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모듈
기준
하나
단원
중량단위
중량
유니트
d라이브러리
"
단위
"(으)로 총 2,803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연은 진공을 싫어하지 않는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그는 인류 최초로 인공적인 진공을 장시간 유지한 사람으로 인정받았다. 토르(torr)라는
단위
의 이름은 토리첼리의 이 업적을 기념해 붙여진 것이다. 1torr는 1mm 높이의 수은주 압력과 같다.그후 1648년 프랑스의 철학자 파스칼은 토리첼리의 수은주 높이를 높은 산과 평지에서 측정하고 비교했다. 그 ... ...
2 첨단기술 활약할 무대장치 만든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매우 작은 소자나 센서는 미세한 오염 입자에도 치명적인 영향을 받는다. 즉 원자나 분자
단위
까지 제어할 수 있는 극청정 진공 환경이 마련되지 않고서는 극소형 미래사회를 이끌어갈 첨단 신기술을 연극배우에 비유한다면 극청정 진공기술은 무대장치기술과 같다. 극청정 진공기술이 우선 ... ...
디지털 세상 최강의 방패 양자암호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측정에서 양자상태의 붕괴다. 양자역학에서는 고전역학의 비트(bit)에 해당하는 최소
단위
의 정보를 큐비트(qubit)라 한다. 양자상태의 중첩을 간단한 예를 통해 알아보자. 고전컴퓨터에서 정보는 이진법을 사용해 나타내므로 한 비트의 정보는 0 아니면 1로 표현된다. 고전정보의 0과 1에 해당하는 ... ...
실험실에 떠오른 목성과 무지개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건조한가에 따라 그 정도가 크게 변한다. 건조한 상태에서는 50만Ϊ (옴, 전기저항의
단위
), 젖은 상태에서는 1천 Ϊ정도다. 즉 젖은 손은 건조한 손에 비해 저항이 5백분의 1 정도로 작아진다. 젖은 손으로 전기기구를 만지면 위험한 것도 이 때문이다.서로 호감을 가진 두사람이 손을 잡으면 손바닥에서 ... ...
바다의 올림픽 선수 고래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1963년 F 자코브에 의해 제창된 염색체 복제의 조절 기구에 대한 작업가설 자율적 복제
단위
를 레플리콘이라 한다 예컨대 대장균의 염색체 DNA에는 그것 자체가 하나의 레플리콘이며, 에피솜(episome) · 플라스미드 등도 각기 레플리콘이다 각 레플리콘에는 레플리케이터라는 구조부분 및 이니시에이터 ... ...
신의 입자 검출하려는 노력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에너지를 꺼냈는가에 따라 연소율을 알게 된다더욱이 메가와트일은 원래 에너지 크기의
단위
로 1메가와트(106W)로 1일(24h) 동안 발생하는 에너지의 양을 표시한다 영장목 사람과의 화석인류 네덜란드의 인류학자인 G H R 쾨니히스발트가 자바섬 중부에 있는 상기란 유적의 제티스층에서 ... ...
1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새로운 인재상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주창자들은 교육의 전면적인 개편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즉 나노
단위
에서 우주
단위
까지 물질세계의 통합적 이해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기술을 구현할 수 있는 르네상스식 인간을 양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려면 대학이나 대학원 차원이 아니라 초등학교부터 변화가 일어나야 한다고 주장한다. ... ...
쌍둥이 로버 화성으로 향하다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근일점 통과는 동년 12윌 25일이었고 궤도는 포물선, 궤도 경사 140˚, 근일점거리 094AU(천문
단위
)로 계산된 다시 돌아오지 않는 혜성이다꼬리의 겉보기 길이는 수도에 달했으며 꼬리 모양의 변화가 컸던 것으로 유명하다 결정의 하나 실제로 결정은 이상적인 결정과는 달리 약간 불완전성이 있는데, ... ...
4 태양 아래에서 자동 충전되는 입는 컴퓨터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나노공정은 크기를 줄여나가는 기법에 대한 연구로 리소그래피 기술, 그리고 분자
단위
로 크기를 불려나가는 기법의 자기조립공정 기술이 있다.한편 나노소재나 소자가 우리가 원하는 기능을 가졌는지를 확인하려면 이들의 특성을 평가하는 특수한 장비나 기술이 필요하다. 여기에 속하는 대표적인 ... ...
2 힘세고 오래가는 에너지 활용비법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W 정도인 기존 백열전구보다 훨씬 높다. 여기에서 lm/W는 광원의 효율을 나타내는
단위
로
단위
전력량당 램프가 방출할 수 있는 총광속(lm, 루멘)의 비다. 현재 1백20lm/W 이상의 무전극 광원도 연구되고 있어 향후 1백W급 이상의 고용량 램프를 필요로 하는 곳에 활발히 적용될 전망이다.반도체에서 ... ...
이전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