤적을 밝힌 연구 ... ...
- 2002년 사스코로나바이러스┃ 만만했던 코로나바이러스 위력 처음 실감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체액과 호흡기 분비물에 의한 비말 전파뿐 아니라 공기 중 전파도 일어나는 것으로 확인됐다. 독감과 비슷한 근육통, 기침 등이 증상으로 나타나며 38도 이상의 고열이 발생하는 것이 특징이다.사스의 원인 바이러스는 코로나바이러스(CoV·coronavirus)의 변종인 사스코로나바이러스(SARS-CoV)다 ... ...
- 2019년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예측 어려운 신종 괴물의 출현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일 세계보건기구(WHO)가 발표한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치명률은 약 3.4%였지만, 지금까지 확인된 바에 따르면 국가와 나이에 따라 치명률은 매우 다르다. 한국의 경우 6월 현재 50세 이하 치명률은 1%를 밑돌지만, 80세 이상은 26%로 매우 높다.아시아 전파에서 그칠 줄 알았던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는 ... ...
- T림프구...바이러스 자살 유도하는 똑똑한 전사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물론 이때도 흉선이 쓸모없는 장기가 아니라 면역학적으로 중요하다는 정도만 확인했을 뿐 정확히 어떤 기능을 하는지는 몰랐다.오랜 연구 끝에 현대 면역학에서 흉선은 골수와 함께 가장 중요한 두 종류의 림프구가 주로 성장하고 저장된다는 의미에서 1차 림프 기관(lymphoid organ)으로 분류됐다 ... ...
- 무조건 막는다, 면역세포의 방어 전략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기록한 미국 뉴욕은 인구의 25%, 영국 런던은 인구의 17%가 코로나19의 항체를 가진 것으로 확인됐다. 여전히 집단면역 형성 기준에는 역부족이다. 한국의 경우 중앙방역대책본부 주도로 매년 실시되는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통해 전국에서 7000명, 코로나19가 집중적으로 발생했던 대구·경북 지역에서 ... ...
- 1996년 면역세포가 ‘남’을 구분하는 원리를 밝히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다 자랐을 때 쥐 B의 피부를 쥐 A에 이식해도 면역거부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1953년 10월 3일자에 발표했다. 면역 관용에 대한 이론을 제시한 버넷과 이를 실험으로 증명한 메더워는 후천적 면역 관용을 발견하고 면역 관련 질병 연구에 기반을 만든 ... ...
- 단백질 백신_B형 간염 백신 Hepatitis B vaccine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수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단백질 백신을 개발할 때는 항체가 생성되는지 확인해야할 뿐만 아니라 반드시 생성된 항체가 바이러스를 중화할 수 있는지 시험해야 한다. 초창기 단백질 백신은 서브유닛 (subunit) 백신 형태였다. 서브유닛 백신은 이름에서 짐작되듯 바이러스를 조각내, ... ...
이전1721731741751761771781791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