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휘장
커튼
장막
발
텐트
싸는 것
보자기
d라이브러리
"
막
"(으)로 총 2,033건 검색되었습니다.
레이저에서 광컴퓨터로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펄스의 에너지가 5kJ일 때 길이 8㎜인 광섬유와 회절격자에 의해 처핑된 펄스의 마지
막
폭은 16fs까지 압축시킬 수 있으며, 최근 벨 연구소에서는 8fs까지 줄이는데 성공했다. 펨토초라 하는 것은 광이 3분의 1㎛로, 즉 사람의 머리카락 두께의 1/100에 해당한다.펨토초 레이저 펄스는 고체의 원자나 ... ...
인공편모모터는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자연계에 존재하는 최소의 기계장치에 대해서 많은 것이 해명됐다. 살모넬라균의 세모
막
에는 20개의 편모모터가 있고 이중에 6,7개 만이 작동하는데, 여기에는 섬유가 하나씩 붙어 있다. 살모넬라균이 영양분을 찾아 액체속에서 회전할 때 이들 모터는 나선상의 편모 다발을 1분당 1만5천회의 속도로 ... ...
12월21일 월식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도중에 카메라를 건드리면 방향이 틀려지기 쉬우므로, B셔터에 릴리즈를 사용해 셔터
막
을 열어놓고 검은종이나 천으로 열었다 닫았다 하는 방법이 좋다(그림4). 이와 같이 하면 한 필름에 여러개의 달이 촬영된다. 촬영 간격은 달이 자기의 지름만큼 이동하는데 2분10초 정도 소요되므로 겹치지 않게 ... ...
「멋진 신세계」를 그리는 햇병아리 SF작가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수 없다.그러나 이제는 번역 뿐만 아니라 우리 손으로 쓴 양질의 SF도 등장해야할 때.
막
걸음마를 시작한 '멋진 신세게'에 남다른 관심과 기대를 갖게되는 것도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이다 ... ...
시라노 드 베르주락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공기의 존재가 한정된다는 것과 지구와 달 사이엔 수천마일의 진공이 있다는 사실이
막
이해되기 시작할 무렵이었다)5. 풍선을 연기로 가득 채우면 연기가 위로 올라감에 따라 풍선을 탄 사람도 달까지 올라갈 수 있다.(이 방법은 비행선의 원리인데 이 역시 지구와 달 사이가 공기로 차 있을때만 ... ...
3. 핵실험 무엇이 문제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실시했을 때 편서풍을 타고 한국 및 일본에까지 방사능이 날아온 적이 많았다.마지
막
으로 전자기장(EMP, Electric Magnetic Pulse)의 영향을 들 수 있다. EMP는 핵폭발시에 순간적으로 발생되는 저주파의 전자파인데 이 전자파가 전기장치나 송수신장치에 닿으면 수천~수만V의 고전압을 발생시킨다. 이 ... ...
노벨의 권위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에르빈 네허(47)와 베르트 자크만(49)을 91년도 의학·생리학 부문 수상자로 발표함으로써
막
이 올랐다.의학부문 수상자인 두 사람은 70년대말부터 '세포내 단일이온채널의 기능'을 공동연구해온 좋은 콤비. 이들이 연구공로를 인정받은 '단일이온채널기능분석'이란 쉽게 말해 세포내에서 아주 ... ...
오묘한 서리의 세계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얇은 먼지
막
의 성질에 따라 그 모양이 결정된다. 예컨대 유리표면에 파라핀 증기로 얇은
막
을 입히면 유리표면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지 않고 공기중에서 생기는 눈결정과 유사한 모양을 갖게 되며, 기름을 얇게 바른 창표면에서도 같은 모양의 결정체가 얻어진다. 그러나 알코올 증기에 접촉하게 ... ...
1 공간을 넘어 시간의 영역에 도전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컴퓨터 자동차 가전기기 등 현대과학의 산물은 모두 통신망에 접속된다. 이를 통해 현대인은 구태여 멀리 가지 않고도 지구촌을 하나의 생활권으로 만들 수 있다.교 ... 서서히 다가오는 대형(大兄, Big Brother)의 검은 그림자를 본다. 현재의 과학자들은 다가오는 대형을 어떻게
막
을 것인가 ... ...
싹트기 시작한 천문학 연구에 찬바람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철회할 것을 정부에 강력히 건의했다. 이들은 성명서에서 "이번 결정은 이제
막
걸음마를 시작하는 천문학 연구의 싹을 짓밟는 행위다"고 밝히면서 "정부의 기초과학육성은 말 뿐임이 여실히 드러났다"고 주장했다.흔히들 천문학을 '과학의 아버지'라고 말한다. 여기에는 근대과학의 출발점이 지구 ... ...
이전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