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양분
양분
자양
일런드
미혼 여성
아가씨
따님
d라이브러리
"
영양
"(으)로 총 2,068건 검색되었습니다.
대한해협의 해양자원도 조사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물리분야는 수온 염분 해류 조류 등이 조사대상이고, 화학은 pH 용존산소 규소
영양
염류 등 해수의 화학적 특성이 측정되며, 생물분야는 해역의 수층별 플랑크톤 치어 어란 등의 분포를 알아내는 것이 탐사의 내용이었다. 이외에 탐사장비와 그 원리가 소개됐다.이어서 김석기선장으로부터 ... ...
푸른 생명이 넘실대는 유일한 행성 지구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광합성을 통해 산소를 배출하고 초기의 곤충이나 어류 양서류는 식물이 만들어내는
영양
분을 기초로 보다 진화된 모습을 갖추어 간다. 현재 지구에는 수많은 종류의 동식물이 저마다 맡은 역할을 하며 공존하고 있다. 식물들이 산소와 먹이를 제공하며 초식동물은 육식동물의 먹이가 되는 ... ...
③ 말은 마음의 구조 밝히는 열쇠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근육은 대개 겉으로 잘 드러나기 때문이다. 효과적이고 꾸준한 훈련을 하고, 양질의
영양
분을 섭취하면 근육이 잘 발달한다는 사실도 우리는 알고 있다.그러나 마음의 힘, 마음의 능력은 눈으로 확인하기가 쉽지 않다. 그것이 어떤 모양으로 어떻게 들어 있는지도 잘 모른다. 어느 정도 한계가 명확히 ... ...
앵무새·구관조의 비밀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나쁜 말을 배우게 된다. 또 말배우는 새는 하루 한번 목욕을 시키고 적절한 사료공급 등
영양
관리를 철저히 해주어야 한다. 실제로 건강이 나쁘면 말을 배울 수 없다. 또 주변 환경이 시끄럽거나 불안하면 안정이 되지 않아 말을 배울 수 없고 새장 역시 규격새장이어야 성장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 ... ...
해양생태계 회생작전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자연적으로 크게 수가 늘어나서 자연정화를 담당한다. 그러나 미생물들은 온도나
영양
성분 등 환경조건에 따라 분해능력이 크게 달라지므로 플라스크에서처럼 기름을 분해시키려던 바닷물을 데우고 바다에 비료를 퍼부어야만 할 것이다.해양생태학자들은 활성이 우수한 미생물들을 배양해서 ... ...
1. 역사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한국의
영양
탕을 모두 먹어치워서 나는 구경도 못했다"라고···.사실 옛소련 사람들은
영양
탕을 좋아하지 않지만 개를 사랑하는 사람들 같지는 않다. 왜냐하면 옛소련에서 개들은 항상 의료연구용 실험동물의 대상이었기 때문이다. 또한 그들은 우주개발의 준비과정에서도 개를 실험동물로 많이 ... ...
1 토양형성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토양의 발달과 생성에 보다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식생은 토양으로부터 각종
영양
염류와 수분을 흡취하여 성장하는 반면, 뿌리를 통해 질소고정작용을 하고 낙엽이나 열매를 통해 토양내에서 부족한 무기물들을 재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토양을 덮고 있는 식생은 토양의 침식을 ... ...
숲과 인간, 삶의 순환고리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즉 죽음과 죽임의 경쟁에서 야기된다. '살아 숨쉬는 식물'이란 생명체에 있어서는 수분과
영양
원소의 분배와 같은 죽느냐 사느냐의 절대절명의 전쟁이다. 왜냐하면 이미 한 장소에 뿌리를 내리고 삶을 영위하고 있는 식물 개체가 그러한 경쟁에 밀리게 될 때 동물처럼 이동이 불가능하며, 경쟁에 ... ...
3 기후와 토양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작용이라고 한다.포드졸토는 비옥도가 낮은 산성토양이다. 식물에 필요한 중요한
영양
소가 용탈되었기 때문에 주로 침엽수가 자란다. 침엽수는 칼슘 마그네슘 칼륨 인산 등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따라서 이같은 염기를 토양에 되돌려 보내지도 않는다. 포드졸 토양에서의 농업은 기온이 높은 남쪽 ... ...
3. 식물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수 있는 첫번째 선구자이기 때문이다. 식물의 정확한 생활사를 밝혀내야 이 자가
영양
생물로부터 생활에너지를 얻을 수 있고 인간이 그곳에 정착할 수 있다. 따라서 국소중력에 의한 식물생장 반응의 연구는 체계적으로 다뤄져야 한다. 여기서 또 하나의 문제는 인간이 우주정복을 위해 화살의 ... ...
이전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