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수
실책
과실
틀림
과오
착오
오류
뉴스
"
잘못
"(으)로 총 1,882건 검색되었습니다.
日 신형 고체연료 로켓 ‘엡실론’ 발사성공
동아일보
l
2013.09.16
지난달 29일에는 발사 19초 전에 컴퓨터 시스템이 ‘로켓의 자세가 이상하다’며
잘못
인식하는 바람에 또 중단됐다. 세 번째 시도 만에 발사에 성공한 것. 일본은 엡실론 발사 성공으로 ‘저비용 로켓’이라는 새로운 우주개발시대를 열었다. 엡실론은 JAXA와 일본 기업 IHI 에어로스페이스가 205억 엔 ... ...
수백만 년 뒤 인류는 어떻게 진화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3.09.16
지냈을 것이다. 그렇다면 세대를 뛰어넘어 궁극적인 인류의 조상은 누굴까? 진화론을
잘못
이해한 사람들은 대개 인류의 조상이 원숭이라고 생각하는 오류를 범할 수 있다. 사실 원숭이를 비롯해 사람과 유전적으로 비슷한 고릴라와 침팬지는 ‘사촌’쯤 된다. 아주 오래 전에 공통조상으로부터 ... ...
1분에 3단어씩 쓴 물리학 거장의 자서전
동아사이언스
l
2013.09.15
유독성 식물들을 별도로 소개해 주의를 요구하고 있다. 저자는 아무리 훌륭한 약초라도
잘못
쓰면 '독'이 될 수 밖에 없다며, 부작용 여부나 다른 음식물과의 관계 등을 사전에 꼭 알아두고 적당량을 섭취할 것을 당부한다. 평소 약초에 관심이 많은 독자라면 도움이 될 만한 정보를 많이 얻을 수 ... ...
보이지 않는 위협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동아사이언스
l
2013.09.13
걸리기도 했다. 실제로 거리서 만난 시민들도 방사성 물질에 노출된 생선을
잘못
먹으면 문제가 생길 것 같다면서 불안감을 감추지 않았다. 주부 이재남(58) 씨는 “수백 t의 방사능 오염수가 매일 바다로 흘러들고 있다는 뉴스를 접한 후부터 생선을 아예 먹지 않고 있다”며 “바닷물에 ... ...
연꽃이 두려운 사람들
동아사이언스
l
2013.09.09
몸 표면에 50~60개의 선명한 푸른 고리 무늬가 있는데 맹독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잘못
건드리면 목숨을 잃을 수도 있다. 환공포증인 사람들이 역시 두려움을 느낀다는 푸른고리문어의 모습. 선명한 고리 수십 개가 몸을 덮고 있는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처리하면 환공포증을 일으키는 이미지의 처리 ... ...
[클리닉 리포트]깨고나면 개운한 잠, 최고의 보약입니다
동아일보
l
2013.09.02
길어지면서 뜨거운 밤 기온과 함께 높은 습도가 불면증을 가중시키지 않았나 생각된다.
잘못
된 습관들과 인터넷에서 떠도는 주관적 처방들은 오히려 밤잠을 더 설치게 한다. 예를 들어 높은 체온을 떨어뜨리면 잠을 잘 잘 수 있겠다는 생각에 찬물로 샤워를 하거나 힘든 운동으로 몸을 지치게 하는 ... ...
참치
잘못
먹었다가는 수은 중독된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3.09.01
붉은 빛을 띠는 참치 회 한 점은 침을 꿀꺽 삼키게 만들기 충분하다. 그렇지만 한 쪽에서는 참치나 황새치처럼 심해어류들은 다른 어류에 비해 수은 함량이 많기 때문에 너무 즐겨 먹으면 안된다고 주장하고 있어 선뜻 젓가락이 가지 않기도 한다. 실제로 심해어류들은 다른 어류들보다 수 ... ...
박 대통령도 깬 엠바고, 과학이라고 못 깰 건가
동아사이언스
l
2013.08.25
기만행위, 인간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의 부적절한 처우, 실패한 연구, 우선순위의
잘못
된 배치 등 과학 의학의 제도적인 문제를 다루기 힘들게 만든다. 기자들은 최신 엠바고 학술지 기사를 찾다 보니 이런 과학 의학 문제를 조사할 시간이 없는 것이다." 또 전 세계 사람들이 인터넷으로 ... ...
북극 얼음 다 녹으면 진짜 ‘설국열차’ 타야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8.19
내용으로 시작하는 영화 '설국열차'. 영화에서처럼 기후라는 것은 생명체와 같아서 자칫
잘못
건드렸다가는 예상할 수 없는 결과로 치닫게 된다. 지구가 점점 '열' 받으면서 북극지방의 얼음은 계속 녹고 있다. 이달 초 미국 국립해양대기국(NOAA)이 북극해 얼음의 절반 이상이 33년 만에 ... ...
고양이나 쥐가 살기 어려운 곳은 사람도 살기 어려운 곳
동아사이언스
l
2013.08.18
영향을 미친다는 동기감응 혹은 친자감응의 예로서 잘 알려져 있다. 세종의 묘를
잘못
택했기 때문에 조선 초기에 수많은 환고가 있었지만 천장을 한 후에는 지덕 때문에 후손에게 큰 불행을 초래하지 않았다는 뜻이다. 묘택을 잘 쓰면 후손이 행복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해가 미친다는 이같은 ... ...
이전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