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초목
풀
식물계
식생
야채
식물체
플랜트
뉴스
"
식물
"(으)로 총 2,129건 검색되었습니다.
쫄깃하고 맛있는 송편을 만드는 비법 대방출!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9.14
예전에는 흰색과 녹색, 두 가지 송편을 만들었어요. 녹색 송편을 위해서는 다양한
식물
을 이용했어요. 대표적인 재료가 바로 ‘쑥’이지요. 반죽에 쑥을 넣으면 녹색이 나는데다, 쑥의 향까지 어우러져 아주 맛있는 송편을 만들 수 있거든요. 그뿐만이 아니에요. 쑥에는 식이섬유가 많이 들어 ... ...
식물
‘메이애플’서 항암제 합성 원료 발견
2015.09.13
도움이 되는 물질을
식물
에서 분리하고 합성경로를 밝히는 일이 연구 분야”라며 “
식물
이 물질을 합성하는 경로를 따라 생합성을 설계하면 물질을 보다 쉽고 빠르게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 ...
인류를 만든 건 ‘젤나가’일까?
2015.09.13
오브 스틸’ 등으로 대중에게도 익숙해진 SF용어인 ‘테라포밍’은 지구의 미생물과
식물
등을 보내 척박한 외계 행성을 인간이 살 수 있는 환경으로 바꿔놓는 기술을 말한다. 미지 문명의 테라포밍에 의해 지구가 현재와 같은 모습이 됐으며, 생명체가 싹트기 시작했다고 상상해 본다면, 이것은 ... ...
지구상 나무는 총 3조 그루, 1인당 422그루 소지
2015.09.13
숲의 30%도 사라질 것으로 예상했다. 크라우더 연구원은 “이 연구결과가 지구의 동
식물
다양성이나 기후변화 등을 연구할 때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해마다 없어지는 나무는 150억 그루인데 반해 새로 심는 나무는 50억 그루에 불과한 만큼 행동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 ...
화성에서 살아남기 위한 9가지 기술
2015.09.11
- NASA 제공 NASA는 ‘베지(Veggie)’라는 우주 농사법을 개발했다. 베지는 인공 빛으로
식물
을 키우는 수경재배 시스템이다. 지난해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는 우주인들이 베지로 상추를 기르는 데 처음으로 성공했다. 지난달에는 우주인들이 국제우주정거장에서 재배한 상추를 먹는 모습이 NASA TV로 ... ...
식물
이 가뭄을 버티는 비법 찾았다
2015.09.08
일반 야생종보다 더 잘 버티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유카 단백질을 만들 수 없게 한
식물
은 야생종보다도 가뭄에 취약했다. 윤 교수는 “전 세계에서 재배되는 작물 중 69%가 가뭄, 냉해 등 환경 스트레스에 의해 피해를 입고 있다”며 “연구결과를 응용해 작물 손실을 줄여 인류의 식량 문제 ... ...
식물
이 ‘TNT’ 공격에 살아남는 법
2015.09.06
나타났다. 연구에 참여한 리즈 라이로트 박사는 “이번 연구는 TNT에 내성이 있는
식물
을 발견한 데 그치지 않고 TNT로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는 시스템으로도 이용될 수 있다”며 “이제 그 긴 여정에서 중요한 첫 발을 내딛은 셈”이라고 설명했다 ... ...
빛으로 자원을 만든다! 인공광합성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9.02
프리스틀리가 유리종 안에 넣은 나뭇가지와 양초로 산소 존재를 확인했어요. 그 뒤
식물
이 이산화탄소와 물을 이용해 산소를 만든다는 사실이 차츰 밝혀졌지요. 그러나 포도당이 만들어지는 과정은 20세기인 1945년에 멜빈 켈빈(오른쪽 사진)에 의해서 밝혀졌어요. 켈빈은 이 공로로 1961년 ... ...
천연물서 피부 노화 막는 기능성 화장품 개발
2015.08.25
개발했다. 채성욱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약융합연구부 책임연구원(사진) 팀은 백합과
식물
에서 추출한 물질을 이용해 피부 염증을 60% 이상 억제할 수 있는 소재를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자외선이나 피부과 치료로 인해 피부의 회복과 주름 방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기능성 화장품 개발로 ... ...
효모 정밀화학공장, 말라리아치료제에서 마약성진통제까지 생산
2015.08.24
제공 2006년 논문을 발표할 무렵 키슬링 교수는 다음 단계의 연구를 준비하고 있었다.
식물
2차 대사물의 꽃이라고 할 수 있는 모르핀(morphine)의 합성생물학 프로젝트다. 모르핀은 탄소수가 17개로 그리 크지 않은 분자이지만 아르테미시닌과 마찬가지로 구조는 꽤 복잡하다. 워낙 유명한 분자이다보니 ... ...
이전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다음
공지사항