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수
실책
과실
틀림
과오
착오
오류
뉴스
"
잘못
"(으)로 총 1,882건 검색되었습니다.
부정교합, 7세때 검사 받고 12세 전후 교정 받아야
동아일보
l
2013.12.30
발생하는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다. 때로는 유전적인 요인이 작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잘못
된 생활습관 때문에 생기기도 한다. 초등학교에 입학하기 전부터 아이를 잘 살펴야 한다. 만약 아이가 음식물을 한쪽으로만 씹는다면 주의를 줘야 한다. 이 습관을 방치하면 양쪽 턱이 고르게 발달하지 않아 ... ...
다들 진정 행복하십니까?
동아사이언스
l
2013.12.29
되고 더 중요한 사람이 되는 것이 행복이라고 생각한다.” “행복을 목표로 여기는 것은
잘못
된 생각이다.” “행복은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하는 것이다.” “좋지 않은 사람에 의해 통치되는 나라에서는 행복한 삶을 살기가 더욱 어렵다.” “행복은 사물들을 보는 방식에 있다.” “행복은 다른 ... ...
잦은 송년모임으로 지친 이 때, 쥬라기로 여행갈까
동아사이언스
l
2013.12.29
고문헌을 추적해 우리 식물이 갖게 된 이름의 유래를 밝혔으며, 왜곡되고 변질되거나
잘못
쓰이는 식물 이름 또한 바로잡으려 애썼다. 이 책은 총 10권으로 계획된 시리즈의 첫 번째다 ... ...
생명 과학의 역사를 송두리째 바꾼 주인공 알고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3.12.22
생태와 사냥 습성에 대한 기록과 사진을 묶어 펴낸 것이 바로 이 책이다. 그동안
잘못
알려져 있었거나 우리가 미처 몰랐던 참매의 생태는 물론 이웃해 살아가는 새들의 모습까지 생생하고 귀한 사진을 통해 한반도 전역에서 번식을 하는 텃새로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 야생조류인 참매를 ... ...
[토요일에 만난 사람]‘발명왕 의사선생님’ 이희영 박사
동아일보
l
2013.12.16
됩니까. 그래서 알아봤더니 너무 날카로운 것으로 턱을 깎고 있었어요. 그래서 신경을
잘못
건들면서 사망사고까지 났습니다. 날카롭진 않으면서도 사포처럼 부드럽게 비벼서 깎으면 큰 문제가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문제는 깎은 것을 어떻게 신체 밖으로 내보내느냐였죠. 그걸 연구하는 게 ... ...
혜성, 불행과 변화의 상징?
동아사이언스
l
2013.12.13
동양에서도 혜성은 전쟁, 기근, 반역 등의 불행의 상징이었다. 동아시아에서 혜성은 '
잘못
된 옛것을 제거하고 새것으로 바꾼다'라는 의미를 갖고 있었다. 이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도 혜성을 이용하여 반란의 정당성을 증명하려는 일들이 있었다. 청해진의 장보고가 그랬고, 평안도의 홍경래가 ... ...
21세기에 웬 흑사병? 3개 대륙 현재진행형
동아일보
l
2013.12.13
‘뜨거운 물에 들어가 모공이 열리면 역병이 쉽게 침투한다’며 목욕을 금지하는 등
잘못
된 상식을 전달해 오히려 흑사병 창궐을 부추기기도 했다. 이후 생활환경이 개선되고 19세기 파스퇴르에 의해 치료법이 개발되면서 흑사병은 박멸된 것처럼 보였다. 하지만 페스트균은 지금도 분포가 ... ...
미세먼지 농도 하루 2차례 예보
동아일보
l
2013.12.11
발령됐던 5일. 서울시민들은 이날 오후의 미세먼지가 “보통 수준일 것”이라는
잘못
된 예보를 믿었다가 유해물질에 무방비로 노출됐다. 국립환경과학원이 이런 오류를 범한 건 전날 오후 5시를 기준으로 다음 날 미세먼지 농도를 딱 한 차례 예견하는 현행 예보 시스템의 한계 때문이었다. 호남 ... ...
서울이 질식당했다
동아일보
l
2013.12.06
고농도 미세먼지가 예측될 뿐 하루평균 ‘보통’(m³당 81∼120μg)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잘못
예보했다. 기상청이 측정한 이날 서울 미세먼지 농도는 오전 1시 m³당 153μg에서 오전 8∼10시 120μg으로 떨어졌지만 오후 3시 184μg까지 치솟았다. 환경과학원 관계자는 “중국발 오염물질이 바람과 함께 ... ...
[채널A]수도권 폭설 온다더니…기상청 슈퍼컴퓨터의 실수
채널A
l
2013.11.28
예보됐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았습니다. 기상청이 자랑하는 슈퍼 컴퓨터가 예측을
잘못
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이현경 기잡니다. [리포트] 앙상한 나뭇가지에 하얀 눈꽃이 피고, 지붕 위에도 눈이 쌓였습니다. 집 앞 도로를 금세 뒤덮은 눈을 치우는 손길이 분주합니다. [인터뷰: 정명섭/강원도 ... ...
이전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