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확인"(으)로 총 8,489건 검색되었습니다.
- [포토뉴스] 피겨 스케이팅 기술, 수학으로 연마한다수학동아 l2020년 07호
- 모형을 검증했죠. 논문은 현재 학술지에 제출된 상태입니다. 새로운 모형이 옳은 것으로 확인되면 스케이터가 특정 패턴의 동작을 취하고 싶을 때 몸을 어떻게 움직여야 할지 알 수 있어 기술을 익히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 ...
- [특집] 수학으로 따지기3. 외계인이 우리를 찾게 만드려면?수학동아 l2020년 07호
- 보내야겠어요. 어쩌면 소행성이 지구를 지나던 날 제가 봤던 외계인이 메시지를 확인할지도 모르잖아요! 제가 멋진 메시지를 보낼 수 있도록 수학하면 빠질 수 없는 우리 수동TV 구독자들이 도와주세요. 여러분의 많은 참여를 기다리면서, 외계인을 만날 날을 학수고대 하면서 수동TV의 수따! 오늘 ... ...
- 2002년 사스코로나바이러스┃ 만만했던 코로나바이러스 위력 처음 실감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체액과 호흡기 분비물에 의한 비말 전파뿐 아니라 공기 중 전파도 일어나는 것으로 확인됐다. 독감과 비슷한 근육통, 기침 등이 증상으로 나타나며 38도 이상의 고열이 발생하는 것이 특징이다.사스의 원인 바이러스는 코로나바이러스(CoV·coronavirus)의 변종인 사스코로나바이러스(SARS-CoV)다 ... ...
- 2019년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예측 어려운 신종 괴물의 출현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일 세계보건기구(WHO)가 발표한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치명률은 약 3.4%였지만, 지금까지 확인된 바에 따르면 국가와 나이에 따라 치명률은 매우 다르다. 한국의 경우 6월 현재 50세 이하 치명률은 1%를 밑돌지만, 80세 이상은 26%로 매우 높다.아시아 전파에서 그칠 줄 알았던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는 ... ...
- 바이러스는 생물학 무기가 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첩보영화 등에도 종종 소재로 등장하지만, 실제로 개발됐거나 사용된 확실한 사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특히 생물학 무기의 오용을 막기 위해 각국 정부는 ‘생물무기금지협약’을 맺어 생물 무기 개발을 자제하자고 독려하고 있다. 대량살상을 방지하기 위해 1975년 22개국이 참가하면서 이뤄진 ... ...
- 대식세포...바이러스 전쟁의 지휘관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기생충에 대응하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워낙 숫자가 적어 실질적인 기능은 제대로 확인되지 않았다.단핵구는 다른 식세포에 비해 크다. 혈액을 따라 순환하다가 문제가 발생한 조직에 들어가면 대식세포로 분화해 성장하고 그 조직에 정착한다.이때 일부는 포식 작용과 림프구 활성을 돕는 ... ...
- 수지상세포...바이러스 정체 알리는 전령사과학동아 l2020년 07호
- HIV)는 수지상세포의 여러 수용체와 결합해 인체를 감염시키는 것으로 확인됐다.현재는 단핵구가 수지상세포로 분화하도록 유도하는 등 질병치료를 목적으로 다양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단핵구는 골수의 줄기세포가 분화한 세포다. 단핵구에 세포 내 신호전달물질인 인터류킨(Interleukin)-4와 ... ...
- 무조건 막는다, 면역세포의 방어 전략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기록한 미국 뉴욕은 인구의 25%, 영국 런던은 인구의 17%가 코로나19의 항체를 가진 것으로 확인됐다. 여전히 집단면역 형성 기준에는 역부족이다. 한국의 경우 중앙방역대책본부 주도로 매년 실시되는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통해 전국에서 7000명, 코로나19가 집중적으로 발생했던 대구·경북 지역에서 ... ...
- 1996년 면역세포가 ‘남’을 구분하는 원리를 밝히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다 자랐을 때 쥐 B의 피부를 쥐 A에 이식해도 면역거부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1953년 10월 3일자에 발표했다. 면역 관용에 대한 이론을 제시한 버넷과 이를 실험으로 증명한 메더워는 후천적 면역 관용을 발견하고 면역 관련 질병 연구에 기반을 만든 ... ...
- [가상인터뷰] 기름 잡으러 폴라리스 출동!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않아도 위치를 알릴 수 있다고? A 응! 기존 자율수중로봇들은 GPS 센서로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수면으로 올라와 GPS 신호를 받아야 했어. 만일 바다 표면이 얼면 바다 위로 올라오지 못할 수도 있었어. 반면, 난 바닷속에서도 위치를 파악할 수 있어. 음파로 위치를 파악하는 ... ...
이전1731741751761771781791801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