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휘장
커튼
장막
발
텐트
싸는 것
보자기
d라이브러리
"
막
"(으)로 총 2,033건 검색되었습니다.
리우 민간환경단체 '92 지구포럼'현지 취재 "시민의 힘만이 지구를 살릴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은 6월 3일 오후 3시 30분 플라멩고 공원 해변가에서의 화려한 개
막
식으로 시작됐다. 개
막
식의 꽃이었던 가이아(GAIA)호는 '대지의 여신'이란 뜻의 이름답게 해질녘의 바닷가, 더구나 수십명의 어린이들이 연을 날리는 모습과 어우러지고 전세계 어린이들이 보냈다는 각국의 메시지를 담고 있어, 보는 ... ...
인간 뇌속에 나침반 있을까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방향감각이 좋은 사람이나 초감각능력을 가진 사람 또는
막
대기 하나로 물을 찾는 사랄들은 평균적인 자기감지능력이상의 기능을 가진 것이 아닌가하는 의문을 던져 볼 수 있다.그러나 여러차례 조심스럽게 실험을 했지만 자철광이 그런 능력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 ...
(4) 홈 스튜디오가 현실로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장비가 되었다. 음악과 사진을 함께 보내이제까지 언급한 컴퓨터 음악의 흐름은 지금
막
태동하기 시작했거나 기껏해야 몇년사이에 이루어진 혁명이다. 멀티미디어라는 개념이 등장하면서 컴퓨터에서 미디 혹은 컴퓨터음악만을 따로 떼어놓고 생각하기가 어려워졌다.컴퓨터로 애니메이션을 ... ...
국내반도체산업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가지도록 인 붕소 비소 등의 원소를 침투시킴. (6) 증착공정-웨이퍼 표면에 얇은 알루미늄
막
을 형성시켜 회로와 회로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 (7) 웨이퍼선별-웨이퍼와 그 속에 포함된 개별 칩들이 정확한 전기적 특성을 갖고 있는지 컴퓨터로 검사. (8) 웨이퍼절단-다이아몬드톱이나 레이저빔으로 ... ...
경제개발·환경보존 두 토끼 동시에 잡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개발로 망쳐온 지구를 돌이킬 수 없는 파국에 직면하기 전에 되살려 보자는 마지
막
시도라는 점을 잊어서는 안된다. 책임을 서로에게 미루고 있는 사이에 파멸은 공동의 것으로 시시각각 다가오기 때문이다. 개발을 위해 환경에 대한 책임을 방기해왔던 우리의 테도도 지구환경보호를 위해서나 ... ...
붙이는 약 전성시대 다가 왔다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표피층을 투과하면서 항원항체반응을 일으킨다. 이같은 피부의 자극은 피부질환과
막
바로 연결될 수 있다.약물을 피부속으로 침투시키려면 다음 몇가지 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첫째 분자량이 작은 약물은 각질층의 가는 구멍을 통해 대류적으로 전달된다. 이때 분자의 형태가 구형(球形)이면 ... ...
(1) 효능 입증안된 것이 대부분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공모양의 미세한 물질을 말한다. 이 작은 리포좀의 성분인 인지질이 인체의 피부세포
막
과 비슷하다는데 근거, 리포좀을 피부 깊숙이 통과시키면 영양분의 전달이 가능해지고 피부재생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 당시 업계측의 주장이었다. 이에 대해 '소비자문제를 연구하는 시민의 모임'은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음압으로 쌀을 빨아 올리려 했으나 생각처럼 용이하지 않았다"고 덧붙인다. 흡입돼다
막
혀버리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 것. 결국 노즐을 따로 설치해 외부에서 공기를 조금 공급해줌으로써 쌀을 끌어올리게 되었다고 한다.나씨 자신이 컴퓨터를 다룬다는 점이 그의 발명에 큰 도움을 준 것 같다. ... ...
행성은 한 별자리에 머물지 않는다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해가 진 후 서편 하늘에 잠시 걸려있다가 곧 져야 한다.둘째 금성 역시 자정이
막
지난 시각에 보 일 수 없다는 것이다. 내행성은 공전 궤도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언제나 태양 근처에 머물 수밖에 없다. 따라서 수성과 금성은 새벽 아니면 저녁에 밖에 볼 수 없다. 초승달 바로 옆에 ... ...
정자(精子)전쟁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한마리가 외벽을 뚫고 난자속으로 들어가 수정에 성공함으로써 치열한 경쟁의 대단원은
막
이 내린다. 수정에 성공한 난자는 자신의 외벽에서 효소를 분비해 다른 정자가 침입하는 것을 차단한다.정자는 하루에 2억개가 만들어진다. 일생을 통해 남자는 8조개에 달하는 천문학적인 수의 정자를 ... ...
이전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