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확인"(으)로 총 8,489건 검색되었습니다.
- [교육뉴스] 수학의 아름다움을 표현하라! 제2회 매스 아트 작품 공모전 개최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수학은 예술이며 수학의 핵심은 아름다움과 우아함이다.” 제리 킹 미국 리하이대학교 수학과 명예 교수는 수학 연구의 원동력은 아름다움이라며 이런 말을 ... 접수합니다. 참가 방법과 공모전 내용은 국립광주과학관 누리집(www.sciencecenter.or.kr)에서 확인세요! ... ...
- [특집] 수학으로 따지기2. 외계인을 어떻게 찾아?수학동아 l2020년 07호
- 담은 전파는 지구까지 오는데 약 4.37년이 걸리니까 2060년에는 외계생명체의 존재를 확인할지도 모르겠네요! ☆ 별의 움직임을 분석해 외계행성 찾는 ‘시선속도’ 별이 관측자에게서 멀어지면 별빛의 파장이 빨간색에 가까워지고, 관측자에게서 가까워지면 별빛의 파장이 파란색에 ... ...
- 기후변화에 무관심한 정부 우리가 빼앗길 미래는?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시행령을 개정④했다.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서는 안 된다. ▲ PDF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수학으로 밝힌 지독한 가뭄의 원인, 기후변화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4월호 표지를 장식한 연구의 주제는 ‘지독한 가뭄’이었다. 지구의 물은 ①땅에서 증발한 물이 대기로 ... ...
- 2002년 사스코로나바이러스┃ 만만했던 코로나바이러스 위력 처음 실감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체액과 호흡기 분비물에 의한 비말 전파뿐 아니라 공기 중 전파도 일어나는 것으로 확인됐다. 독감과 비슷한 근육통, 기침 등이 증상으로 나타나며 38도 이상의 고열이 발생하는 것이 특징이다.사스의 원인 바이러스는 코로나바이러스(CoV·coronavirus)의 변종인 사스코로나바이러스(SARS-CoV)다 ... ...
- 2016년 지카 바이러스 ┃치사율 ‘제로’에도 공포를 일으킨 바이러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지구 반대편 브라질에서 발견됐다. 2015년 5월 브라질 정부는 자국 내 첫 인체 감염 사례를 확인했고, 이후 지카 바이러스는 브라질을 중심으로 중남미 전역으로 퍼졌다. 감염자 수는 많았지만, 치사율은 극히 낮았기 때문에 처음에는 그리 심각하게 여기지 않았다. 그러나 지카 바이러스가 유행하던 ... ...
- B림프구...항체 생산하는 면역의 종결자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태어난 직후 8~9주 동안은 간에서, 그 이후에는 골수에서 만들어진 뒤 성장한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이 세포는 윤활주머니의 첫 글자를 따서 B림프구라는 이름을 갖게 됐다.B림프구는 성숙과정에서 유전자 재조합이 활발히 일어나고, 이를 통해 수많은 항원에 대응하는 다양한 항체를 생산한다 ... ...
- 2008년 에이즈와 자궁경부암 바이러스를 발견하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연구자였던 바레시누시에게 전해졌다. 바레시누시는 림프구에 역전사효소가 존재하는지 확인했다. 역전사효소는 레트로바이러스가 RNA로 DNA를 만들기 위해 꼭 필요한 물질이다. 10일 후 바레시누시는 림프구 배양액에서 역전사효소를 발견했다. 바이러스는 효소 농도가 정점을 찍은 이후 서서히 ... ...
- 1996년 면역세포가 ‘남’을 구분하는 원리를 밝히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다 자랐을 때 쥐 B의 피부를 쥐 A에 이식해도 면역거부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1953년 10월 3일자에 발표했다. 면역 관용에 대한 이론을 제시한 버넷과 이를 실험으로 증명한 메더워는 후천적 면역 관용을 발견하고 면역 관련 질병 연구에 기반을 만든 ... ...
- 단백질 백신_B형 간염 백신 Hepatitis B vaccine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수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단백질 백신을 개발할 때는 항체가 생성되는지 확인해야할 뿐만 아니라 반드시 생성된 항체가 바이러스를 중화할 수 있는지 시험해야 한다. 초창기 단백질 백신은 서브유닛 (subunit) 백신 형태였다. 서브유닛 백신은 이름에서 짐작되듯 바이러스를 조각내, ... ...
- Chapter 07. 치료제┃인간 지킬 유일한 방패, 백신항바이러스제 개발의 꿈과학동아 l2020년 07호
- 2002년 사스코로나바이러스와 마찬가지로 박쥐에서 유래한 코로나바이러스의 돌연변이로 확인됐다. 현재 세계 각국의 연구기관과 제약회사는 기존 약물의 용도를 재평가하며 코로나19에 맞설 항바이러스제를 발 빠르게 찾고 있다. 에이즈 치료제인 칼레트라, 말라리아 치료제인 ... ...
이전1721731741751761771781791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